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의 의의
축제란 종교, 사회, 문화 등의 어떤 사건이나 절기를 기념하여 일정한 날이나 기간에 의례적으로 축하하는 행위이다. 전통적으로 축제는 노동 및 일상생활의 희로애락과 관련된 공동체적 결집의 발로였다. 노동의 수고를 풀고 집단의 결속을 다짐으로써 공동체의 재생산이 가능해진다. 축제를 통해 지역주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관심과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축제가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 축제는 문화적이다. 초자연적 존재에 대해 제물을 바치고 순종과 감사, 기원을 나타내는 종교적 의식에서 사람들은 심신에 정성을 다하게 된다. 좋은 음식을 만들고 아름다운 옷을 차려입고 집과 거리를 장식한다. 시를 읊고 노래를 부르며 음악에 맞추어 춤추고 행진한다. 기념물을 만들고 특별한 행사를 만들어낸다. 이 때문에 축제는 문화의 정수이며, 예술의 종합이 되는 것이다.
둘째, 축제는 공동체적이다. 공동체가 다 같이 기릴만한 시기와 날을 잡아 함께 모여 의례를 치른다. 이러한 행사를 같이 준비하고 치르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는 정체성을 확인하고 연대의식을 강화하여 구성원간 결속을 다지게 되는 것이다.
셋째, 축제는 지역적이다. 농촌은 추수에 감사하고 어촌은 풍어를 기원하며, 전후에는 개선을 경축하고 평시에는 태평성대를 구가하며, 옛 전설과 풍속을 이어가는 것이 축제다. 따라서 축제는 지역의 일상을 농축한 생활의 단면이자 삶의 다른 모습이다. 자연과 삶의 방식이 곳에 따라 다르므로 축제도 당연히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다.
따라서 축제는 독특한 공동체 문화가 응축되어 외화한 형태로 발전한 것이다. 축제는 지역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것이며, 그 지역의 장소성에 뿌리내리고 있다. 그러나 이는 역으로 축제를 개최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적인 노력이 경주되어야 하고, 또한 지역의 개성 및 문화적 특성을 응집하여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한편, 문화예술 향유와 그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대사회에서 축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더 이상 순수하지만은 않다. 현대사회에서 축제는 도시 이미지 향상을 통하여 경제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동시에 지역주민의 자긍심 및 애향심을 고취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 되었다. 축제는 장소마케팅의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축제를 둘러싼 제집단의 이해관계를 통해 전략적이고 목적의식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지역축제들도 장소마케팅의 논리에 깊숙이 젖어 있다.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성장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지역축제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것은 겨우 십여년 남짓한 일이지만, 그 축제들을 한눈에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연중 개최되는 축제 수가 공식, 비공식을 합하면 천여 개가 훌쩍 넘는다고 하니, 산술적으로만 따져도 매일 3개 정도의 축제가 전국 어딘가에서 열리고 있다는 계산이다. 게다가 동네 백일장으로부터 역사재현까지 다양한 행사들 중 어느 범위까지를 축제라고 할 것이냐에 대한 명확한 정의도 없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현재 가장 공신력을 갖고 있는 축제관련 통계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해마다 각 시·도에서 개최되는 축제현황을 제출하도록 하여 이를 자료로 축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08년 현재 전국 각 시 · 도에서 934개의 축제가 개최(예정)되고 있다.
장소마케팅의 수단으로서 지역축제의 문제점과 발전가능성/ 지역축제 전략의 문제점과 발전가능성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많은 축제들이 개최되는 배경에는 이와 같은 장소마케팅의 효과에 대한 기대가 존재한다. 그리고 기대 이상의 효과를 거둔 축제들도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그보다 훨씬 많은 지역축제들이 비판받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지역축제가 양적 팽창에 어울리는 질적 성장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축제에 대한 비판은 크게 두 축으로 전개되고 있다. 우선 지역문화 활성화의 입장에서 제기된 비판을 들 수 있다. 이 입장에서는 비판의 초점을 주민의 소외나 지역정체성의 손상 등 축제 개최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 심화나 문화의 왜곡, 문화적 진정성 파괴 등과 같은 문화적 측면에 두고 있다.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지역의 공동체문화가 보존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품화되고 왜곡되며 고유의 정체성은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이미지 고양과 경제적 파급효과는 어느 정도 달성되었거나 부차적인 문제로 파악한다.
반면, 지역축제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강한 의구심을 제기하는 연구들도 있다(장경석, 2001). 비록 축제가 도시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지역주민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등의 무형의 효과를 가지고 있을지라도, 관광과 문화산업 육성, 외부로부터의 투자유치 증대와 같은 경제적 효과를 실제로 낳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는 것이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