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CODA] 말맛과 글맛
  • 환경과조경 2017년 6월

고민은 지난 5월호 특집 ‘빅데이터와 도시’에서 시작되었다. 한 필자가 보내온 원고에서 기획의 냄새가 물씬 풍겼다. 건축, 도시, 조경 계획 분야의 연구자와 실무자들에게는 낯선 딥러닝에 관한 내용을 다룬 글이었다. 글쓰기라면 건조한 논문이 익숙한 필자임이 분명한데, ‘-습니다’나 ‘-요’ 같은 격식, 비격식의 종결 어미를 섞어 높임법을 구사하고 있었다. 그리고 아주 쉬운 비유와 사례를 곁들였다. 분명 가볍지 않은 내용을 독자에게 친근한 목소리로 이해시키려는 구성 전략처럼 보였다.

 

원고를 앞에 두고 한참을 고민했다. 『환경과조경』은 아주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해라체’로 문체를 통일하고 있다. 이는 청자(독자)를 높이지도 낮추지도 않는 방식으로, 일종의 무표정한(중성적인) 표현법이다. 독자와 일정 정도 심리적인 거리를 유지하면서 정보를 적절한 무게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지에 어울린다. 독자를 높이지는 않지만, 독자 외에 다른 이들을 높이지도 않는다. 높여 표현하기 위해 ‘-시-’나 ‘께서’, ‘님’ 따위를 쓰지 않아서 글이 간결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평소의 원칙에 따라 원고를 모두 ‘해라체’로 바꿔놓고 보니 이상하게 딱딱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결국 필자가 원래 보내온 대로 원고를 복구했다. 그런 ‘삽질’을 해놓고 보니, 높임말을 고수하고 싶어 하는 필자들이 종종 있다는 사실이 떠올랐다. 그래서 우리가 ‘해라체’를 쓰는 좀 더 명확한 근거를 마련해야겠다는 생각에 오히려 높임말을 쓰고 싶어 하는 구체적인 이유가 알고 싶어졌다.

 

일분일초가 아까운 마감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태평양 건너에 살고 있는 필자에게 메신저로 말을 걸었다. “이번 원고에서 높임말을 쓰신 이유가 친절하고 쉽게 느껴지는 전달을 위한 전략인가요?” “음… 말씀하신 이유 외에도, 서양 언어에서 상하관계보다는 친소 관계에 따라 표현을 달리 하기도 하고, 반말인 ‘thou’가 점차 사라지고 일종의 존칭인 ‘you’만 남는 현상을 보면서 한국어도 그렇게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어요. 또 문어文語인 ‘해라체’와 입말 사이의 괴리가 지나치게 크다는 생각도 있었구요.”

 

몰랐다. 영어에 높임말이 없는 게 아니라 한국어에 반말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 대화는 우리 언어가 우리 사회의 수직적 상하 관계를 반영하고 있음을 상기시켰다. 말투 혹은 글투의 차이가 은연중에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증이 증폭되었다. 논문을 뒤져보니 흥미로운 주장을 찾을 수 있었다. 인지철학자 김광식 교수(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는 한국 사회에 널리 퍼진 수직적 문화를 바꾸기 위해 ‘반말공용화’를 제안하고 있다.(각주2) 그는 한국 사회에서 윗사람은 공공연하게 반말을 하고 아랫사람은 높임말을 하면서 실질적 불평등을 낳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리하여 아랫사람이 반말을 할 수 있어야 몸에 밴 순종의 문화를 걷어낼 수 있다는 급진적(?) 주장을 펼친다. 그래서 문어체 반말을 구어체 반말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예를 들면 “너는 대통령이다”라고 쓰거나, “너는 대통령인가?”라고 쓰고 말하자는 것이다. 김광식 교수의 주장에는 말의 형식이 말의 내용보다 행동 방식을 바꾸는데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담겨 있다. 그렇다면 현재 『환경과조경』의 편집 원칙은 사회적 평등을 실천하고 있는 셈인가? 하지만 만약 내가 “주간, 에디토리얼 원고를 빨리 주시오”라고 말한다거나, 혹은 김모아 기자가 나에게 “코다 원고는 아직인가?”라고 말한다면?! (과연, 말할 수 있기는 할까) 김광식 교수의 말처럼, 머리로 이해한다고 몸까지 저절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내용과 형식의 관계다. 『환경과조경』의 여러 원고 중에도 이러한 관계를 생각해 보기에 적절한 사례가 있다. 바로 주신하 교수의 ‘이미지 스케이프’다. 이 연재 꼭지는 『환경과조경』에서 거의 유일하게 고정적으로 높임말을 쓰고 있다. 서정적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사진 한 컷과 짧은 글로 이루어진 지면이다. 편집자 P는 ‘이미지 스케이프’의 원고를 ‘해라체’로 바꿔본 적이 있다고 고백했다. 문체를 바꾸면 어떤 변화가 있을지 궁금해서 애써 바꿔보았더니, 참 사소한 내용처럼 느껴지더라는 것이다. P는 “이 경우는 형식이 내용을 지배하는구나, 내용보다 형식이 더 중요하구나” 깨달았다고 한다. 높임말이라는 형식으로 인해 다정한 느낌, 혹은 친절한 감성이 전달된다는 것이다. 그의 말을 듣고 있자니 ‘감성’을 얹어서 전달하는 ‘다정한 『환경과조경』’은 어떨까 상상해보게 된다.

 

최이규 교수의 인터뷰 꼭지, ‘다른 생각, 새로운 공간’은 완전히 다른 차원의 사례다. 이 지면에는 교정의 원칙을 뛰어넘는 구어가 표현된다. 분명 문법에는 어긋나지만 인터뷰이의 이야기를 직접 듣는 것처럼 생생하게 울려 퍼지는 문장을 보고 있으면, 들고 있던 빨간 펜을 내려놓게 된다.

 

어느새 이번 호도 마감이다. 이번 달도 간결하고 무게 있는 글, 다정한 글, 펄떡이는 활어 같은 글들을 가다듬어 한 권의 잡지로 세상에 내놓는다. 독자 여러분에게는 어떤 글이 마음에 가닿을지 궁금하다.

 

1. 이 제목은 문체에 관한 단서라도 얻어 볼까 해서 자료를 뒤지던 중 발견한 한 문학 평론에서 빌려온 것이다. 민명자, “말맛과 글맛”, 『수필시대』 3, 2008, pp.280~288.

2. 김광식, “한국사회에 반말공용화를 묻는다: 인지문화철학자의 반말 선언”, 『사회와 철학』 28, 2014, pp.25~40.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