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에디토리얼] 우연한 풍경은 없다
김연금 박사를 보내며
  • 환경과조경 2025년 1월호

비합리와 몰상식을 초월한 광기와 폭거, 12.3 비상계엄 내란 사태가 시민들을 다시 차디찬 광장으로 불러냈다. 안온한 일상을 빼앗긴 겨울, 45년 전으로 퇴행한 이 도시의 정치적 풍경 앞에서 여느 해 1월호처럼 새해의 잡지 편집 방향을 희망차게 전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다.

 

우여곡절 끝에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뒤 며칠 지나지 않은 지난해 12월 17일, 조경계에 비보가 날아들었다. ‘한평공원’의 주창자이자 커뮤니티 참여 디자인 이론가이며 어린이 놀이 환경 실천가로 분투해온 김연금 박사가 세상을 등지고 말았다. 그는 투병의 마지막 순간 남동생을 통해 자신의 페이스북에 끝인사를 남겼다.

 

“안녕하세요. 어쩌다 보니 청춘만 살았습니다. 항상 애쓴 만큼 보상이 적었다고 투덜거렸는데, 돌이켜 보니 함께해주신 분들이 계셔서 저의 청춘은 늘 신났습니다. 제가 생각했던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할 일 거의 다 하고 살았습니다. 그러니 여러분들도 저를 애처롭게 여기시지 않았으면 합니다. 저는 변함없는 가족들의 사랑으로 의연하게 마지막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 그릇이 크지 못해 저의 말과 태도로 인해 상처받으신 분들이 있다면 사과드립니다. 부디 용서해 주세요. 특히 포용력 있는 리더가 되지 못한 게 가장 후회됩니다. ‘조경작업소 울’의 새로운 리더는 포용력을 비롯해 모든 면에서 저보다 더 나을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많이 도와주세요. 누군가 가장 하고 싶은 일이 뭐냐고 묻는다면 두유와 토마토로 간단한 아침을 먹고, 요란스럽지 않은 미소로 반겨주는 근처 카페에서 커피 한 잔 마시며 책을 읽은 뒤 출근하고, 퇴근 뒤에는 가족들과 투닥거리며 저녁을 먹는 것입니다. 혹여 시간이 맞는다면 마음 맞는 친구와 만나 먹고사는 일 너머의 세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면 더욱더 좋겠죠. 그동안 정말 감사했습니다”(김연금, 2024년 12월 4일 수요일 오후).


1971년 서울 옥수동에서 태어나 자란 김연금 박사는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평생 옥수동에서 살았고, 바로 옆 동네 약수동에 ‘조경작업소 울’을 열어 참여와 소통, 연대와 돌봄에 뿌리를 둔 디자인 작업과 행동을 펼쳐왔다. 그는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조경학자이자 조경가였다. 박사논문을 개작한 첫 저서 『소통으로 장소 만들기』(한국학술정보, 2009)가 이론과 실천의 경계를 허무는 학문적 태도를 보여준다면, 마지막 저서 『놀이, 놀이터, 놀이도시』(한숲, 2022)에는 현장의 실험에 토대를 둔 조경가의 지혜와 열정이 짙게 배어 있다.

 

김연금 박사는 한국 조경 50년사가 낳은 몇 안 되는 글쟁이였다. 편집자가 일말의 주저함 없이 글을 청탁할 수 있는 필자였다. 그의 글은 논리적으로 명징했음은 물론 “진솔하고 명랑했다”(고정희). 김연금 박사의 저술 목록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우연한 풍경은 없다』(나무도시, 2011)는 삶의 장소와 실천의 실험실을 가로지르는 그의 글 풍경의 씨앗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별생각 없이 매일 스치는 풍경, 그 앞에 문득 서보자. 그리고 말을 건네 보자. 오늘 하루 어땠냐고. 좀 생뚱맞은 질문도 던져보자. 당신이 품고 있는 이야기는 무엇이냐고. 갑작스런 질문에 처음엔 서로 좀 어색하겠지만, 곧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우연인 듯하나, 절대 그렇지 않은, 삶의 필연성이 빚어낸 풍경이니까”(5쪽).

 

김연금 박사는 단독 저서뿐 아니라 여러 책 작업에 기획자로, 번역자로, 공동 필자로 참여했다. 그가 기획자 겸 편집자 역할을 맡은 『이어 쓰는 조경학개론』(한숲, 2020)은 조경학 전문 지식을 안내하는 지도 같은 책이다. 팀 워터맨의 원저를 번역한 『조경 설계 키워드 52』(나무도시, 2012)도 조경학과 교과서 목록에서 빼놓을 수 없다. 『텍스트로 만나는 조경』(나무도시, 2007),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다: 주민참여로 가꿔나가는 삶의 공간』(나무도시, 2009), 『용산공원』(나무도시, 2013), 『한국 조경의 새로운 지평』(한숲, 2021), 『한국 조경 50년을 읽는 열다섯 가지 시선』(한숲, 2022) 등에 필자로 참여한 글에는 이론과 실천, 비평과 설계를 횡단한 그의 여정이 고스란히 감광되어 있다.

 

책으로 묶이지 않은 김연금 박사의 글들은 『환경과조경』을 비롯한 여러 지면에 흩어져 있다. 아마도 공식적인 마지막 글은 채 맺지 못한 연재물 “공원에 간다(5): 서울숲, 따로 또 같이”(‘e-환경과조경’ 2024년 11월 11일)일 테다. 끝부분을 옮긴다. “그래서 그녀는 개인으로서, 작업의 일환으로서 미래에 공원을 만들고 싶어 한다. 혼자 소유하고 즐기는 정원이 아닌, 각자 즐기면서도 함께 하는 공원.”

 

『놀이, 놀이터, 놀이도시』의 필자 소개 글 마지막 몇 문장을 옮겨 적지 않을 수 없다. “천생 몸치라 공놀이며 고무줄놀이며 뭐든지 못했고 항상 깍두기였다. 그래도 최선을 다해서 놀았다. 다정한 환대와 집중의 시간이 좋았다. 그 기억으로 사는 것 같다. 얼마간 못 놀았다. 이 책을 시작으로 다시 놀려고 한다. 어린이들과 함께.” 허약하고 부박한 이 조경판은 남은 우리가 어떻게든 해볼 테니, 김연금 박사는 편안한 곳에서 마음껏 노시길.

 

2025년을 여는 이번 호는 본지가 주최한 ‘제7회 젊은 조경가’ 수상자 원종호(제이더블유랜드스케이프 소장) 특집호다. ‘보이지 않는 조경’의 힘을 실천해온 원종호 소장의 작업들, 그의 에세이 “보이지 않는 조경의 길”, 김모아 기자의 인터뷰, 파트너 정욱주 교수와 동료 최재혁 소장의 글을 특집 지면에 담았다. 원종호 소장의 조경 작품과 조경에 대한 생각을 한눈에 조감하는 기회가 되기를, 또 그의 작업을 촘촘한 비평의 장으로 불러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아울러 “100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2014년 1월호~2016년 12월호)의 필자 고정희 박사(써드스페이스 베를린 대표)가 8년 만에 돌아왔다는 소식을 전한다. 이번에는 매달 ‘우먼스케이프’로 독자 여러분을 만난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