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입면활용을 통한 도시환경 개선 ; 입면활용의 중요성 및 활용방안의 모색-조형벽돌
  • 환경과조경 2001년 9월

입면활용의 중요성
공간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요소, 즉 바닥면, 벽체면, 그리고 천장면이 있어야 한다. 설계작업 과정에서 그려지는 그래픽 결과물과 이러한 요소를 관련지어 말한다면 바닥면은 평면도와, 벽체면은 단면도나 입면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평면도 및 단면도와 입면도는 모두 디자인 아이디어를 전달하는데 필수적인 그림들이다. 또한 완성된 공간의 이미지를 시각화하는데 유용한 그림들이다. 따라서 이들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그래픽 기법을 습득하는 것은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기본적인 것이다.
이들 두가지 유형의 그림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점이라면, 단면도나 입면도는 평면도보다 공간을 이해하기 쉽고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그림이라는 것이다. 단면도나 입면도는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 사이의 수평적인 관계성 뿐만 아니라 수직적인 관계성도 보여준다.
학생들에게 조경디자인을 가르치는 입장에서 그들이 설계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보면, 단면이나 입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간을 디자인하기 보다는 상대적으로 평면 위주의 사고로 디자인을 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디자인 전개 과정에서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일차적으로 평면도를 통하여 표현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지가 갖는 상징성 및 정체성과 장소성을 공간에 담기 위하여 이를 포장 패턴을 이용하여 바닥면에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방법은 벽체면을 활용하여 표현할 때보다 시각적인 효과가 떨어짐은 자명한 일이다. 더욱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이용자들이 보고 명확히 인식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의구심이 들 때가 있다.
물론 평면도는 공간의 전반적인 배치 상황이나 공간을 구성하는 각종 요소들의 종류 및 요소들 사이의 거리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그림이다. 바로, 평면도의 이러한 속성으로 인하여 전문가들이 설계작품을 평가할 때 우선 평면도를 가지고 공간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런데 하나의 설계안이 현실화되어 실제적인 공간으로 형성된 다음에는 공간을 이용하는 실제 이용자인 일반인들은 걸어다니거나 혹은 차를 타고 가면서 그 경관을 바라보기 때문에, 바닥면과 관련된 평면적인 관점 보다는 우선 벽체면과 관련된 입면적인 관점에서 경관을 바라보게 된다. 즉, 걸어다니면서 경관을 바라본다면, 직립하여 보행하는 사람으로서 보통 150∼180㎝dp 달하는 일반적인 눈높이와 관련하여 펼쳐지는 수직적인 경관을 바닥면에 깔려 있는 수평적인 경관보다 수월하게 인식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항상 염두에 두고 경관을 설계하고 조성해야 한다.
조경분야에서 공간을 구성할 때, 주로 사용하는 재료는 생명체인 식물재료이다. 평탄지나 어느 정도의 기복을 지닌 완만한 지형에서는 식물을 사용함에 아무 무리가 없다. 그런데 일정 범위 이상의 경사를 지닌 벽체면, 극단적인 예를 든다면 수직적인 벽면에서는 식물의 생육환경 조건과 관련된 문제로 인하여 식물재료의 사용에 제약이 있기 마련이다. 이렇듯 입면의 활용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벽체면의 공간 구성시 식물재료 위주의 사고에서 과감히 벗어나 기타 재료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조형적인 입면요소 설계시 고려사항
설계시 공간을 미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입면 요소를 조형적으로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입면적인 요소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서 초점이 되는 지점에 위치해야 하고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공간을 연출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또한 해당 장소가 개인공간이든 공공공간이든 혹은 상업적인 공간이든지 간에 사람들은 이러한 요소에 가까이 다가가 그것을 바라보고 심지어 만져보고자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이 이러한 요소에 접근하기 수월하도록 입면요소를, 예를 들어 보행로, 산책로, 혹은 앉을 장소 주변에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야간 경관을 고려하여 반드시 조명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재료 선정시 파손 행위나 온갖 기후 조건에 잘 견디는 재료를 선택하고 유지관리, 특히 청소가 용이한 재료를 선정해야 함은 물론이다. 무엇보다도 공간 설계시 초기 단계에서부터 조형적인 입면요소의 설계를 전체적인 공간의 배치 및 구성과 함께 고려하여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신원 Kim, Shin Won
경희대 예술디자인학부 조경학전공 교수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