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에디토리얼] 400호 시대를 맞으며
  • 환경과조경 2021년 1월

19827, 국내 최초의 조경 전문지 계간 조경이 창간됐습니다. 19856월에는 환경 그리고 조경으로(통권 9), 10호부터는 환경 & 조경으로 이름을 바꿔 달았습니다. 19871월에는 한 해에 네 번 나오는 계간지에서 두 달에 한 번 나오는 격월간으로 전환됐고(통권 15), 월간지로 바뀐 19921월호(통권 45)부터 쓰기 시작한 제호 환경과조경이 지금껏 유지되고 있습니다.

 

201310, 박명권 발행인 체제로 옷을 갈아입은 환경과조경20141월호(통권 309)를 기점으로 laK 브랜드를 새로 내걸며 대대적인 리뉴얼을 했습니다. 개편 첫 호 에디토리얼의 몇 구절이 생각납니다. “환경과조경조경 문화 발전소를 꿈꾼다. ‘한국 조경의 문화적 성숙을 이끄는 공론장’, ‘조경 담론과 비평을 생산하고 나누는 사회적 소통장’, ‘동시대 세계 조경의 보편성과 지역성을 수용하고 발굴하는 전진기지이 세 가지 비전을 지향한다.” 한 차례의 결호도 없이 간행되어온 환경과조경은 한국 현대 조경의 살아있는 아카이브라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 조경의 성장사를 기록하고 저장해왔으며 동시대 조경의 담론과 쟁점을 발굴하고 그 경계를 확장해왔습니다.


통권 400호가 더 중요한가, 창간 40주년이 더 의미 있는가. 20218월호는 400, 20227월호는 40주년 기념호입니다. 작년 늦가을 어느 오후의 편집회의, 다음 해 지면의 큰 흐름과 줄기를 구상하다가 예정에 없던 토론이 벌어졌습니다. 결국 일이 커지고 말았습니다. 느슨하게 시작된 편집 구상이었는데, 400호 기념 일회성 콘텐츠를 기획하는 수준을 넘어섰습니다. 2021년에는 환경과조경의 발자취를 다각도로 되돌아보며 한국 조경의 현대사를 촘촘히 되짚는 지면을 매달배치한다는 대형 기획으로 확장됐습니다.


연중 기획의 하나로 이번 호부터 7월호(399)까지 환경과조경400호 돌아보기가 시작됩니다. 여덟 명의 필자가 매달 50권씩 과월호를 리뷰하는 기획입니다. 창간호부터 통권 50호까지 시간 여행을 떠나는 첫 주자는 무려 20세기부터(19991월호부터) 환경과조경을 만들어온 남기준 편집장입니다. 다음 달에는 최장수(20141월호~현재) 편집위원인 박승진 소장(디자인 스튜디오 로사이)51호부터 100호까지 이어 읽기를 맡습니다. 여러 편집위원과 편집자가 매달 50권씩 릴레이 리뷰를 이어갈 것입니다.

 

4월호에 다룰 편집 디자인 변천사는 독자 여러분의 아련한 추억을 소환하게 될 것입니다. 5월호에는 전직 편집자들이 참여합니다. 우리 기억 속에 희미하게 묻힌 특집 기사와 작품을 그들의 기억을 통해 다시 길어 올리는 지면을 꾸립니다. 7월호에는 환경과조경의 옛 얼굴, 399장의 표지와 재회하는 기획을 마련합니다. 잡지 한 권으로 40년 가까운 긴 시간을 가로지르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가장 궁금한 건 통권 400호인 8월호의 내용과 형식이겠죠? 독자 여러분의 테이블에 잡지가 놓이기 전까지는 일급 비밀이랍니다.


독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방안도 다듬고 있습니다. ‘다시 읽고 싶은 연재 원고는?’이라는 설문에 곧 독자 여러분을 초대할 계획입니다. 독자들이 뽑은 10대 연재물의 옛 필자를 초청하는 지면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편집부와 편집위원회는 조경설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국 현대 조경 대표작을 묻는 설문도 기획하고 있습니다. 이 기획은 2022년 세계조경가협회IFLA 학술대회 광주 개최 및 한국 조경 50주년을 맞아 출간될 한국 조경 50+50(가제)과도 연계됩니다. 400호 시대를 맞이하는 2021, 환경과조경은 한국 조경의 지난 50년을 기록하고 다음 50년을 설계하는 최전선에 서겠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를 기다립니다.

 

2021년의 문을 여는 이번 호는 3회 젊은 조경가수상자인 최영준 특집입니다. 중국과 미국, 한국을 넘나들며 다국적 조경설계사무소 랩디에이치(Lab D+H)를 이끌고 있는 최영준, 그의 조경관을 요약하는 가장 중요한 어휘는 오피스 이름의 H, 곧 희망(hope)입니다. 특집 지면에 담은 그의 에세이, 열두 가지 설계 키워드, 인터뷰에서 우리는 디자인을 통해 희망과 사회적 책무를 구현하기 위해 이웃을 향한, 이웃을 위한 조경을 실천해온 그의 젊은 조경 정신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와 협업해온 건축가 이치훈(SoA)이 말하듯(본문 63), “최영준의 젊음은 조경이 처한 사회적 조건의 불합리함을 정면으로 응시하고 정확하게 대응합니다. “불합리함에 불평하기는커녕 조경가가 다루어야 하는 공간의 구조에 관한 다채로운 제안으로 대응합니다. “변죽을 울리는 일 없이 늘 핵심으로부터 출발합니다. 이런 태도를 기반으로 한 그의 지속적 작업은 한국 사회에서 조경가의 유의미한 역할 모델을 만들어가는 역사이기도 합니다. 이번 호 지면뿐 아니라 그의 3년 전 연재 원고 그들이 설계하는 법”(20181월호~3월호)도 함께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새 꼭지 나의 미개봉작 상영기를 엽니다. 3개월씩 이어갈 꼭지의 첫 필자는 이남진(바이런소장)입니다. 윤정훈 기자의 지면은 편집자의 서재에서 기웃거리는 편집자, 본문 마지막 쪽 김모아 기자의 지면은 ‘CODA’에서 편집자가 만난 문장들로 새 제목을 답니다. 물론 이름만 바뀐 건 아니겠죠?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