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만경강 자연생태하천 가꾸기 ; 생태지도 작성
  • 환경과조경 2000년 11월
현실 속에 삶의 질에 대한 시민들의 욕구가 증대되면서 하천의 자연적 기능 및 환경기능 증진이라는 측면이 하천관리의 주요 과제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생태적 서식처로서의 역할, 경관조성, 휴식처로서의 역할 등 하천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이·치수계획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천구역에 나무를 심을 수 있도록 제반 관계법규의 개정이 시행됨에 따라 하천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전라북도는 전주, 완주, 김제, 익산, 군산의 5개 시군을 통과하는 만경강을 자연생태하천으로 가꾸기 위하여 지난 1999년 9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국토연구원에 기본계획 연구 및 기본설계를 위탁하였다. 본 원고는 위탁수행 과업중 필자가 부분적으로 공동수행한 연구결과 및 2차 중간보고서를 중심으로 3회에 걸쳐 소개하고자 한다. 하천생태지도는 동식물조사, 수리수문조사, 문헌조사, 현장답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공간정보를 수치지도상에 기입하여 대상지의 인문/자연환경현황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기본구상 및 상위계획에 있어 판단근거가 되도록 한다. 더불어 만경강 생태하천가꾸기 사업계획 진행상 발생하는 조사와 계획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대상지가 가지는 특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하여 일관성 있는 통합적 계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천생태지도는 모든 GIS 자료분석의 기초데이터가 되고, 가용지 분석 자료로도 활용되며, 사업시행 및 하천이용의 결과 변화된 하천환경을 모니터링할 때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게 된다. ※ 키워드 : 김세천, 특별기고, 만경강, 자연생태하천, 하천, 생태공원, 생태지도 ※ 페이지 : 100-105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