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장식품과 같은 조형물은 조경 공간의 분위기를 크게 좌우하지만 선정 과정에 조경가의 의지를 반영하기는 어렵다. 미술 장식품이 시공 이후에나 공간 설계와 어울리는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하는 시점에는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광명역 자이타워에 설치한 조형물은 설계자의 의도에 부합하게 배치해 예측 불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조형물을 조경 설계의 중요 요소로 받아들인 결과물이다.
현상설계 당시에는 미술 장식품을 제안하는 정도의 계획안을 작성했지만, 미술 장식품의 선정 과정에 참여하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조경 시설물을 직접 설계하기로 했다. 커다란 수전 형태의 장식품을 수경 시설과 결합한다는 기존의 의도를 충족하고자 했다. 먼저 현장에서 제작하기 어려운 장식적 요소를 최소화했다. 매끄러운 표면과 내구성을 고려해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에 분체 도장을 하는 안을 채택했으며, 강관의 곡선 가공 시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소 곡면 가공 반경을 설정했다.
작은 수전을 크게 확대한 형태로 구현하는 조형물인 만큼 세밀한 부분까지 표현해야 했다. 핸들의 움푹 팬 부분을 묘사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관을 이중으로 설치하는 등 진짜로 작동하는 수전은 아니지만 실제와 근접한 형태로 제작했는데, 이를 위한 디테일을 도면에 충분히 표현해 현장에서 위화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했다. 강관의 특성상 마감 면이 없는 양측 면에 스테인리스 강판을 추가해 마감 처리를 했다. 이를 도면에 지시선을 이용해 표현함으로써 현장에서 시공이 누락되지 않도록 했다.
이 조형물의 또 다른 용도는 물을 담는 수경 시설로, 그릇 형태의 수반이 필요했다. 수전과 어울리는 개수대 형태의 수반을 만들기로 했다. 조형물과의 일관성을 위해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수반을 제작했다. 크게 제작된 수전과의 비례를 고려해 두께 1cm의 강판을 사용했으며, 두께감을 표현하기 위해 강판 측면부에 평면과는 다른 색상의 도장을 적용했다. 조형물과의 완결성을 위해 자칫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수경 설비들을 별도의 피트pit(일종의 구덩이) 공간으로 분리했다. 시설물의 파손 위험을 줄이고 녹지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형물 후면의 보도 포장 구간을 펌프 피트 위치로 활용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82호(2020년 2월호) 수록본 일부
김창한은 서울시립대학교를 졸업했다. 기술사사무소 렛(LET)을 거쳐 조경그룹 이작에서 실시설계 내역실을 이끌고 있다. 작은 교량 하부 공간부터 도시 기반 시설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현재는 실시설계 디테일 제작과 내역 실무에 집중하고 있다. 주요 작업으로는 신한은행 진천연수원, 제비어울림공원, 충북혁신도시, 의정부고산지구, 진주 영천강 천변 특화설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