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처럼 개발밀도가 높은 나라에서는 한자락의 녹지라도 확보하기가 그리 쉽지는 않다. 이런 현실에서 우리나라에서 옥상이 녹화의 대상으로 부각되기 시작한지는 인공토양을 이용한 녹화기술이 국내에 소개되면서 부터이다. 산업화로 인한 녹지부족으로 고민하던 참에 옥상조경은 그나마 숨통을 터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건물주의 인식부족이나 비용문제 등으로 중소건물의 옥상공간은 대부분 형식적인 처리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도 잠자고 있는 옥상공간이 도심의 오아시스로 탈바꿈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문제는 물론 법적인 문제와 옥상조경을 위한 정책적인 배려가 우선되어야 한다. 본지는 이에 우리나라 옥상조경의 현주소를 점검해 보고 조경기술선진국인 독일과 일본의 옥상조경 사례와 기법을 소개함으로써 우리 도시가 진정한 생태도시로 재탄생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박종건(환경부 자연보전국장)→ 전국(그린 네트워크화)에 따른 옥상녹화 활성화 계획
환경부에서 1995년부터 추진중인 전국<그린 네트워크화>구상은 우리의 자연을 현명하게 관리하여 우리와 후손들로 하여금 사람과 생물이 어우러지고 생명력이 넘치는 자연속에서 여유있는 삶을 살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기적 구상이다.
탁병오(서울특별시 환경관리실장)→ 녹색점 찍기위한 다각적인 검토와 시범사업 추진
서울특별시를 녹색도시로 만들기 위해서는 도심에 한 그루의 나무라도 더심어 녹색점을 찍어야 한다. 서울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지난 4월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활성화 방안을 수립, 다음의 여섯가지로 요약하였다.
첫째: 옥상조경은 부족한 도심지 녹지확보를 위해 유호한 수단으로 반드시 권장하고 활성화 해야 할 분야라는 시민의 공감대를 형성한다.
둘째: 다양한 인센티브제도를 마련하도록 한다.
셋째: 단일 건물보다는 일정규모의 모델지구를 지정하여 시범 추진한 후 효과를 홍보하면서 확대 시행해 나간다.
넷째: 시공시 급 배수와 방수처리 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나가도록 적극적인 기술지원과 정보를 제공한다.
다섯째: 야생조류들이 이동하는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새먹이 식물 등을 적극 도입한다.
여섯째: 시 차원에서 앞장서서 공공 청사에 대한 시범 사업을 전개하면서 우선 불량한 옥상을 일제히 정비하여 먼지를 저감할 수있도록 행정지도를 강화해 나가고 옥상조경이 가능란 건물 현황을 정밀 조사 후 5년 계획을 수립하여 연차적으로 확대 추진해 나간다.
이해선(부천시장)→잔디.모목무상지급으로 부천시민 건강 지킨다.
옥상녹화하면 건축시 의무조경 때문에 플랜트를 만들어서 나무 몇 주 심는 것으로 흔히 생각하나 우리시가 구상하는 옥상조경은 옥상 전면적에 잔디를 심고 마운딩 처리하여 조경수와 유실수 숙근초를 심고 여유있는 건물은 휴식처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옥상 전체면적에 잔디를 심어 놓아야 면지 비산 방지 SO2등 유해물질의 흡수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박철수(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선임연구원)→ 옥상녹화 활성화의 기술적 과제
최근 서울시에서는 Local Agenda21에 대응하는 지방정부의 대응전략 가운데 하나로 시차원의 옥상 녹화 시범사업전개와 옥상녹화 5개년 계획의 수립, 자치구별 옥상조경의 확대 시행, 서울특별시 건축조례 개정 및 각종 건축중심의 시 옥상조경의 확대시행 권장을 주 내용으로 하는 옥상조경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이같은 정책방안은 도시 녹화공간의 총량적인 확대와 관리에 주목한다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서 소위 ‘환경부하의 감소’에 긍정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 키워드 : 옥상조경, 하중 및 누수문제, 인공토양
※ 페이지 : 5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