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에디토리얼] 스토스 ×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 환경과조경 2024년 3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최전선을 이끌어온 스토스(Stoss)의 최근 작업들로 봄을 여는 3월호 특집을 꾸린다. 세기의 전환기,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녹색 장식술을 반복하며 낭만적 복고주의로 회귀하고 있던 조경과 도시설계에 교정의 방향을 제시했다. 21세기의 개막과 함께 문을 연 스토스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 가능성을 선보인 일련의 실험을 전개했다. 그리고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가시적 실체에 대한 물음표를 지워냈다. 회사 공식 명칭에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붙인 —즉, Stoss Landscape Urbanism— 유일한 설계사무소이기도 했다.

 

21세기 초, 도시의 탈산업 부지를 회복하고 재생하는 다수의 국제 설계공모를 통해 경관의 잠재력이 재발견됐고, 경관을 매개로 도시의 재구성을 기획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부상했다. 제임스 코너와 함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지평을 연 찰스 왈드하임은 『경관이 만드는 도시(Landscape as Urbanism)』(한숲, 2018)에서 이 새로운 담론에 전문 실무를 처음 결합한 조경가로스토스의 설립자 크리스 리드(Chris Reed)를 꼽는다.

 

왈드하임은 리드의 초창기―21세기의 첫 10년― 작업들을 생태, 인프라스트럭처, 어바니즘을 병치하고 합성해 경관의 힘을 확장한 시도라고 해석한다. 왈드하임은 포틀랜드 테이버산 저수지(Mt. Tabor Reservoir)(2003), 밀워키 이리 스트리트 광장(Erie Street Plaza)(2006), 토론토 로어 돈 랜드(Lower Don Lands)(2007) 등 설계공모 작품들에 나타난 스토스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서 세 가지 특징을 포착한다. 첫째는 스토스가 모든 대상지와 설계 주제에서 물의 잠재력을 극대화한다는 점이다.

 

스토스의 설계는 물과 관련된 기존 인프라를 해체하는 방식으로 전개되며, 새로운 수문학적 판(surface)은 다공성, 안정성, 다양한 생물군이 융합해 빚어내는 혼성의 장치로 작동한다. 두 번째 특징은 복잡한 비선형 기하학 구조를 이용해 만든 판이다. 이러한 판은 단순한 형태 요소를 반복시킨 복합적 시스템이며 다중의 공간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가변성을 지닌다. 세 번째 특징은 고유한 것과 외래의 것, 지역적인 것과 이국적인 것 사이의 긴장에 내재된 잠재력을 확장하는 설계다.

 

이번 특집에서 볼 수 있듯, 2024년의 스토스는 여전히 ‘경관의 힘’에 대한 강한 신념을 실천하고 있다. 경관이 도시, 환경, 지역 사회, 일상생활에 긍정적 변화를 추동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는 스토스의 비전은, 삶의 질과 생물 다양성을 향상시키는 역동적 경관의 설계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경관의 형태보다 경관을 대하고 읽는 ‘태도’를 중심에 둔 스토스의 접근 방식은 이제 실험을 넘어 워터프런트, 그린 네트워크, 도시 숲, 공원, 광장 등 다양한 스케일의 장소에서 실현되고 있다.

 

스토스의 근작들을 통해 동시대 조경의 의제를 공유하고자 열 개의 주제를 세 가지 범주로 나눠 지면을 구성했다. 공간의 성격 대신 프로젝트의 스케일에 따라 구분한 세 범주는 광역적 접근, 지구 단위 계획 단계, 상세와 실행이다. ‘광역적 접근’ 범주에 배치한 주제는 연안 침수 회복탄력성 전략, 형평성과 접근성을 갖춘 수변 계획, 생태 복원과 침식 저감 계획, 다양한 커뮤니티의 재연결이다.

 

다음으로 계획 스케일의 ‘지구 단위 계획 단계’는 주민 참여 디자인, 디자인과 정책의 상호작용, 역사‧문화적 맥락과 디자인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상세와 실행’ 범주에서는 도시 숲과 장소 만들기, 장소를 만드는 기능적 요소, 디자인 상세의 중요성에 대한 스토스의 실천을 소개한다.

 

설립 초기부터 지금까지 스토스는 침수 워터프런트, 소외 지역, 방치된 구도심, 버려진 탈산업 부지 등 복잡하고 어려운 조건에 놓인 부지에서 경관의 힘을 계속 실험해왔다. 이번 지면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잠재력을 다시 환기하는, ‘경관이 만드는 도시’의 가능성을 다시 소환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특집 기획부터 구성, 원고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간과 수고를 아끼지 않은 스토스의 김준연 디렉터에게 감사드린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