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의 남사면은 조리지가 많고 조림지외에는 대부분이 소나무림이며 북사면은 2차림 또는 극상림으로 덮혀 있는 곳이 많다. 일반적으로 수목의 성장에는 북사면이 건조하지 않아 남사면보다 좋다는 점과 현재 남사면의 파괴가 심한 점으로 보아 한양(서울)을 도읍지로 정할 무렵에는 아마 남산은 울창한 신갈나무 숲으로 덮혀 있었을 것이다. 남산의 식물군집을 크게 나누어보면 신갈나무-당단풍군집과 소나무군집으로 구분된다.
앞의 군집은 다시 신갈나무-진달래아군집과 서양등골나무아군집으로 갈라진다. 남산은 그동안 인간의 많은 간섭을 받아왔기 때문에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지 못하다. 남산의 원래의 모습에 대해 조사된 기록이 없으므로 확실히 알 수는 없으나 몇가지 과학적 사실들을 모아 생태하적 법칙에 근거하여 자연상태의 남산의 식생을 복원하여 볼 수 있다.
※ 키워드 : 남산의 식물상, 식생, 잠재자연식생, 남산의 생태학적 의미
※ 페이지 : 60~65
앞의 군집은 다시 신갈나무-진달래아군집과 서양등골나무아군집으로 갈라진다. 남산은 그동안 인간의 많은 간섭을 받아왔기 때문에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지 못하다. 남산의 원래의 모습에 대해 조사된 기록이 없으므로 확실히 알 수는 없으나 몇가지 과학적 사실들을 모아 생태하적 법칙에 근거하여 자연상태의 남산의 식생을 복원하여 볼 수 있다.
※ 키워드 : 남산의 식물상, 식생, 잠재자연식생, 남산의 생태학적 의미
※ 페이지 : 60~65
댓글(0)
최근순
추천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