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추의 절정, 이번 달에는 중국을 넘어 글로벌 조경 무대의 최전선을 이끌고 있는 유쿵졘(Yu Kongjian)과 그의 설계사무소 투런스케이프(Turenscape)의 근작들로 특집을 꾸렸다. 1998년 문을 연 투런스케이프는 설계 인력만 600명에 달하는 초대형 조경설계사무소로 성장했고, 좁은 의미의 조경설계는 물론 옴스테드의 비전을 연상시키는 도시와 지역계획, 맥하그의 맥을 잇는 광역 생태계획을 조경의 범주 속에서 실천함으로써 전 세계 조경계의 조명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도시 공간과 생태계의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고유한 설계 문법과 기술을 통해 구현하는 데 주력하면서 조경 이론과 실천의 지평을 확장하고 있다.
하버드 GSD에서 서구의 첨단 설계와 계획 지식을 익히고 귀국한 유쿵졘은 중국의 국가 지도자, 정치 엘리트, 시장들에게 조경 계획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설득하는 일을 멈추지 않았다. 베이징 대학교에 조경대학원을 신설한 그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10년에 걸쳐 중국건설성·시장연석회의에서 조경 강의를 이어갔다. 2008년 중국 국가생태보안계획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그는 국가 규모의 생태적 어바니즘(ecological urbanism) 의제를 세우기에 이른다.
유쿵졘과 투런스케이프의 혁신적 사고와 실천이 성공한 배경에 하향식 정치 구조, 중앙집권적 의사 결정 체계, 급속한 도시화 진행, 서구 과학과 기술의 수용 등 현대 중국의 독특한 상황이 있음은 분명하지만, 이 때문에 그의 성과를 저평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유쿵젠은 서구에서 수입한 계획 지식과 설계 기법을 전대미문의 속도로 진행된 중국 도시화의 문제 해결에 접속시켰을 뿐만 아니라, 중국 고유의 토지관과 농업적 지혜를 재발굴하여 지속 가능한 회복탄력적인 도시 환경을 설계하는 데 적용했다. 투런스케이프의 작업들은 일찍이 케니스 프램턴(Kenneth Frampton)이 주장한 ‘비판적 지역주의(critical regionalism)’가 조경을 통해 가장 적극적으로 실천된 예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유쿵졘과 투런스케이프의 성과가 생태학 기반의 광역 스케일 계획 작업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유쿵졘은 10년 전에 발표한 글 “아름다운 큰 발: 새로운 조경미학을 향하여”(Harvard Design Magazine 31, Fall/Winter 2009/10)에서 중국의 전통 원림을 관통하는 장식과 허위와 사치를 비판하고, 생산적이고 지속 가능한 생존의 예술art of survival로서 조경설계의 미학적 지향을 제시한 바 있다. 여기서 ‘큰 발’은 중국의 전통문화인 전족(작은 발을 만들기 위한 발 묶기)의 상대 개념이며, 전족은 화려하고 세련된 전통 원림 미학을 비유한다. 즉 그가 주장하는 ‘큰 발의 미학’은 도시 최상류층의 장식적 원림 미학을 극복할 수 있는 농부의 경관 미학이다. 동시대의 의제로 표현하자면, 표피적 욕망으로 가득한 도시 미학을 대체할 수 있는 생존과 생산의 환경 미학인 셈이다. 전 세계 조경계의 주목을 끌어냈던 초기 작업들, 즉 융닝 강 수상 공원, 중산 조선소 공원, 선양 건축대학 캠퍼스, 탕허 강변 레드 리본 파크 등을 통해 유쿵졘은 ‘큰 발의 미학’을 실험했고, 이번 호에 소개하는 프로젝트들 역시 이러한 미학의 연장선상에 있다.
참, ‘유쿵졘’이라는 표기에 의문을 던질 독자들이 적지 않을 것 같다. 『환경과조경』은 신중한 논의와 토론 끝에 이번 특집을 계기로 ‘콩지안 유’로 쓰던 관례를 버리고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기로 했다. 동양의 인명과 지명 표기에 관해 외래어 표기법 4장 2절은 “중국 인명은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蘇東坡는 소동파이고, 毛澤東은 모택동이 아니라 마오쩌둥이다. 한국 조경계에서 그동안 兪孔堅을 콩지안 유라고 부른 것은 Kongjian Yu라는 영어권의 표기를 그대로 음차했기 때문일 텐데, 習近平을 우리말로 습근평이 아니라 시진핑으로 적고 영어권에서도 Jinping Xi가 아니라 Xi Jinping으로 적는 것과 비교한다면 콩지안 유라는 표기는 옳지 않다. 兪孔堅은 동시대 중국인이므로 유공견, 콩지안 유, 유 콩지안, 쿵졘유가 아니라 유쿵졘으로 표기해야 한다는 것이 『환경과조경』 편집부의 판단이다.
특집 지면의 인터뷰를 위해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은 랩디에이치(Lab D+H)의 최영준 소장과 리중웨이 소장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지면이 넘쳐 ‘이미지 스케이프’와 ‘도면으로 말하기, 디테일로 짓기’를 다음 달로 넘기는 점, 독자 여러분의 양해를 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