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국내 삭도시설의 타당성 연구
  • 환경과조경 1995년 5월
삭도시설의 개념 정의 삭도는 교통, 운송시설의 일종으로 도시계획법에서는 도시계획 시설의 하나로 규정되어 있다. 도로와 구별되며 유사시설로는 궤도, 철도 등이 있다. 삭도에 관한 규정은 삭도법으로 제한되어 있다. 삭도는 지면을 이용한 기계적 수송 이용수단이 어려운 산악, 계곡, 경사면 등에서 두 지점간에 직선으로 운송하는 특수 운수시설에 해당한다. 고공 삭도의 특징 -단주식 삭도 요즘은 거의 없으나 소규모로 이용되고 있으며 한 개의 지주나 철선에 의해서 Cabin이나 bucket이 왕복하는 것으로 한시적 또는 간헐적 이용에 쓰인다. 군사용이나 건설 현장 등에 많이 이용된다. One cabin system. -교주식 삭도 최근까지 가장 많이 이용되어 오는 시설로 우리나라에서 흔히 ‘케이블카’라고 불리우는 대부분의 형태이다. 보통 2대의 객차(Cabin)가 마주보며 한쪽에서 한 대씩 왕복하는 방법인데 한쪽에서 2대씩 마주 오가는 경우(four cabin system)도 있다. -순환식 삭도 여러개의 작은 객차(gondora)에 비교적 적은 인원이 타고 지속적으로 운행하는 방식으로 단선식(Mono)과 복선식(Bi)이 있다. 향후 삭도형식을 주도해갈 형태이며 최근 순환식 삭도의 단점을 보강한 형태가 복선식(bi-cable)으로 대용량의 Gondora(15~16인승)를 설치하여 수송능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 키워드: 삭도시설, 단주식 삭도, 교주식 삭도, 순환식 삭도 ※ 페이지: 124~129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