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Gaining a Foothold in Southeast Asian Construction Market
  • 환경과조경 2012년 4월

베트남 및 동남아시아 건설시장 진출을 위한 발판

맹수의 왕 사자도 먹이를 잡을 땐 최선을 다하는 법

국내 시행사 또는 건설사들의 해외 진출 사업의 경우 보통 국내에서 설계업무가 진행되는 관계로, 설계 초기 특별한 사전검토와 인식 없이 무분별하게 국내산 또는 태국산 자재들을 적용하여 최종 설계도서를 납품하곤 한다.
사업 초기설계단계부터 충분한 사전조사를 통한 현지에 적합한 설계를 준비했다면, 설계 단계에서부터 앞으로 발생할 수도 있는 원가 누수를 예방할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을 떨쳐버릴 수 없다. 2009년 개정된 관세 법령에 의해 한국으로부터 수입해 오는 조경시설물이나 석재 등에는 높은 관세율이 부과되고 있으며, 현지의 조경 자재 관련 전문업자조차 현지 내에서 찾을 수 없는 자재들이 종종 국내기업들의 사업 설계에는 여과 없이 반영되곤 한다.
또한 사업 수주를 통해 현지에서 자재 또는 인력수급업체와 계약을 진행하면서, 한국의 암묵적인 건설문화 환경과는 달리 개발도상국가이면서도 철저히 쌍방간에 서명된 계약조건에 의해 거래 및 이해관계가 성립된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계약서에 상세히 반영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누락된 사항은 고스란히 공사비 상승은 물론 최악의 경우 법정소송을 불러올 수 있다. 독자들에게는 무언가 당연한 얘기처럼 들릴지도 모를 일이나, 한국적 계약 관례에 의한 인식으로 현지 계약관계를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조언을 반드시 하고 싶다. 계약상의 쌍방간의 의무를 명확히 하고, 일방적 의무 소홀 및 계약파기 시 조치방안에 대한 것도 명확히 기술해 놓지 않는다면, 현지에서의 이방인이 가져야 하는 혹독한 설움을 겪게 될 것이다.
맹수의 왕 사자도 먹이를 잡을 때에는 탈진 상태까지 최선을 다한다고 한다. 그런데 베트남이나 동남아시아권의 개발도상국가에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을 보면, 경제후진국이라 하여 현지에서의 사업진행을 주먹구구식으로 무슨 일이든 용이하게 생각하고 일단 저질러 보고 수습한다고 해도 무엇이든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사고의 틀이 국내에서 사업하는 것과 별반 차이가 없다.
안갯속 같이 불투명한 환경 속에서 첫발을 내디뎌야 하는 데에도, 영어를 잘하고 코가 높은 선진국가의 서양인들에게는 두려워 감히 접근도 안 하려는 소극적인 우리가 이상하게도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우리 자신들이 가진 사고와 관습의 틀 속에 그들을 끼워 맞추려 한다. 이런 현상을 나는 ‘문화적 사대주의’라고 말하고 싶다. 이방인은 결국 잠시 길을 빌려 걸어가는 손님일 뿐이다. 베트남이든 그 밖의 개발도상국가들이든 그들이 가진 민족적 자긍심은 대한민국 못지않다. 우리와 다른 문화라고 해서 경시하는 것은 이방인의 자세가 아니다. 흔히 말하는 어글리 코리안은 이런 문화적 사대주의에서 출발한다. 이방인으로서, 손님으로서의 자세가 되어있지 않다면 당장 리턴 티켓을 들고 공항으로 돌아가는 것이 그들이 속해있는 기업을 위해서나 대한민국의 위상을 위해 훌륭한 선택이 될 것이다. 새로운 여정에 열정만큼 좋은 재산은 없을 것이다. 열정은 내일을 꿈꾸게 하고, 오늘 그 준비를 하게 만든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