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18세기 실경화와 조경
  • 환경과조경 1999년 12월
경희궁(慶熙宮)은 임진왜란으로 말미암아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등 조선 초기부터 있었던 궁궐들이 소실되자 경운궁(慶雲宮), 즉 지금의 덕수궁과 더불어 새로이 창건한 궁궐이다. 1592년에 일어났던 임진왜란이 끝난 후 피난지에서 환도한 선조(宣祖)는 거처할 곳이 없어 궁터를 물색하다 월산대군저(月山大君邸)에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을 세우고 창덕궁과 창경궁을 중건하였다. 그러나 경복궁은 불길한 궁이라 하여 중건하지 않았다. 선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광해군은 창덕궁과 창경궁의 중건을 마치고도 창덕궁 역시 불길한 궁이라 하여 입어(入御)하지 않고 경운궁에 장기간 머물었다. 이때 광해군은 신궁조영(新宮造營)에 강한 의욕을갖고 있었고 때마침 지상가(地相家)인 괴승(怪僧) 성지(性智)와 풍수지리에 정통한 명나라 사람 시문용(施文用)이 인왕산하에 신궁을 조영할 것을 건의함으로써 광해군 9년 (1617) 1월 인왕산하 사직(社稷)의 동쪽 담을 골라 민가 수천 채를 철거, 팔도의 목재를 징벌하였으며 1천의 승군(僧軍)을 동원해서 자수(慈壽), 인경(仁慶) 양궁의 창건을 시작하였다. 동년 6월에는 왕기(王氣)가 새문동(塞門洞)으로 자리를 옮겼다는 승려 성지(性智)의 말을 믿고 광해군의 아우인 정원대군(定遠大君)의 저택을 철거, 궁궐을 짓기 시작하니 이것이 바로 경덕궁(영조때 경희궁으로 개칭)의 창건이다. 광해군 9년 6월12일 궁궐명칭을 서별궁(西別宮)으로 칭했고 동왕 동년 7월 29일 서별궁의 궁호(宮號)를 정하여 경덕궁(慶德宮)이라 했는데 이후에 인경(仁慶), 자수(慈壽), 경덕(慶德)의 삼궁(三宮)을 기공하였다. 광해군 14년(1622) 6월에 주로 전문(殿門)은 낙성된 듯 하나 동왕15년 3월 인조반정으로 인해 광해군 자신은 신궁에 입어(入御)해 보지도 못하고 말았다. 16대 인조는 반정직후 광해군이 백성들의 원한을 사면서까지 건립한 인경궁(仁慶宮)과 자수궁(慈壽宮)은 폐궁하였으나 경덕궁은 그 자리가 인조의 사친(私親)인 정원대군의 잠저(潛邸)였기 때문에 이궁(離宮)으로서 그대로 유지하였다. 인조 2년 이괄의 난을 당한 후 그해(1624) 2월 20일 피난지에서 돌아오면서 경덕궁에 들어오니 이것이 경덕궁이 왕궁으로서 국왕을 맞은 시초이다. 이리하여 경덕궁은 인조 2년 이래로 역대의 왕궁이 되었으며 영조 36년 경희궁으로 개칭되었고 1910년 일본인의 손에 의해 완전 해체될 때까지 파란곡절의 역사를 보냈던 것이다. 경희궁은 순조 29년 회상전(會祥殿)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융복전(隆福殿), 흥정당(興政堂), 정시각(政始閣), 집경당(集慶堂), 사현각(思賢閣)까지 태우고 궁궐의 태반이 훼손되는 불행한 일이 벌어졌다. 이에 순조는 곧 중수에 착수, 31년 그 완성을 보았지만 고종 26년에 숭정문(崇政門)에서 또 발화하여 행각사십간(行閣四十間)이 타버려 황폐화되고 말았다. 이후 일제는 조선의 여러 궁궐중에 유독 경희궁만 완전히 해체시키고 사료를 모두 없애버렸다. 그후 1910년 11월 1일 경희궁 자리에 경성중학교가 조선총독부중학교로 개칭되어 교사를 옮겼고 1978년 5월 서울 중·고등학교가 이전하면서 현대에서 매입, 1980년 9월 국가지정 사 적 제271호로 지정되었다. 경희궁의 지금 정문인 흥화문(興化門)은 일제시대 장충동 이등박문의 사당 정문으로 사용되었다가 해방 후‘영빈관’이라 하여 신라호텔의 정문으로 사용되던 것을 뜯어 이전 복원한 것이다. 또 숭정전은 경희궁의 정전(正殿)으로 원래의 건물은 동국대학교에서 법당으로 사용하는 정각원이며 이것을 실측 복원한 것이다. 그림「서궐도안 모사도」는「서궐도안」을본으로 삼아 이강근, 정병화, 김일훈, 홍성천에 의해 작성된 것이다. ※ 키워드 : 18세기 실경화, 18세기의 조경, 경희궁 ※ 페이지 : p144~p145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