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 캘리포니아에서 5년째 살고 있다. 생활인으로 지내다보니, 이곳 사람들의 공원에 대한 인식이 여타 미주 대도시권과 차이가 있음을 느낀다. 가까운 거리에 근린공원이 없어도, 누구나 가고 싶어 하는 해변이나 구릉이 대부분의 주거지에서 불과 한 시간 내의 거리에 있다. 자동차 중심의 거리 환경은 이러한 여가 활동을 더욱 뒷받침하며 휴일에 자동차 핸들을 공원이 아닌 바다나 산으로 돌리게 한다. 교외화로 일반화된 주거 양식은 뒷마당을 포함하는 유형이 보편적이기에 공공 공원의 수요나 사용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그리고 수평적 확산을 거듭해온 도시 위계는 맨해튼의 센트럴 파크처럼 심장부 역할을 하는 중앙 집중형의 오픈스페이스와 거리가 멀다. 그런데 근래에는 가장 급속도로 교외화가 진행되었던 남부 캘리포니아마저도 산업 구조의 중심이 도시 집중을 본질적으로 요구하는 금융-서비스-IT 등 지식 기반 산업으로 이행되면서 다시금 도심지로 인구가 유입되는 국면을 맞고 있다. 그에 따라 남가주의 주요 도시들은 기존 도심지의 활성화 계획을 구상하였고, 각 도시의 시청사 전면에 중앙 공원을 조성함으로써 도시 문화 재생의 중심지로 삼으려 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세 도시가 비슷한 시기에 시청사 앞에 공원을 마련했다. 로스앤젤레스의 그랜드 파크Grand Park를 시작으로 뉴포트비치의 시민공원Newport Beach Civic Park, 가장 최근인 지난해 가을 문을 연 산타모니카의 통바 파크Tongva Park가 그 마지막 순서였다.1 작년 송구영신 전야에 그랜드 파크로 예상보다 3배가 많은 인파가 몰렸던 사건2을 기점으로 남가주 대도시 지역에서 공원의 위상 변화가 점쳐지고 있다. 이 지역 사람들이 주택의 안뜰이 아닌 도심의 공원으로 초대되기 시작한 것이다.
산타모니카 해변으로 가다
로스앤젤레스를 출발하여 산타모니카 프리웨이인 10번 도로를 타고 태평양을 향해 서쪽으로 이동하면 바다를 향해 카운트다운이라도 하듯 거리명의 숫자가 26에서부터 1로 줄어든다. 대상지의 서쪽 경계이기도 한 오션 애비뉴Ocean Avenue가 해안에 가장 가까운 1가에 해당하는데, 거리명의 숫자가 점점 줄어들 수록 하늘의 끝이 태평양의 수평선과 만나길 기대하게 되지만, 마지막 길인 오션 애비뉴에 가까워져도 백사장은커녕 하늘의 끝도 보이지 않는다. 산타모니카 해변이 블러프bluff라 불리는 절벽 형태의 해안 지형이기 때문이다. 일반 절벽보다 넓고 길게 해안이나 호안을 따라 형성된 절벽을 뜻하는 블러프는 정서향의 산타모니카 해안선과 평행하게 백사장의 뒤편으로 절벽의 병풍을 드리운다. 절벽의 상부는 바다 쪽으로 완전히 열린 수 킬로미터의 전망대를 마련해주어 해질녘의 산타모니카는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랑한다. 대상지의 위치는 절벽의 끝에서 불과 한 블록 떨어져 있어 건물 2~3층 높이만 확보되면 산타모니카 부두와 해변을 모두 내려다 볼 수 있는 강력한 조망의 가능성을 가진다. 대상지는 지형적 조건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방문객을 기대할 수 있는 명소들에 둘러싸여 있어 도시 문화적 조건 또한 탁월하다.3 오션 애비뉴 건너 바다 쪽으로는 관광객이라면 반드시 찾는 제1의 아이콘인 산타모니카 부두가, 한 블록 북쪽으로는 연간 천만 명이 방문하는 쇼핑의 1번지인 3가 보행자거리3rd street promenade가 시작된다.
그러나 대상지는 가능성만 큰 곳은 아니다. 우선 산타모니카 하이웨이가 공원의 북쪽 경계를 감싸며 현 도심지와 대상지를 갈라놓는다. 동쪽으로는 근대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해야 할 시청사 건물이 공원의 경계를 규정한다. 남쪽으로는 새로운 주거단지의 개발이 예정되어 있어 공공의 영역 밖이다. 서쪽으로도 시야는 바다를 향해 열리지만 6차선의 오션 애비뉴가 블러프 하부의 1번 도로와 연결되는 진입 경사로가 위치하기에 늘 차량의 통행이 붐빈다. 보행가로와 자전거 도로 체계가 발달된 산타모니카이지만 대상지의 실제 연결성은 사방으로 열린 도심 공원의 전형이라 하기엔 폐쇄적이다.
설계자 선정 과정을 살펴보다
캘리포니아의 아이콘인 산타모니카의 시민 공원 설계자로 예상과 달리 서부에 둥지를 틀고 있는 팀4이 아닌, 영국 태생의 제임스 코너James Corner가 이끄는 대륙의 반대편에서 온 뉴욕 기반의 JCFO가 선정되었다. 의아한 점은 지정학적 거리만이 아니었다. 프레시 킬스로 대표되는 JCFO의 여러 대형 공원 작업은 논리적 사고로 도출되는 대상지의 조직site organization을 통한 경관적 기반landscape as infrastructure의 형성과 도시적 전략urban strategy의 제시로 대표되는 작업이었기에 통바 파크처럼 빈 주차장이었던 부지에 새로운 맥락을 만들어 내는 작업과는 거리가 느껴졌다. 다만, JCFO의 근작인 하이라인 파크Highline Park의 성공을 계기로 상대적으로 작은 스케일의 프로젝트를 실현해 가는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던5 2010년, 하이라인 파크는 이곳의 설계자 선정 과정에 강력한 카드로 통했고,6 통바 파크는 JCFO에게 또 하나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설계의 결과물에 더욱 귀추가 주목되었다.
최영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마쳤다. 미국의 SWA Group과 한국의 오피스박김에서 다양한 성격의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Archiprix International 본상, 뉴욕 신진건축가 공모 대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는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하는 설계사무소 Laboratory D+H를 설립하여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