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기웃거리는 편집자] 7번 국도의 꿈
  • 환경과조경 2023년 11월

10년 안에 가장 하고 싶은 것이 하나 있다면 바로 ‘7번 국도 종주’다. 강원도 고성부터 부산까지 이어지는 7번 국도 위를 날렵한 이름과 다르게 귀여운 생김새를 자랑하는 오토바이 ‘슈퍼커브’로 누비고 싶다. 무면허 뚜벅이의 작은 소망이라고 할까. 사실이런 소망을 갖게 된 건 순전히 동해에 대한 추억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눈 뜨면 모든 세상이 논과 밭, 산으로 둘러싸인 시골에서 오래 살아서 그런지, 바다는 내게 오랜동경이자 미지의 세계와 같았다. 이러한 미지의 세계에 처음 발을 디뎠던 곳이 동해였다. 오래된 탓에 가족과 함께 처음 갔던 동해의 그 해변 이름은 흐릿하지만, 첫 바다를 봤던 순간의 감각은 여전히 선명하다. 조금 도톰한 카디건을 꺼내 입고 싶은 볕이 따사로운 가을 오후, 적막한 몽돌해변의 반짝 거리는 몽돌과 찰싹거리며 부딪히는 파도, 어떤 미사여구 대신 아름답다는 문장을 발음할 수밖에 없는 드넓은 바다 앞에서 가족과 함께 도란도란 얘기를 나누었던 풍경. 그 풍경이 유년 시절의 기억 속에 인처럼 박혀있다.

 

종주를 계획한 건 다시금 동해의 풍경을 담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됐지만, 사실 일종의 임장이다. 부동산을 사기 위해서 현장을 둘러보는 행위인 임장처럼 아름다운 동해를 감상하며 나중에 터를 잡을 곳을 찾아보기 위해서다. 서울처럼 불이 꺼지지 않는 화려한 도시, 한적한 산과 들이 있는 시골도 좋지만, 도시와 시골을 오가며 10여 년 남짓을 살아보니 약간 감흥을 잃었다고 할까. 그래서 시간, 돈, 체력이 허락한다면 눈 뜨면 탁 트인 바닷가가 보이는 도시에서 터를 일구며 살아보고 싶다.

 

대상지가 있다면 콘셉트가 있어야 하는 법. 만약 바닷가 도시에 나의 공간을 만든다면 1층은 서점, 2층은 작업실 겸 집으로 만들고 싶다. 그래서 가끔 레퍼런스 삼을 만한 공간을 찾아다니기도 한다. 최근 발견한 곳은 평창동에 위치한 일중의 집 보현재(이하 보현재)다. 보현재는 한국을 대표하는 명필, 국필이라 불리는 서예가 김충현을 기리며 그의 생가를 개조해 만든 전시 공간이다. 우리글에 관심과 애정이 컸던 김충현은 일제강점기 시절 한글 서예 교본을 편찬해 한글 서예의 명맥을 이어 나가게 했으며, 한글과 한문을 넘나들며 서예의 조형적 완벽함을 추구했다. 그의 글씨는 궁궐, 미술관 등 다양한 건축물 현판에 사용됐는데, 경복궁 영추문 현판 역시 그의 작품이다.

 

보현재는 그가 생전에 작업실 겸 생활 공간으로 사용했던 1층과 현재 전시 공간으로 쓰이는 2층으로 구성된다. 글자 하나를 적더라도 그림처럼 의미와 심상을 담았는데, 가령 돌 석 자와 같은 한자를 적을 때도 획의 굵기를 조절해 돌의 거친 질감을 표현했다. 글자 하나에도 정성을 다하는 그가 머물렀던 공간엔 작은 소품부터 시작해 공간 구석구석 그의 정성이 들어가지 않은 곳이 없었다. 궁의 창살 무늬를 좋아했던 그는 1층의 미닫이문 창살을 궁의 창살을 그대로 본 떠 만들고, 북악산이 훤히 보이는 1층 앞의 소박한 뜰과 수석과 수목, 화초 모두 직접 가꾸고 조성했다고 한다. 또한 한옥의 차경처럼 바깥 풍경을 볼 수 있는 창이 참 많았는데, 도자기 등 단아한 소품과 어우러진 창은 담박한 정서를 표현한 한 폭의 수묵화처럼 느껴졌다. 

 

그래서 내 공간을 만들게 된다면 언제든 바다와 주변 풍경을 바라볼 수 있는 창을 많이 내고 싶다. 수목과 수석이 가지런히 놓인 보현재의 뜰처럼 1층 서점 앞뜰에는 그늘을 드리우는 아름드리나무를 심고, 나무 아래에는 의자를 세 개 정도 놓고 싶다. 숲속 오두막에 살았던 미국의 시인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고독, 우정, 친교의 의미를 담은 의자를 놓았던 것처럼. 

 

최종적으로 나의 공간을 박영석의 말(2023년 10월호)(각주 1)처럼 장소로 만들고 싶다. 내게 첫 바다였던 동해가 추억이 깃든 장소로 다가왔던 것처럼. 나의 소망으로 시작한 공간이 모여드는 이들에게 바다와 함께한 자그마한 추억과 감각을 선사하는 모두의 장소로 거듭나기를 바라본다. 이 꿈이 이면지에 적은 낙서처럼 허무한 몽상에 불과할지, 실현 가능한 계획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뭔가 대단한 일을 할 거라는 착각 속에 살라는 박찬욱 감독의 말처럼 거창한 계획을 한번 세워본다.

 

 

각주 1. 장소는 좀 더 인문학적 측면에서 사람들이 서로 교류할 수 있거나, 형태가 없는데도 자신만의 감각으로 인지되는 곳을 칭하기도 하고요.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