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양산보
짧은 유학, 긴 산림처사
양산보(1503 ~ 1557, 호는 소쇄공瀟灑公 또는 처사공處士公) 는 조선 중기 사화의 소용돌이를 비켜 살았던 사람이다. 나이 17세 되던 해에 스승 조광조가 하루아침에 몰락하는 것을 가까이에서 목격하고는 그길로 벼슬길을 접고 고향으로 내려와 다시는 세상으로 나가지 않고 생을 마쳤다. 한참 세상을 향한 푸른 꿈을 키우던 청년 양산보에게 탁월한 학식과 도덕적 가치로 당시 조정을 쥐락펴락했던 스승이 졸지에 사약을 받아 죽임을 당한 사건은, 자신의 삶을 송두리째 바꿀 만큼 충격적인 일이었다. 10대 후반에 좌절된 청운의 꿈 대신에 택한 은자로서의 삶을 죽을 때까지 흐트러짐 없이 지켜낸 그는 진정한 처사(處士) 로 높이 평가받았다.
비록 본의 아니게 포기한 벼슬이었지만 중년 이후 몇 번에 걸쳐 들어온 벼슬 제의에 일절 응하지 않았던 그가 평생 지키려 애썼던 가치는 ‘소학(小學) ’으로 대표되는 도의와 윤리적 규범이었다. 양산보와 비슷한 시대를 산 율곡 이이는 “참된 유자(儒者) 는 벼슬길로 나가서는 당대의 도를 실천하여 백성들에게 자유로운 즐거움을 누리게 하고, 물러나 은거하면 만세에 가르침을 전하여 배우는 이로 하여금 큰 깨우침을 얻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양산보는 근처에 있던 옛 절터에 죽림재라는 서당을 지어 제자들을 가르치기도 했고, 가난한 이들의 혼인이나 장례를 돕는 등구휼에도 힘써 인근에서 두루 칭송과 존경을 받았다. 조선 선비의 신념으로서 출처지의(出處之義)를 제대로 실천한 그의 삶은 당대는 물론 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들의 본보기가 되었다.
정원가로서 소쇄옹 양산보
평생 단 하나의 정원을 조영했지만 양산보는 한국 최고의 정원가로 손색이 없다. 필자는 그 근거를 대략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고 본다. 첫째, 정원 자체가 심미적으로 빼어나다는 점이다. 소쇄원은 흔히 한국 정원의 특질을 가장잘 보여주는 현장으로 불린다. 기존 계류와 지형에 맞춰 자연스럽게 구성한 공간의 영역이나 요소의 안배, 그리고 그것들이 이루는 시각적 연계와 동적 연결성이 자연스러우면서도 극적 효과를 연출한다. 둘째, 정원에 담긴 뜻과 이상이 각별하다는 점이다. 정원을 작정자의 이상이나 신념이 표상되는 장소라고 보면 소쇄원은 그 대표적 현장이라할 수 있다. 소쇄원 곳곳에는 양산보의 도가적 꿈과 유가적 이상이 담겨 있다. 광풍각과 제월당의 이름은 물론 대, 오동, 버들, 복숭아, 연 등의 식물 그리고 애양단, 오곡문, 대봉대, 도오(복숭아나무 둔덕)등이 그 대표적 산물이다. 셋째, 소쇄원은 양산보 당대는 물론 이후에도 수많은 문인이 찾아 시를 짓고 문예를 즐겼던 곳이다. 문화 예술 발전소이자 향유 무대로서 정원의 효용을 한껏 발휘한 대표적 현장인 것이다. 문예 창작보다는 예학(禮學)과 수신( 修身) 에 더 치중했던 양산보가 남긴 글은 그리 많지 않지만 그가 교유했던 송순 (1493 ~ 1582), 김인후(1510 ~ 1560), 김윤제(1501 ~ 1572) 등은 수시로 소쇄원을 찾아 많은 시문을 남겼다. ...(중략)...
* 환경과조경 364호(2018년 8월호) 수록본 일부
성종상은 서울대학교에서 조경을 공부한 이래 줄곧 조경가의 길을 걷고 있으며, 지금은 대학에서 조경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선유 도공원 계획 및 설계, 용산공원 기본구상,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장 마스터플랜, 천리포수목원 입구정원 설계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한국 풍토 속 장소와 풍경의 의미를 읽어내고 그것을 토대로 풍요롭고 건강한 삶을 위한 조건으로서 조경 공간이 지닌 가능성과 효용을 실현하려 애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