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이 회사들이 사는 법 ; 시장다각화, 세계를 무대로
  • 환경과조경 2006년 1월
좁아지는 국내시장
DDA협정의 타결에 따라 건축설계 시장개방이 불가피한 실정이니 미디어에서나 보던 ‘개방’에 대한 압박은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온 셈이다. 하지만 사회적 분위기는 이러한 국내 건축설계시장의 침체나 긴장된 분위기와는 대조적으로 시장개방도 되기 전에 이미 외국 스타건축가 모셔오기 열풍이 불고 있는 우스운 양상이다. 미술관, 대학캠퍼스를 비롯해 백화점, 명품관 등을 건설하거나 리모델링하는 클라이언트들은 차별화를 운운하며 외국 건축가들을 어떤 어려움에도 굴복하지 않고 쉴새없이 불러들이고 있고 마치 그들의 건축물은 국내 건축가들의 그것과는 격이 다른 듯 홍보매체와 손잡고 대선전을 하고 있다. 시행초기부터 주목받았던 삼성미술관 리움은 마리오 보타, 장 누벨, 렘쿨하스 등 세 유명 건축가의 참여만으로 이미 언론을 떠들썩하게 장식했고, 그 외에도 강남 교보센터, 아이파크타워 등 서울 곳곳에 외국 건축가의 이름을 건 건축물이 들어섰다. 이곳저곳에서 외국 유명 건축가들의 계획이 진행중일 뿐만 아니라 대규모 국제 설계공모전도 쉽게 눈에 띈다. 무엇을 바라고, 무엇을 생각하며 벌어지는 작금의 행태인지는 시행주체만이 알겠지만 ‘대한민국이 세계건축가들의 'mock up site'로 전락하는 느낌’이라는 한 건축가의 말이 빈말은 아닌 듯 싶다. 어쨌든 시장개방이 되기 전임에도 외국의 기술자들이 국내로 쉽게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니 시장개방과 함께 봇물처럼 쏟아져 들어올 것이라는 추측은 어렵지 않다.

이러한 실정이 우리와는 거리가 먼 건축계의 이야기로만 비춰질지 모르겠지만 P설계사무소 소장은 “해외의 유명건축가들과 함께 외국의 조경설계사무소들도 이미 국내에 발을 들여 놓았고, 아시아권 시장에 물밑작업을 하고 자리잡기 위해 준비중인 외국조경회사들도 이미 다수”라는 얘기와 함께 이제 시장개방이 다른 분야의 이야기만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그렇다면 마치 부와 명예의 인증인 것 마냥 외국 기술자들의 이름을 높게 사고 있는, 뭔가 특별하게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기를 바라는 클라이언트들의 경우 비슷한 금액을 조건으로 한 외국 설계가들의 달콤한 유혹을 뿌리칠 이유는 없을 것이다. 혹 새로운 건축문화를 선도해 보겠다든가 혹은 새로운 시도로 무언가 사회에 공헌한 듯한 업적을 남기겠다해도 역시나 나쁘지 않은 조건임에는 틀림없다. 적극적으로 영업을 시작하는 외국 설계사가 있다면 당연히 귀 기울일 수 있고, 유명 건축가가 추천하는 조경디자이너가 있다 해도 솔깃하긴 마찬가지다. 국내 조경시장은 어떠한가. 이미 굵직굵직한 대형 프로젝트들은 대형 설계사무소 몇 개가 섭렵하고 있고 나머지 소규모 프로젝트들에 수많은 설계사무소들이 바삐 움직이고 있다. 막연한 추측일지는 몰라도 외국 설계사가 밀려들어오며, 국내 대형 설계사로, 그리고…. 이러한 도미노식의 움직임이 생기게 된다면 국내시장은 자국이라는 이유만으로 결코 우리에게 유리한 조건이 못할 것이며, 절대 녹록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정부는 무분별한 외국 기술자들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몇가지 방책을 내놓고 있다고는 하지만 어떠한 방책도 점차 좁아지는 국내 시장에서 직접적인 자구력을 갖는 것보다 힘이 되지는 못할 것이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