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처럼 바람의 온도가 미지근해질 때쯤 대학을 졸업했다. 그렇게 벗어버리고 싶던 학생 타이틀과의 작별인데, 학사모를 공중으로 던져 올릴 때 마음이 마냥 홀가분하지는 않았다. 졸업장을 책장에 꽂고 나니 덜컥 겁이 났다. 꽤 오랜 시간 조경을 공부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배운 게 무엇일까 생각하니 막막해졌기 때문이다.
한때 인터넷을 떠돌던 곤충대학교 파리학과 이야기가 떠올랐다. 이 우스갯소리는 당신을 파리학과에 갓 입학한 신입생으로 가정한다. 열심히 파리의 앞다리론, 중간다리론, 뒷다리론, 날개론을 공부한 당신은 곧 졸업생이 된다. 취업과 진학의 갈림길에서 대학원을 택하고, 뒷다리를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 그간 배운 게 겉핥기에 불과했다는 걸 깨닫는다. 박사과정에 들어가면 상황은 더 심화된다. 연구 주제는 뒷다리에 난 두 번째 털이다. 물론 뒷다리에는 수만 개의 털이 있고, 어떤 털은 아무도 연구하지 않아 아직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도무지 끝이 날 것 같지 않다. 이처럼 한 학문의 범위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넓다. 그렇다면 어떤 학문을 다루는 잡지의 태도는 어때야 할까.
잡지, 그중에서도 전문지는 특정 분야에 대한 갈증을 느끼는 사람들을 위한 매체다. 일반 매체에서 얻기 힘든 정보를 제공하고, 주목해야 할 이슈를 선별해 전달하고, 아카이브(archive)로서 기록하는 일에도 소홀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다. 어떤 콘텐츠를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얼마만큼의 깊이로 다룰 것인가. 파리의 모든 것을 담자니 깊이가 얕아지고, 그렇다고 뒷다리의 털들만 들입다 들여다볼 수는 없는 노릇이다. 주제 자체가 대중에게 친근하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아쉽게도 조경은 아직 사람들에게 낯선 존재다. 결국 중요한 건 균형일 테다. 파리를 잘 모르지만 조금 관심이 있는 사람들의 궁금증을 유발하면서도 뒷다리 털 전문가가 보기에도 유치하지 않은 잡지.
지난 2월 6일, 새로운 편집위원과 함께한 회의에서도 대중성과 전문성의 균형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오갔다. “잡지가 다루는 콘텐츠의 범주를 확장”하거나 “인접 분야를 적극적으로 다뤄 학제 간의 벽을 허물어” 좀 더 많은 독자에게 다가가자는 제안이 있었다. 반면 “오히려 더 깊이 있는 조경 정보를 제공하는 게 해법일 수도 있다”는 접근도 있었다.
대중성과 전문성은 얼핏 반대되는 개념처럼 느껴지지만 사실 꼭 그렇지만은 않다. 지난 1월 민음사가『 릿터』(문학 잡지)와『 크릿터』 (비평 무크지)에 이어 인문 잡지 『한편』을 새로 선보였다. 초판 3,000부는 출간 일주일 만에 매진됐고, 같은 기간 정기구독자는 천 명을 돌파했다. 나 역시 ‘책보다 짧고 논문보다 쉬운 한편의 인문학’이라는 슬로건에 홀려 정기구독 버튼을 클릭했다. 일주일에 한 번 발행되는 뉴스레터, 정기구독자는 무료로 참석 가능한 공개 세미나에서 독자와 친밀감을 형성하겠다는 의지가 느껴진다.
2월에는 지역성이 담긴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그룹 올어바웃(All About)이『 어바웃 디엠지About DMZ』 시리즈의 창간을 알렸다. 접경 지역의 숨겨진 이야기를 발굴해 음식, 지역 제품, 관광 등 여러 키워드로 엮는 기획은 와디즈Wadiz(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펀딩 350%를 달성했고, 발간 기념 이벤트에는 120여 명의 인원이 참여했다. 인문학과 디엠지가 이렇게나 ‘핫’한 주제였나?
결국 대중성이란 파리의 뒷다리든 수많은 털 중 한 가닥이든, 그 소재를 분해하고 군침이 도는 모양새로 다듬어 다시 조합하는 편집 기획이 만드는 건지도 모르겠다. 소비할 수 있는 콘텐츠가 넘쳐나는 시대, ‘취향’은 ‘나다움’을 보여줄 수 있는 대표 수단이 되었다. 말 그대로의 잡지雜紙(섞일 잡, 종이 지)가 아닌 소수의 취향 공동체를 겨냥한 독립 잡지가 호응을 얻는 현상1역시 취향의 시대의 단면을 보여준다. 자꾸만 이 현상을 취향을 저격하는 전문성이 곧 경쟁력임을 보여주는 방증이라고 해석하고 싶어진다. 『환경과조경』이 어떤 취향의 상징이 된 모습을 상상해본다. 나만 알고 싶은 잡지가 자꾸 유명해지고 있다고 속상해 하는 열독자들의 투덜거림까지.
각주 1. 이영희, “잡지, 취향과 기호로 부활하다”, 「중앙일보」 2017년 12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