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편집자의 서재] 쓰기의 말들
  • 환경과조경 2019년 3월


lak371(2019년3월호)_웹용-125.jpg

흥겨운 비트의 음악이 흘러나오면 마음이 거품처럼 부풀어 오른다. 기꺼이 리듬에 몸을 맡길 수 있으면 좋으련만 아쉽게도 그럴 수 없다. 곤혹스럽다. 쿵쿵대는 박자에 맞춰 요란하게 팔다리를 놀리고 싶지만, 이를 따랐다간 요상한 정체불명의 동작을 구사할 게 뻔하다. 이럴 때는 내적 댄스를 즐기는 것으로 만족한다. 추고 싶은 춤을 마음껏 상상하면서.

 

내적 댄스 본능을 자극하는 곡처럼 ‘내적 글쓰기’를 유발하는 순간들이 있다. 쓰린 일들이 마음을 사정없이 할퀼 때, 소위 말하는 인생 영화를 만나 먹먹한 마음으로 엔딩 크레디트를 바라볼 때 같은. 개인적으로는 남이 잘 빚은 글을 읽을 때 쓰고 싶은 충동이 빈번하게 인다. 읽는 속도를 늦추고 단어 하나하나를 곱씹게 만드는 보석 같은 문장 앞에 서면 글쓴이에 대한 시기와 질투도 잠시,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하나의 주제를 헤쳐서 나의 언어로 다시 빚어내고, 내가 느낀 감정의 근원과 빛나는 순간을 기록해두고 싶다. 머릿속에서 단어가 반짝이고 쓰고 싶은 문장이 둥실 떠오른다. 물론 막상 쓰려고 하면 막막하고 귀찮아 보통은 생각에 그치고 말지만.

 

『쓰기의 말들』은 글쓰기에 관한 책이지만 쓰는 방법보다 쓰고 싶게 만드는 문장으로 채워져 있다. 저자 은유는 치열한 읽기를 통해 쓰는 자리로 나아간 작가다. 그가 수집한 옥석 같은 문장을 보다 보면 나의 말과 언어가 얼마나 남의 생각으로 오염되어 있는지, 사소한 감정과 일상에 얼마나 무심했는지를 깨닫는다. “글을 쓴다는 것은 나를 나 아닌 실험장으로 만드는 일이다.”(잉게보르그 바하만) 쓰기를 통해 또 다른 나를 일궈낼 수 있을 것 같다. “작가의 임무는 평범한 사람들을 살아 있게 만들고, 우리가 평범하면서도 특별한 존재라는 사실을 일깨워 주는 것이다.”(나탈리 골드버그) 작가는 아니지만 글의 힘을 일깨워주는 말이다. “글쓰기의 실천은 기본적으로 ‘망설임들’로 꾸며집니다.”(롤랑 바르트) 쓰지 않고 망설였던 시간, 결국 아무것도 쓰지 못했던 시간도 괜찮다는 위로를 받는다. “칼럼은 편견이다.”(김훈) 글을 통해 생각 드러내기를 주저하던 내게 용기를 불어넣는다.2 덩달아 키보드를 치는 손끝이 경쾌하게 움직인다. 머리말의 마지막 문장은 책이 추구하는 바를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 “‘쓰기의 말들’이 글쓰기로 들어가는 여러 갈래의 진입로가 되어 주길, 그리고 각자의 글이 출구가 되어 주길 바라는 마음이다.”3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를 다룬 이번 호 또한 누군가의 쓰기로 향하는 진입로가 될 수 있을까, 소심한 기대를 걸어본다. 편집부는 ‘비평’과 ‘이달의 질문’ 지면에 광화문광장에 대한 쓰기의 말들을 수집했다. 말들은 새로운 광장을 향한 기대를 담기도, 광장을 둘러싼 불같은 풍문을 아슬아슬하게 탐색하기도, 정치화된 광장을 조롱하기도, 광장에 투사된 욕망의 근원을 추적하기도 한다. 이 문장들이 누군가의 내적 글쓰기 본능을 유발할 수도 있지 않을까. 몸치 혹은 글치면 어떤가. 비트에 몸을 맡기다 보면 나같이 서툰 춤사위를 보이는 또 다른 이를 만나게 될지도. 정치 논리라는 하나의 불길로 한껏 달았다 금세 식어가는 광장을 뭉근하게 데우고, 맛 좋은 담론을 형성하고, 건강한 공론화의 장을 차릴 수 있을지도 모른다.

 

각주 정리 

1. 은유, 『쓰기의 말들』, 유유 출판사, 2016. 

2. 위의 책, p.152, 88, 110, 216.

3. 위의 책, p.19.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