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클린 오스티는 프랑스 국립 건축 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rchitecture at the Beaux Arts in Paris와 베르사유의 국립 조경 학교를 졸업했다. 1983년부터 사무소를 개소해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블루아Blois의 국립 조경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자클린 오스티의 초기 작업들은 매우 프랑스적이며 건축적인 느낌이 물씬 나는 3차원적 공간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녀는 오히려 거대한 부지에서부터 작은 디테일에 이르기까지 대상지와 씨줄과 날줄처럼 긴밀하게 엮어진 듯 한 맥락을 고려한 설계와 섬세한 접근을 강조한다. 그녀는 장소와 디자인을 이어주는 연결고리를 찾는 것이 주된 관심사라고 밝혔다. 프랑스의 대표적 조경가로서 입지를 구축하게 해 준 아미앵의 생 피에르 공원Parc St. Pierre 등을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겠으나, 이번 인터뷰는 주로 최근 작 파리 동물원 작업을 되돌아보았다(본지 4월호에 소개).
파리 근교 뱅센 숲에 위치해 뱅센 동물원이라 불리던 이곳은 원래 1934년도에 지어진 오래된 시설이었다. 1931년에 열린 국제 식민지 박람회Exposition coloniale internationale는 당시 프랑스가 제국주의적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국민에게 식민지 문물의 경이로움을 알림으로써 정치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열었던 대규모의 전시 행사였다. 뱅센 숲에 수십 개 나라의 건축과 기묘한 문물을 어마어마한 규모로 모아놓았으며 전시가 열린 6개월간 약 900만 명의 방문객이 다녀갔을 것이라고 추산된다. 동물원은 그때 전시된 식민지의 이국적인 동물들을 영구적으로 수용하고 전시하기 위해 지어진 것이다. 덕분에 동물원에서는 아직도 그 흔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각각의 생물권biozone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식민지들로 구성되어 있다. 동아프리카의 수단, 남미 프렌치 기아나, 인도양의 마다가스카르, 파타고니아 등이다. 또한 마치 엑스포 행사장과 같이 동물들의 공간은 무대plateaux와 분장실loges로 불렸다. 연극 무대의 개념을 그대로 따온 것이다. 콘크리트를 이용한 인조 바위들 또한 이러한 연출적인 면을 더욱 강화해주는 요소다.
자클린 오스티의 리노베이션은 동물원의 전통을 그대로 따르면서도 현재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즉, 오늘날의 동물원이란 신기하고 진기한 생물들을 보여주는 역할에만 머물지 않는다. 80년 전 사람들에게 호기심의 대상이었던 이국적 동물들은 이제 인터넷을 통해 생생히 목격할 수 있는 현지 생태계의 잔상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동물원은 아이들의 놀이동산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지구 반대편 낯선 문화에 대한 지적 자극이자 군사·경제적 우월감의 원천이 되었던 식민지 시대의 동물원은 소풍 가고, 놀이 기구 타러 가는 단순 위락 시설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런 시대에 동물원은 여전히 존재 가치를 가지고 있을까? 파리 동물원이 찾는 새로운 의미는 생물다양성과 서식지에 관한 것이다.
최이규는 1976년 부산 생으로 뉴욕에 기반을 두고 실무와 실험적 작업을 병행해 왔다. 북미와 유럽의 공모전에서 수차례 우승했고, 주요 작품이 뉴욕시립미술관 및 소호, 센트럴 파크, 두바이, 올랜도, 런던, 위니펙 등지의 갤러리에 전시되었다. UNKNP. com의 공동 창업자이며, 저서로 『시티오브뉴욕』(공저)이 있다. 현재 계명대학교 도시학부에서 조경 설계를 연구하며 학생들이 만드는 것의 기쁨을 알아가도록 돕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