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넉넉한 어머니의 손이 되어 주린 배를 채워 주던 곳, 경기도 포천군 군내면 명산리
    나의 고향 포천군 명산리는 개발과 환경보호를 똑같이 중요하게 여기는 주민정신에 힘입어 파괴가 아닌 산업화 시대에 걸 맞는 새로운 농촌으로 다시 태어났다. 하지만 밀려드는 산업화와 개발의 물결을 타고 파괴되어가는 다른 지역의 농촌을 바라 볼 때면 참으로 안타깝기만 하다.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어린 시절의 개울과 바닷가, 들판과 계곡에서 뛰어 놀던 어머님의 품과 같은 환경과 자연을 생각하고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돌아간다면 환경문제 해결의 기초정신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 페이지: 180~181 ※ 키워드: 이한동, 경기도 포천군 군내면 명산리, 고향
    • / 1997년08월 / 112
  • 동양 최고의 폭포, 청량감 등뿍 ; 용마폭포 공원
    위치:서울시 중랑구 면목동 산1-4 면적 : 167,172㎡(50,569평) 발주처 : 서울시 공원녹지 판리사업소 계획·설계 : (주)우대기술단 시공: 두산개발(주) 분수시공 : (주)협신 인조암 시공 : 서울강화수지공업사 폭포는 용마폭포, 청룡폭포, 천마폭포 등 3개가 조성되어있다. 중앙부에 주 폭포로 자리 잡고 있는 용마폭포는 51.4m로 동양 최고를 자랑하며 양옆으로 21m의 천마폭포와 청룡 폭포가 각각 위치하고 있다. 용마폭포에서 떨어진 물은 하단부에서는 물보라를 형성하여 분위기를 더욱더 고조시키는데 이는 폭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안개분수를 설치했기 때문이다. 폭포 아래에는 2천4백 톤 가량의 물이 채워진 인공호수가 조성되어 있다.※ 페이지: 52~54 ※ 키워드: 용마폭포 공원, (주)우대기술단, 인조암 폭포
    • / 1997년08월 / 112
  • 쓰레기 매립과 조경 ; 프랑스 쓰레기 수거 및 처리실태동향- 스트라스브르시의 사례
    가정이나 산업체에서 발생된 쓰레기는 분리수거, 재활용, 퇴비화, 및 소각의 과정을 거치면서 점점 그 양이 줄어든다. 마지막까지 남게 되는 쓰레기는 매립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처리 된다. CUS는 그 동안 렝 강의 하안을 정비하는 과정에 생긴 제방의 안쪽 지역을 쓰레기 매립장소로 활용하여 왔다. 사람들이 거주하고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한 쓰레기는 생기게 마련이다. 따라서 쓰레기 문제는 동서양의 어떤 도시를 막론하고 중요한 정책과제가 되고 있다. 쓰레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쇄신적인 방법으로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도록 하는 한편 이미 발생된 쓰레기에 대해서는 이를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꾸준히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원천적으로 소각되거나 매립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보다 쾌적한 거주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 페이지 : 78~83 ※ 키워드 : 쓰레기 처리실태, 프랑스 스트라스브르시, CUS, 정책과제
    • / 1997년08월 / 112
  • 쓰레기 매립과 조경 ; 쓰레기매립지의 디자인과 관리 및 활용방안, 미국, 영국, 홍콩 사례를 중심으로
    매립을 하는데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효과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이에 적절한 정책을 미리 계획함으로써 앞으로 닥칠 문제점들을 예견하고 이에 대비 하여 경제적이면서도 보기에도 좋은 매립지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쓰레기매립지역에 조경을 마친 후 사용자들이 이 지역에 대해 너무 많은 기대를 하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한 가지 해결책으로는 디자인을 할 때 상징적으로 이 자리가 매립지였다는 것을 나타내주는 방법도 생각해 볼수 있을 것이다. 조경인들은 구태의연하게 초지나 수동적인 복원을 위한 공간만 만들어낼 것이 아니라 창조적인 디자인으로 이 분야의 기수가 되어야 할 것이다. ※ 페이지 : 68~72 ※ 키워드 : 쓰레기 매립지, 디자인, 활용방안, 미국, 영국, 홍콩
    • / 1997년08월 / 112
  • 개발대상지 산림자원의 활용
    자연자원의 보호 발생 산림자원 전량을 발주처에서 활용한다는 것은 본 공사의 공기 및 예산 등을 감안할 때 현실상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활용하고 남은 잔량에 대하여는 조경용 수목 등으로 공개매각을 시행함으로써 자연자원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을 것이다. 훼손 대상지의 산림자원의 활용자가 누구인가를 떠나 우리의 국토에 재활용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자연자원을 보존하는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환경오염 방지 및 대기정화의 효과 수목은 뿌리를 내려 토양을 결집하고 지하수를 보존함으로서 큰 저수지의 역할을 하며 뛰어난 대기정화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 결국 숲이 우리에게 주는 글 가치는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으리만치 대단하다고 하겠다. 표토사용에 의한 지력향상 표토층은 풍화에 의하여 유기질의 분해가 진행되어 식물의 생육상 가장 가치 있는 토양층이다. 이러한 표토가 모두매몰되고 수목 식재시 별도의 객토 및 유기질비료를 사용한다는 것은 대단한 손실이다. ※ 페이지: 100~105 ※ 키워드: 산림자원 활용, 대기정화, 지력향상, 환경오염 방지, 자연자원
    • / 1997년08월 / 112
  • 쓰레기 매립과 조경 ; 국내 쓰레기매립지 활용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과거 매립지 토지활용에 대한 접근방식은 매립장 내에서의 생화학적 변화 등 제반 환경적인 여건을 감안하여 적절한 관리 및 건설계획을 세우기보다는 자연 상태에서 유보지로 방치한 후 필요한 시점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무분별하게 매립지를 재사용해왔던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산업활동의 고도화와 생활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배출되는 쓰레기의 생성도 과거 연탄재가 주종을 이루어왔던 것과는 달리 다양하고 복잡해져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오염원도 보다 다양해지고 유독성도 증대되고 있다. ※ 페이지 : 63~67 ※ 키워드 : 매립지 토지활용, 쓰레기 매립지, 재활용, 건설계획
    • / 1997년08월 / 112
  • 자생화와 함께한 20여년의 세월
    유수같이 흘러버린 시간들이지만 검던 머리칼에 이슬이 내린 것을 거울 속에서 발견하고 그동안 많은 세월이 흘렸음을 느낄 수 있었다. 내게 있어 자생식물들은 가장 큰 위안과 감동을 주는 대상이다. 수많은 종의 식물을 내 손으로 가꾸고 바라보고 있노라면 자연 속에 내가 동화된 듯한 착각을 일으킬 때도 있다. 처음 자생 식물을 가까이 하게 되었을 때, 이른 봄에 깜찍한 꽃이 너무도 아름답게 개화 하는 깽깽이 풀에 매료되었다. ※ 페이지:50~51 ※ 키워드: 한택식물원, 이택주, 자생화
    • / 1997년08월 / 112
  • 녹색 융단 창녕 우포늪, 자연보전지구로 지정
    화왕산 북사면에서 발원, 낙동강의 지류인 토평천 유역에 자연 조성된 늪으로 하상의 경사가 완만하고 해수면의 상승으로 여러 가지 침식물이 호소에 쌓여 현재와 같은 습지가 된 것이다. 인근의 목포, 사지포, 및 쪽지별과 함께 수면면적만 해도 약 70만평에 달하는 우포늪 일대는 특정야생동식물로 지정된 가시연꽃을 비롯하여 갈대 줄부들 등 각종 희귀한 식물을 포함한 60여종과 중대, 백로, 왜가리, 큰고니 등 조류 30종 그밖에도 어류 29종, 수서곤충 37종, 무척추동물 14종 등이 서식, 생물종다양성의 총 집합장소인 생태 박물관인 셈이다. 개정 자연환경보전법 제3장 제15조 자연생태계보전지역, 제17조 자연생태계보호지역 지정, 제23조 행위제한에 따라 지금까지 해온 영농활동이나 채취 활동은 그대로 인정함은 물론 건축물의 증개축도 완화 하는 등 지역주민들의 불이익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 자연생태계보전 지역지정이 가능케 된 것이다. ※ 페이지: 142~145 ※ 키워드: 우포늪, 자연보전지구, 가시연꽃, 자연환경보전법
    • / 1997년08월 / 112
  • 쓰레기 매립과 조경 ; 국내 쓰레기 처리실태와 파생되는 환경문제
    폐기물문제도 다른 환경문제와 같이 무엇보디도 먼저 제도의 수립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뒷받침할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발생원 즉 모든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현재 국내 폐기물에 관한 제도는 너무 심할 정도로 다각도의 조치를 취하고 있고 주민들의 참여 또한 상당한 수준에 와있다고 본다. 그러나 가장 필요한 각종 기술 및 기초시설 확보는 걸음마 단계를 면치 못하고 있다. 분리수거된 폐기물의 재활용도 그렇고 음식물쓰레기의 퇴비화 · 사료화나 소각열 회수시스템도 마찬가지이다. ※ 페이지 : 56~62 ※ 키워드 : 쓰레기 처리, 폐기물 관리, 제도, 재활용, 퇴비화, 소각열
    • / 1997년08월 / 112
  • 조경가, 건축가, 의뢰인이 협력 프로젝트 - 태인 C.C 클럽하우스 조경
    ·위치 : 전북 정읍시 태인면 ·면적 : 864,780㎡ ·조경설계 : 김재식(전북대 조경학과 교수) ·건축설계 : 이강헌(백제예전 건축학과 교수) ·시공 : (주)우진건설 ·의뢰인 : (주)우진관광개발 자연지형과 지방특색 살린 조경 부지와 건축물 사이에 다양한 공간 및 경관 요소를 도입하여 건축물의 형태에서 풍기는 강한 이미지를 잊을 수 없는 이미지로 전환하는 작업이 조경가의 역할이다. 이 잊을수 없는 이미지는 건물보다 장소에서 더 강하게 각인되며 이러한 이미지를 표출하는 곳이 바로 명소이다. 명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의뢰인 · 건축가 · 조경가의 협력이 필수적 이다. ※ 페이지:174~179 ※ 키워드: 태인 C.C 클럽하우스, 협력 프로젝트, 김재식, (주)우진건설
    • / 1997년08월 / 112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