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도면으로 말하기, 디테일로 짓기] 파라메트릭 정원
  • 환경과조경 2019년 1월


lak369(2019년1월호)_웹용-103222.jpg

 

사실은 하고 싶었던 얘기가 바다 위의 거품만큼 많았을지도 모른다. 모두가 전통적인 하드록 밴드 구성으로 정원박람회라는 무대에 오를 때, 혼자서 미디 컨트롤러(MIDI controller)를 들고 드럼 앤 베이스(장르)를 연주하러 올라갔으니까. 우리가 설계 도면에 대해 이야기할 때 전형적인 플랫 베이스를 생각하며 프로젝트를 시작한다는 건, 디자이너 스스로 그의 가능성을 오랜 아날로그의 가동 범위 안에 제한하며 시작한다는 말과 같다. 라디오헤드가 오케이 컴퓨터(Ok Computer)앨범 이후 밴드의 근본적인 방법론을 바꾸지 않았다면, 우리는 3집 이후 쇠락해가는 흔한 뮤지션의 자기 소모를 지켜봐야 했을지도 모른다. 때로는 숙련된 전문가라는 말이 갖는 양가적 모순을 지향하기보다, 새로운 이해의 영역에서 시작하는 노력을 통해 자기 정체성을 즐겁게 구성해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고전적인 정원 설계는 본래 단순 미학을 지향했다. 패턴과 밀도, 볼륨, 색채의 조합은 디자이너의 세심한 조정을 거쳐 보편적인 아름다움으로 새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이념의 시대에 그 단순한 디자인 구조를 탈피하려는 노력이 이제는 다소 과해져, 정원의 본질과 변형들을 되려 오해하기 쉽게 만들었다. 공간을 실제적으로 디자인하는 노력보다 전시적 주제를 백일장처럼 구현하는 유행이 정원박람회장마다 흘러넘쳤고, 쇼가든은 해변을 가득 메운 산란기의 바다거북만큼이나 부담스러워졌다.

 

그래서 정원박람회장의 무대에 서기로 했다. 텔레캐스터(telecaster)가 아닌 미디 컨트롤러를 등에 메고, 고전적인 정원 설계의 미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야 한다며 누가 시키지도 않은 사명을 홀로 작성해서. 프로세스 설계는 하나의 중심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오픈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새로운 변수들을 매개하여 여러 가능성을 시도하는 방법이다. ...(중략)... 

 

* 환경과조경 369(20191월호) 수록본 일부

 

나성진은 서울대학교와 하버드 GSD에서 조경을 전공했다. 졸업 후 한국의 디자인엘, 뉴욕의 발모리 어소시에이츠(Balmori Associates)와 제임스 코너 필드 오퍼레이션스(JCFO)에서 실무 경험을 쌓고, West 8 로테르담과 서울 지사를 오가며 용산공원 기본설계를 수행했다. 한국, 미국, 유럽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귀국 후 파트너들과 함께 얼라이브어스(ALIVEUS)라는 대안적 그룹을 시작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