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편집자가 만난 문장들] 물성이라는 건 생각보다 쉽게 사람을 사로잡아요
  • 환경과조경 2024년 5월

나들이하기에 딱 적절한 온도인데 “날이 좋다”고 말할 수 없는 이유, 미세 먼지 때문이다. 하늘이 묘하게 부옇다. 얄궂게도 날이 좋으면 미세 먼지 수치가 극에 달했다. 봄날 휴일에 할 수 있는 게 카페를 찾거나 실내 활동을 하는 것뿐이라니. 결국 책장을 뒤적거렸고, 기후위기니 하는 현실을 잊고 싶어서 골라든 게 SF 단편소설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김초엽, 허블, 2017)이었다.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욕망에서 시작한 독서니 우주를 종횡무진하거나 상식 밖 디스토피아를 그린 이야기에 파고들 줄 알았는데, 오히려 현실성 높은 이야기에 마음을 뺐긴 건 참 이상한 일이었다. 소설 제목이기도 한 ‘감정의 물성’은 이모셔널 솔리드라는 회사가 내놓은 제품이다.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대상에 물성이라는 단어를 붙인 작명에서부터 잘 팔리겠다는 기운이 느껴졌다. 그 특성마저 힙하다. 감정 자체를 조형화한 제품.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공포체’, ‘우울체’ 하 는 식으로 이름이 붙고, 파생되는 제품으로 비누나 향초, 손목에 붙이는 패치도 있고요. 지금 유진 씨가 구해온 건 침착의 비누라는 건데, 진짜 비누처럼 써도 되지만 그냥 손으로 만지작거리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있나 봐요. 10분 정도 사용하면 마음이 차분해진다고…….”

 

#감정의물성 #우울체 해시태그와 감성 사진이 인스타그램 피드에 주르륵 뜨는 모습이 연상됐다. 하지만 주인공 정하는 감정의 물성을 플라시보 효과를 이용한 상술로 치부한다. 줄거리보다 사람들이 감성의 물성을 구매하는 이유를 추적하는 과정이 흥미로웠다. 정하는 특히 우울함이나 증오 같은 감정을 사는 마음을 이해하지 못했다. “소비가 항상 기쁨에 대한 가치를 지불하는 행위라는 생각은 이상합니다. 어떤 경우에 우리는 감정을 향유하는 가치를 지불하기도 해요. 이를테면, 한 편의 영화가 당신에게 늘 즐거움만을 주던가요?”(이모셔널 솔리드 대표) “나는 내 우울을 쓰다듬고 손 위에 두기를 원해. 그게 찍어 맛볼 수 있고 단단히 만져지는 것이었으면 좋겠어.”(연인 보현)

 

김초엽이 (아마) 가장 방점을 둔 답은 보현의 것이었겠지만, 나는 다른 문장을 더 깊게 마음에 새겼다. “물성이라는 건 생각보다 쉽게 사람을 사로 잡아요. 왜, 보면 콘서트에 다녀온 티켓을 오랫동안 보관해두는 사람들도 많잖아요. …… 그냥 실재하는 물건 자체가 중요한 거죠. 시선을 돌려도 사라지지 않고 계속 그 자리에 있는 거잖아요. 물성을 감각할 수 있다는 게 의외로 매력적인 셀링 포인트거든요.”(동료 유진) 글을 읽는 내 앞에 뜬금없게도 국립현대미술관의 모습이 펼쳐졌다. 정영선의 전시(88쪽)를 보러 온 사람들이 개막 행사를 빼곡하게 채운 그 광경. 유명한 공원 개장식에서보다 많은 사람을 만났다. 그 모습이 이런 이벤트가 열리기를 바랐던 긴 기다림으로 읽혀 씁쓸하기도 했다. 조경이라는 건 어떤 장소를 만들어내는 논리이자 시스템인데, 모든 공간을 증강 현실로 재현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된다 하더라도 지극히 평면적인 전시가 될 테다) 이를 도면이나 사진, 영상, 음악으로 전할 수 있나? 의구심이 녹아내렸다.

 

2021년 4월, 성수역과 뚝섬역 사이에 ‘숲, 가게’가 열렸었다. 그곳에서는 떨어진 신당풍나무잎 200그램에 3천 6백만 원이라는 값을 매겼다. 무슨 셈법인가 싶을 텐데, 숲을 이루는 부산물이 만들어지기까지 시간, 생태계에서의 역할, 사람에게 소소한 즐거움과 감성을 전달하는 점까지 부가 가치로 매겨 가격으로 산정한 것이다. 작은 잎에 담긴 가치가 ‘가격’이라는 숫자를 통해 좀 더 유쾌하면서도 명확하게 다가온다.

 

조경에 물성이 없다고 말하기는 애매하나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갖고 있는 건 분명하다. 그 가치나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때때로 물성이 필요하다. 항우울제만으로는 자신의 우울을 조절할 수 없어 우울체를 사 모으는 아이러니에 뛰어든 보현처럼 말이다. 가시화하기 모호한 조경의 쓸모와 무게를 뒤적이며 이를 드러내기 위한 학예연구사의 노력은 분명 조경의 또 다른 면모를 발굴해낼 것이다. 이 재미있는 시도의 결과물로 만들어진 물성이 사람들을 쉽게 사로잡았으면 좋겠다. 한 가지 더 바라는 건, 작은 굿즈가 만들어지길. 손에 쥐면 기대감에 찬 사람들이 저마다 모여 떠들며 웅성거리던 그 순간을 쉽게 기억해낼 수 있도록.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