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CODA] 이사 왔습니다
  • 환경과조경 2018년 6월

어지러이 널린 교정지 사이 난데없는 우드락 조각이 나뒹군다. 잡지사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A3에 출력한 넉넉한 크기의 도면 하나도 덩그러니 있다. 책상 1, 서랍장 1, 책상 2, 중앙 테이블 등 자신의 쓰임새가 적힌 종이를 등에 업은 우드락 조각들이 참 바지런히도 도면 위를 오갔다. 2015년 1월 ‘파주시대’를 마감하고 ‘방 배동시대’를 연 『환경과조경』은 지금 ‘제2의 방배동시대’를 맞이할 이사 준비가 한창이다.

 

거창하게 시작했지만, 사실 새로운 사무실은 이곳에서 그리 멀지 않다. 6월 중순 에서 말 사이, 우리는 이수역과 내방역을 연결하는 가파른 언덕 꼭대기에서 근처 평지 (!) 로 자리를 옮길 예정이다. 이제 출근길에 가쁜 숨을 몰아쉬며 언덕을 오르 거나,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른 마을버스에 꾸역꾸역 몸을 싣지 않아도 된다. 주로 평지에 있는 맛집이나 분위기 좋은 카페에 가겠다고 긴 여행을 떠날 필요도 없다. 좋은 점이 어디 이뿐이랴, 그래도 그중에서 가장 가슴 설레는 일은 새로운 사무 공간, 지금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사무실에서 근무하게 된다는 점일 것이다.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자유로운 분위기의 사무실을 지향하는 남기준 편집 장은 모두가 만족하는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자 가구 배치 아이디어 공유회를 열었다. 졸업 설계를 끝으로 우드락, 칼 등 모델링 도구에 작별을 고한 윤정훈 기자, 신동훈 기자는 오랜만에 칼판 앞에 앉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완성된 미니 가구 모형이 중앙 테이블에 올려졌다. 바쁜 업무에도 짬을 낸 직원들이 중앙 테이블에 들러 모형을 만지작거리다 떠나기를 반복했다. 

 

푸른 식물이 가득한 생기 넘치는 테라스나 보기만 해도 아이디어를 샘솟게 할 오브젝트가 진열된 벽, 야근의 피로를 잊게 만들 하늘이 보이는 개방형 천장까지는 아니더라도 저마다 꿈꾸는 소박한 사무실의 모습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각기 다른 소망의 공통 지향점은 ‘원활하게 소통해 업무 효율을 높이면서도,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는 (모니터와 지저분한 책상을 감출 수 있는) 환경’이 아닐까. 그런데 두 숨이면 후루룩 읽을 이 짧은 문장 하나를 실현하기가 만만치 않다. 책상을 이렇게 틀자니 모니터가 다른 직원에게 훤히 노출되고, 반대로 돌리자니 모니 터가 입구를 향한다. 낯선 방문객에게 내가 지금 무엇을 하는지 보여줄 필요는 없다. 벽을 따라 책상을 쭉 배치하니 이번엔 중앙 테이블이 입구 앞에 떡하니 놓여 있다. 모든 조건을 만족시켰다 싶으면 언제 빠져나간 건지 ‘책상 5’와 ‘서랍장 5’가 도면 밖에서 얄밉게 나를 올려다보고 있다. 어려움을 겪은 사람이 나뿐만은 아닌지 아이디어를 공유하기로 한 단체 카톡방에는 가구 모형을 배치한 서너 장의 사진이 올라온 후, 다시 평소와 같은 업무 관련 대화만이 오갔다.

 

이런 고민이 회사에서 끝났다면 좋으련만, 공교롭게도 우리 가족 역시 6월 말 이사를 계획 중이다. 집을 꾸미는 일은 새 사무실을 꾸리는 일보다 더 복잡하다. 단순 업무 공간이 아닌 ‘우리’ 가족의 집이기에, 우리를 구성하는 개개인의 욕심이 한정된 공간과 예산 안에서 뒤엉킨다. 엄마가 새로 장만하고 싶다는 전자레인지 대를 들이자니, 그 옆에 TV 장을 둘 공간이 부족하다. 가뜩이나 사야 할 가구가 많은데 TV 장까지 새로 살 수는 없다. 주로 새벽에 작업하는 동생은 자는 공간과 일하는 공간을 완벽히 분리하고 싶어 한다. 그럴듯해 보이는 공간을 갖고 싶은 나는 거실에 스탠드형 조명을 두고 싶지만, 그 자리는 귀한 화분님이 놓일 곳이다. ‘그들이 설계하는 법’의 필자가 된 기분이다. 갈 곳 없는 가구를 이렇게 저렇게 끼워 넣다가, 문득 이 작업이 잡지 편집 디자인과 닮았다는 생각을 했다.

 

다른 잡지사의 방식은 알 수 없지만, 『환경과조경』의 편집자는 편집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편이다. 적절한 사진을 선정한 뒤 그 사진을 어떻게 배치할지, 크기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서너 번의 교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디자이너와 끊임없이 논의한다. 3차 교정 작업에서 레이아웃을 바꾸는 과감한 선택을 하기도 한다. “내용과 형식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텍스트의 메시지와 이미지의 효과가 하나로 움직이는, 스타일이 정보를 지배하지 않고 정보의 본질을 드러내는 아름다운 잡지”를 만드는 일은 꽤 고단한 과정을 동반한다. 디자이너의 눈과 편집자의 눈이 다르기에 사진 선정에 애를 먹는 상황도 발생한다. 특히 감각적인 구도와 멋진 분위기를 자랑하는 사진은 주 논쟁거리다. 충분히 아름답지만 담고 있는 정보가 부족한 사진은 결국 지면에서 제외되고 만다. 문득 이렇게 묻힌 수백 장의 사진이 아쉬워져, ‘살아남지 못한 B컷’이라는 제목을 막연히 상상해본다.

 

이사에서 편집 디자인까지, 마지막 문단에 오기까지의 여정이 참 길었다. 고작 (편 집자의 서재에서) 옆 페이지로 이사 왔을 뿐인데 글쓰기가 배는 어려웠다. 책을 읽을 때마다 무언가를 느껴야 하고, 글에 담긴 의미를 찾아야 하는 부담감에서 벗어나는 줄 알았는데. 이제 보고, 먹고, 듣는 모든 것에서 글감을 찾아야만 할 것 같다. 악곡이나 악장의 끝맺는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 덧붙이는 악구, 코다 CODA . 그 의미가 이제야 무겁다. 완벽한 끝맺음은 아니더라도, 이 글이 편집부의 소소한 일상을 훔쳐보는 재미를 줬기를 조심스레 바라본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