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PREV 2015 Year NEXT           PREV 01 January NEXT

에코스케이프 2015년 01월

정보
출간일 2015년 1월
이매거진 가격 5,000

기사리스트

파이어 피트
이번 호 ‘줌 인 프로덕트’에서 소개하는 제품은 파이어 피트fire pit다. 전원 생활을 하는 이들은 대부분 아파트에서 누릴 수 없는 것들을 꿈꾼다.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마당, 베란다 정원이나 화분 몇 개로는 충족되지 않는 탁 트인 실외 정원, 저녁 식탁에 올릴 수 있는 채소를 직접 가꿀 수 있는 텃밭에 대한 로망도 크지만, 타들어가는 장작 불꽃을 직접 볼 수 있는 벽난로나 가든 파티를 하며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화로에 대한 관심 역시 크다. 특히나 최근에는 캠핑 붐이 일면서, 이른바 불놀이를 즐기는 이들이 그 어느 때보다 늘고 있다. 패키지 정원, 모듈 정원 등 다양한 정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이노블록에서 출시한 파이어 피트는 바로 이런 욕구를 제대로 충족시켜 주는 제품이다. 모닥불 주변에 도란도란 모여 앉아 타들어가는 장작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정원이 있는 삶에 대한 만족감이 그 어느 순간보다 커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캠핑용 화로대는 휴대용으로 제작된 것이기에 크기나 내구성 면에서 1년 내내 정원 한 켠에 설치해 놓기에 적합하지 않다. 더구나 경관적인 측면에서도 아쉬움이 크다. 하지만 파이어 피트는 모닥불을 피워 놓지 않았을 때에도, 정원 소품으로서 실외공간의 격을 한 단계 높여준다. 벨비디어 제품을 적용하여 주변 자연 환경과의 조화를 극대화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불을 피우는 것은 안전 문제(화재)와 관련하여 큰 걱정거리가 아닐 수 없는데, 파이어 피트는 무엇보다 안전한 모닥불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전원주택과 펜션의 필수 아이템이라 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리고 한 팔레트가 한 패키지로구성되어 있어 DIY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점도 큰 장점이다. 설치 방법이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되어 있어, 초보자도 큰 어려움 없이 ‘정원 일’의 즐거움을 만끽하며 설치할 수 있다. 1971년 설립된이노블록은 일본 NIKKO 사를 비롯하여 독일 GODEL-MANN 사, 미국 ROSETTA 사,ANCHOR 사와 기술 제휴를 체결하였다.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제1, 2공장은 일본 TIGER 사의 최신식 전자동 설비를 도입하여 독자적인 품질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보도블록전문 설계 프로그램인 이노 캐드(INO CAD)를 도입하여 패턴 디자인을 제공하고 있다. 아름답고 풍요로운 생활 공간을 창조하고자 ‘자연에 순응하는 주거 환경, 우아한 삶을 위한 아름다운 주거 환경, 윤택하고아름다운 초록 도시, 건강을 즐기는 주거 공간’ 창조를 4대 모토로 삼아, 삶의 질 향상을 꾀하기 위해 기술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상록힐스테이트의 ‘로툰다’
이번 호 ‘줌 인 스페이스’에서 소개하는 시설물은 로툰다rotunda다. 경기도 고양시 삼송지구 내에 위치한 상록힐스테이트의 물뜰마을마당에 설치된 제품으로, 유럽의 고풍스러운 느낌이 돋보이는 석조 휴게시설이다. 단지의 중심부에 자리한 물뜰마을마당은 입주민들의 복합 문화 광장으로, 주민들의 주요 커뮤니티 공간이자 대표적인 휴게 공간으로 조성된 곳이다. 또한 단지 내에서 경관적으로도 가장 우수한 곳으로, 수변 공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보행 동선이 마련되어 있다. 라움하우스의 로툰다는 사진 상에서 물뜰마을마당의 가장 상단부에 위치해 있는데, 주변이 트여 있어 시각적 초점 역할도 하고 있다. 이 로툰다는 팔각 구조와 돔 형태가 조합된 형태로 화강석 통석 기둥과 식물 줄기 모양의 단조 철물 장식이 적절히 어우러져 조화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특히 다른 휴게시설물보다 비교적 규모가 커 웅장한 느낌을 주며, 개방된 넓은 장소에 잘 어울린다. 크기는 6,250×6,250×6,400(H)이다(제품명 RHRO-001). 지붕보에는 솔라등이 부착되어 해가 지면 은은한 조명 효과도 연출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아파트 외부공간의 특화 디자인 테마로 유럽풍 고품격 아파트를 표방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로툰다는 그에 걸 맞는 연출이 가능한 시설물이라 할 수 있다. 곡선미가 살아있는 석재 기둥과 지붕보, 자연에서 차용한 식물 줄기 패턴의 철물은 클래식한 느낌을 자아내며 공간에 품격을 더해준다. 로툰다는 고전 건축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 평면 위에 돔 지붕을 올린 건물 혹은 내부 공간을 지칭하는데, 현대 조경시설물에서는 이러한 형태를 적용시킨 제품들을 통칭하기도 한다. 라움하우스는 독일어 RAUM(space)과 HAUS(house)의 합성어로 자연과 사람을 위한 보다 나은 공간을 창조하는 디자인 전문 공동체를 의미하는 ‘환경 & 공공 디자인 클러스터’다. 라움하우스는 기능성과 실용성을 우선으로 하고, 현대적 감각의 세련된 디자인을 추구하며, 사용자와 시설물 간 연계와 통합을 통하여 부분과 전체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시설물과 공간 디자인을 지향한다. 또한, 계획적인 색채 적용과 체계적인 모듈화를 통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되는 이미지와 형태를 추구하고, 일관성 있는 디자인과 최적화된 표준화를 통해 도시 경관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모두를 배려하는 유니버설디자인과 장애 없는 배리어 프리 디자인 역시 사용자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라움하우스의 디자인 목표다. 제품 문의: 02-334-0426, www.raumhaus.co.kr
[전통정원] 일본의 명원9
개요 무로마치 막부가 막을 내린 텐쇼天正 원년(1573)1부터 오사카성 전투에서 도요토미 씨가 멸망한 케이쵸慶長 20년(1615)까지의 시간적 범위를 모모야마 시대라고 한다. 모모야마 시대는 무로마치 막부가 몰락하면서 고대적·중세적인 요소가 사라지고 새로운 시대로의 체제 전환이 이루어지는 과도기적인 성격을 가진다. 모모야마라는 명칭은 교토 남쪽에 후시미조伏見城를 쌓고 천하를 호령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1537~1598)를 격파한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1543~1616)가 성을 파괴하고, 그 자리에 복숭아나무를 심은 데서 유래한 말이다. 모모야마 시대는 무로마치 시대에 비해서 불교적 색채가 옅어지고 현세 긍정의 세속적 성격이 농후해지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1534~1582)가 펼쳤던 불교 세력의 탄압과 현세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사회적 분위기였다. 노부나가는 중세적인 권위, 가치, 질서의 파괴를 자신의 역사적 사명이라고 믿었으며, 이를 현실 정치에서 그대로 실천했다(구태훈,2011). 그 결과 일본인들은 중세를 지배하던 내세주의 인생관을 버리고 현실의 삶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는 현세주의 인생관을 신봉하게 되는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 특징은 유럽이나 동남아시아와 교역하던 무역상들의 풍부한 부와 세력을 잡은 무사들의 기풍이 반영되면서 웅대하고 호화로운 문화를 생성하게 된다.2 한편으로는 각지의 도시를 거점으로 하는 지역 문화가 확산되고 민중화가 한층 더진행되는 현상도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상은 각 지역마다 정체성이 뚜렷한 문화를 형성하는 계기가 된다. 오랜 세월 지속된 전국 시대의 혼란스러웠던 사회는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상황을 평정하면서 안정된다. 이러한 사회적 안정은 대규모 토목 공사로 연결되는데, 그중에서도 성곽의 축조는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역사役事였다. 성곽은 주로 영지의 중심이 되는 평지에 축조되었으며, 그것은 절대적인 군사력과 풍부한 경제력을 과시하는 수단이었고 평화와 번영을 보장하는 권력의 상징이었다. 성곽의 축조와 더불어 주라쿠 다이聚落第라고 부르는 대저택의 건축도 유행하게 되며, 성곽이나 저택에 부속된 정원의 조성도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당시에 조성된 대표적인 정원을 보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후원하여 조성한 다이고지醍醐寺 산호인三寶院 정원과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교토에 머물 때의 거관居館인 니조조二条城의 니노마루二の丸에 부속된 정원이 있다. 이 두 정원은 모두 당시 일본을 통치하던 대 권력자가 주도했고, 모모야마 시대 최고의 정원예술가가 조영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다이고지 산호인의 정원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정원의 경계를 설정하고, 설계도를 직접 검토할 정도로 애착을 가졌던 정원이다. 그러나 이 정원은 안타깝게도 히데요시가 살아있을 때 완성되지 못하고, 그가 죽은 다음인 겐나元和 10년(1624) 당시 다이고지의 주지로 있던 기엔 쥬고義演准后에 의해서 완성된다. 니조조 니노마루 정원은 케이쵸慶長 8년 (1603)경에 조성되었으며, 칸에이寬永 3년(1626) 고미즈노오後水尾 천황을 영접하게 되면서 고보리 엔슈小堀遠州에 의해서 개조된 정원이다. 이 두 정원에서는 패자覇者의 독특한 특징을 작풍으로 살필 수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화려하고 아름다운 형태의 정원석을 많이 사용하여 특이하게 꾸며 놓았다는 것과 여러 가지 수목과 이국적인 식물을 심고 연못, 폭포, 돌다리 등 모든 것을 과장되게 구성·표현했다는 점이다. 특히 산호인의 수호석인 등호석藤戶石은 지난날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足利義昭의 니조二条 고쇼 정원에 세웠던 것이나 이것을 히데요시가 자신의 집으로 가져다 놓았고 또 다시 산호인으로 옮겨 놓은 것으로 권력을 상징하는 명석名石 중의 명석이었다. 니조조 니노마루 정원 역시 호화로운 건축에 부수되어 조영되었다. 이 정원 역시 산호인과 마찬가지로 많은 명석을 배치했으며, 이러한 명석들을 조합한 석조石組를 통해서 작정자들이 발휘한 고차원적인 미의식을 살필 수 있다. 그밖에도 나고야 성의 니노마루 정원, 큐도쿠시마舊德島 성의 오모테고텐表御殿정원, 와카야마죠和歌山城 니시노마루西の丸 정원 역시 모모야마 시대의 정원 양식을 살필 수 있는 훌륭한 정원들이다. 이러한 모모야마 시대의 정원 양식은 겐나元和·칸에 이寬永 시대까지 지속되어 나타난다. 한편, 고카와데라粉河寺 정원이나 타이상지太山寺정원 등과 같은 사찰 정원에서는 당시의 정원 양식과는 또 다른 특별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독특한 작풍은 정원을 만든 작정자들의 특별하고 신선한 창작 의지가 있었기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 한 가지 주목할 사항은 다이고지 산호인 정원과 온조지 고조인園城寺 光淨院 정원에서 모모야마 시대의 호방·웅대한 특색과 대조되는 건물의 의장과 정원의 중심이 되는 못 주변에서 신덴즈쿠리寢殿造 풍의 양식이 나타난 다는 것이다. 이것은 헤이안平安 시대로의 복고 정신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불어 쇼인즈쿠리書院造 양식이 완성된 것도 이 무렵이고 대규모 저택이나 거성이 조영된 시기도 역시 이때다(西桂, 2005). 홍광표는 동국대학교 조경학과,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경기도 문화재위원,경상북도 문화재위원을 지냈으며,사찰 조경에 심취하여 다양한 연구와 설계를 진행해 왔다.현재는 한국전통 정원의 해외 조성에 뜻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저서로『한국의 전통조경』,『한국의 전통수경관』,『정원답사수첩』등을 펴냈고, “한국 사찰에 현현된 극락정토”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또 한국조경학회 부회장 및 편집위원장,한국전통조경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식재기법] 고산식물을 위한 암석원 조성 기법(3)
암거 작업 암석원의 환경 기반을 조성할 때 가장 고려해야 할 점은 여름철 고온다습한 기후를 대비하는 것과 토양 내 물 빠짐을 원활하게 하는 일이다. 만약 조성 부지 내 기존 토양이 배수가 불량한 점질토이거나 혹은 물이 모일 수 있는 함몰 지형일 경우 암거 작업은 필수적이다. 다만 자연 암반 지역을 활용해 암석원을 조성하는 경우 기존 암반 지대가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암거는 암석원 토양 기반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배수층 밑에 조성된다. 부지 여건에 따라 대략 깊이 1~2m 아래로 설치한다. 완벽한 배수를 위해서는 경사진 Y자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배수 여건에 따라 설치 간격은 달라지나 먼 거리의 폭이 약 20~30m 내외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간격이 넓어지면 지선을 내어 연결한다. 배수층 작업 암거 작업이 끝나면 배수층을 조성한다. 배수층은 조성 기술에서 언급한 바 있는 풍혈지 원리를 이용해 조성한다. 풍혈지 원리는 용토층 하부로 땅을 깊게 파서 자갈을 메워 물 빠짐을 좋게 하고, 지하의 시원한 공기층 영향으로 지상과 가까운 표토층의 온도를 내려가게하는 방법이다. 배수층은 암거 작업 이후 식재층 하부로 약 1m 가량 조성한다. 연못과 계류 등의 수경 시설을 제외한 암석원 부지 전반에 걸쳐 시행한다. 배수층은 밑에서부터 굵은 자갈층(ø50~100mm, T300mm)→ 중간 자갈층(ø25mm, T200mm) → 가는 자갈층(ø10~15mm, T200mm) → 굵은 마사층(ø5~10mm, T200mm) →가는 마사층(ø1-5mm, T100mm)의 단계로 조성한다. 이때 자갈 대신 유사한 규격의 쇄석을 이용해도 좋다. 단, 자갈과 마사토는 체로 치고 물로 씻어내 진흙 등의 토양 미립자를 제거한 정제된 것을 사용한다. 마사 가루 등이 공극을 메우면 배수가 불량해지고 토양 온도가내려가는 것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배수층은 현장 여건에 따라 일부 층을 생략하거나 추가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최소 500mm 이상의 배수층이 확보되어야 하며, 가는 자갈층과 마사층은 반드시 조성해야 한다. 개인 정원이나 소규모 암석원의 경우는 자갈층 대신 토기 화분 조각 등을 이용하거나, 마사토 대신 송이나 펄라이트 혹은 강모래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상황에 따라 구입이 용이한 자재를 이용하되 물 빠짐이 원활하도록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 펄라이트의 경우 배수의 기능은 좋지만 재질이 워낙 가벼워 비가 오거나 관수를 할 때 용토층 위로 올라와 미관을 해치고, 다른 곳으로 유입되거나 배수층 아래로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암석 배치 배수층이 마무리 되어가는 시점에서 암석을 배치한다. 거석의 경우 자갈층이 마무리되면 배치를 시작한다. 암석은 암석 식물의 생존 기반을 만들어주는 중요한 구조적 역할을 수행한다. 또 상대적으로 작은 암석 식물의 크기로 인해 전체 원園의 중요한 경관을 이루는구성 요소가 된다. 때문에 암석 배치는 계획 단계부터 신중을 기해야 하며, 암석원의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고 다양한 현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노련한 기술자가 시행해야 한다. 김봉찬은 1965년 태어나, 제주대학교에서 식물생태학을 전공하였다. 제주여미지식물원 식물 과장을 거쳐 평강식물원 연구소장으로 일하면서 식물원 기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그리고 2007년 조경 업체인 주식회사 더가든을 설립하였다. 생태학을 바탕으로 한 암석원과 고층습원 조성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 한국식물원수목원협회 이사, 제주도 문화재 전문위원, 제주여미지식물원 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조성 사례는 평강식물원 암석원 및 습지원(2003), 제주도 비오토피아 생태공원(2006), 상남수목원 암석원(2009), 국립수목원 희귀·특산식물원(2010),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암석원(2012) 및 고층습원(2014) 등이 있다.
[실무정보] 도로 및 환경유형별 가로수 조성·관리 모델 개발(3)
우리나라의 가로수 우리나라의 가로수 식재에 대한 기록은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선 후기 고종 32년(1895) 내무아문內務衙門에서 각 도의 도로 좌우에 수목을 식재하도록 시달한 기록이 있어(이정자, 1989) 우리나라 가로수 식재 역사는 100년이 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근대화와 도시화를 거치며 도로에 가로수를 식재하는 것은 법적 규정에 의한 의무가 되어 도시 어디에든 가로수가 식재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 가로수의 위상은 도로에 포함되는 부속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 도로법 개정으로 타공작물他工作物1 취급을 받고 있다. 가로수는 도시를 구성하고 경관을 창출하는 녹색 요소로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공학적 기능뿐만 아니라 미기후 개선 및 생물이동통로로서의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도시에 부족한 녹색 공간을 제공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살아있는 생명체로서 시간의 흐름과 계절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주변 환경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가로수의 기능과 생명체로서의 기능을 극대 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로수를 대하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고, 치밀한 계획을 통한 조성·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 가로수 조성·관리 현황 1) 주요 도시 및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면적은 약 22만km2이며 이 중 남한 면적은 약 10만km2로 추산된다. 인접한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협소한 면적이지만,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위도와 지형적 차이로 인해 다양한 기후대가 분포하고 있어 지역별로 생육 가능한 수종의 차이가 있다. 또한 곳곳에 형성된 도시의 규모나 문화, 기능적 차이도 다양하다. 이러한 차이는 녹지 공간이 형성하는 경관적 차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우리나라 기후대를 크게 온대 중부, 온대 남부, 난대로 구분해 해당하는 지역의 가로수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가로수 식재 특성이 나타난다.온대 중부 지역에 속하는 경기 지역에는 은행나무가 22%로 가장 많이 식재되어 있고 벚나무 23%, 느티나무 11%의 식재 비율을 보인다. 온대 남부에 속하는 전남과 경남 지역에서는 벚나무가 24%로 가장 많고, 온대 중부이남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배롱나무가 10%를 차지하고 있다. 난대 지역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제주의 경우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담팔수 등 상록활엽수가 다양하게 식재되어 있어 상록활엽수를 포함한 기타 수종의 비율이 65%에 달하고 벚나무가 22% 식재되어 있으나 우리나라 대표 가로수 중 하나인 은행나무는 식재 비율이 2%에 불과하다. 제주도를 제외하면 경기 지역과 전남·경남 지역은 은행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등의 가로수 편중 현상이 다소 높게 나타나지만 대체적으로 기후대에 따라 주요 수종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대도시에서는 이러한 지역별 특성에 따른 가로수보다는 도시 환경에 적응성이 높은 수종이 주로 식재되어 있다. 서울시의 경우 은행나무 41%, 양버즘나무 36%로 가로수종의 편중 현상이 심각한 것은 잘 알려져 있고, 해안과 인접한 인천의 경우 은행나무 30%,느티나무 17%, 벚나무 14%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은행나무의 식재 비율이 높고 해안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가로수종이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내륙에서 대표적으로 온도가 높은 지역인 대구시의 경우도 은행나무 24%, 양버즘나무 23%, 느티나무 19%로 일반적인 가로수종의 편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기후대별로 차별화된 가로수를 식재해 다양한 경관 연출의 잠재성을 보이고 있으나, 실제 국민의 대부분이 거주하고 있는 도시 지역에서는 지역별·도시별 특색보다는 대표적으로 식재해온 은행나무, 양버즘나무, 느티나무의 편중 현상이 두드러진다. 한봉호는 1968년 태어나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조경학을 전공하였고, 동 대학원에서 환경 생태학 및 환경 생태 계획학으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경기술사사무소 LET 부설 환경생태연구센터 센터장으로 재직하면서, 다양한 건설 사업에 환경 생태적 특화 방안을 제안하는 등 새로운 방향 모색을 시도하였다. 2003년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로 임용된 이후에도 독일의 Landschaftplanung(조경계획)을 국내 여건에 맞게 새롭게 정립한 환경 생태 계획 기법을 바탕으로 도시, 산림, 하천 등 다양한 분야의 계획 전문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공저로 『환경생태학』, 『환경생태계획』 등이 있다. 곽정인은 1978년생으로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조경학을 전공하였고, 동대학원에서 환경 생태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도시생태학연구센터 HUNECO의 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도시림, 가로수, 도시 하천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환경생태연구재단의 사외 이사, 환경생태연구센터 센터장,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겸임 교수로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공저로 『환경생태학』, 『환경생태계획』 등이 있다.
[옥상녹화] 일본 옥상녹화 단상
1. 세계 제1의녹화 주차장 1 오키나와 츄라우미 수족관 이전에 이 주차장의 보도교 녹화를 소개한 적이 있다. 그때 옥상녹화도 계획 중이므로 완공 후에 다시 소개하겠다고 밝혔다. 당시에는 비교적 단기간 내에 소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공사가 생각보다 꽤 늦어져 2010년 2월 말에 겨우 완성되었다. 이 사진만보면 지상에 만든 광대한 녹화 주차장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3층과 4층 건물의 옥상이다. 철강 구조의 거대한 주차장으로 옥상 면적만 약 9,000m2이다. 이 정도의 거대한 면적이 녹화되어 있다는 것도 굉장하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주차장으로 사용한다는 점이 아닐 수 없다. 지하 주차장 상부의 인공지반을 녹화한 사례는 꽤 많다. 면적이 9,000m2을 넘는 것도 당연히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 등의 인공지반이 아닌 단독 주차장으로, 이 정도의 넓은 면적을 녹화하고 그것도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아마도 세상에서 이곳 하나밖에 없지 않을까 싶다. 만약 이보다 큰 사례가 존재한다면, 이 글의 제목을 고쳐 써야 할 테니 혹시아시는 분은 연락해 주셨으면 한다. 우선은, 필자의 판단으로 세계 제1의 녹화 주차장이라고 선언해 두겠다. 세계 제1이라고 말하고 싶은 또 하나의 이유는 대규모 벽면녹화 때문이기도 한데, 이에 관해서도 소개하도록 하겠다. 이 녹화 주차장은 두 종류의 식재 기반으로 구성되어있다. 주행로 부분은 벽돌 형태의 블록을 보조재로 깔아서 답압 방지 효과를 노리는 유형이다. 주차 부분은 엉성한 입자의 자갈과 세세한 입자의 토양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고, 자갈과 토양의 노면 항력으로 답압에 견디는 유형이다. 전자는 보기에도 잔디를 보호하고 있는 느낌이 들고 누구나가 납득하는 공법이지만, 후자는 ‘과연 이것으로 괜찮을까’라고 누구나가 염려하는 공법이다. 효고켄兵庫県이 시공한 시험구에도 이 후자와 같은 유형이 설치되어 있어, 시공 직후에 코베神戸 대학교의 M교수와 “정말로 괜찮을까요”라고 작은 소리로 서로 이야기한 것이 생각났다. 야마다 히로유키는 치바대학교 환경녹지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원예학연구과와 자연과학연구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도시녹화기술개발기구 연구원, 와카야마대학교 시스템공학부 부교수를 거쳐 현재 오사카부립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과학연구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토교통성의 선도적 도시 형성 촉진 사업과 관련한 자문위원, 효고현 켄민마을 경관 수준 녹화사업 검토위원회 위원장, 사카이시 건설국 지정 관리자 후보자 선정위원을 역임했다. 일본조경학회 학회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도시 녹화의 최신 기술과 동향』, 『도시환경과 녹지-도시 녹화 연구 노트 2012』 등을 비롯해 다수의 공저가 있다. 한규희는 1967년생으로, 치바대학교 대학원 조경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일본의 에디(EDY)조경설계사무소, 그락크(CLAC) 등에서 실무 경험을 익혔고, 일본 국토교통성 관할 연구기관인 도시녹화 기구의 연구원으로서 정책 업무 등에 참여해 10여 년간 근무해 오고 있다. 특히 도시의 공원녹지 5개년 계획의 3차, 4차를 담당했다. 일본 도쿄도 코토구 ‘장기계획 책정회’ 위원, 서울시 10만 녹색지붕 추진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연구 논문과 업무 경험을 쌓았다. 현재 한국에서는 어번닉스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 중이다. 여러 권의 단행본을 함께 감수하고 집필하면서 기술 보급에도 힘쓰고 있다.
[생태문화·생태복원] 빙하시대의 유산, 철새들의 낙원 스웨덴 혼볼가 습지
혼볼가 습지 스웨덴 남서부에 위치한 호수형 습지인 혼볼가Hornborgasjön는 북유럽 최대의 조류 서식처로서 검은목 두루미, 큰고니 등 50여 종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철새들의 중요 기착지이다. 1974년 람사르습지로 지정되었고 1997년에는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33km2의 습지를 포함한 41.24km2에 이르는 보호지역은 한때 농업용 배수 프로젝트에 의해 매립되면서 심각하게 훼손되었던 아픈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제는 대대적인 복원 사업을 통해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습지로 재탄생하였다. 이번 글에서는 혼볼가 습지의 생태적 중요성과 훼손과정, 그리고 복원 노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혼볼가 습지의 생태문화적 의미 혼볼가 습지는 마지막 빙하시대인 1만 년 전 무렵에 형성되었다. 빙하시대가 끝날 무렵 혼볼가는 북해 바다로 연결되는 강어귀였으나 1천 년 후 지반이 융기하면서 낮은 지역에 물이 모여 호수로 남았다. 이후 빙산과 고지대의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반복해서 범람하여광범위한 습지를 이루었다. 혼볼가 습지 방문객센터에는 1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호수의 역사와 생태계, 복원 등에 대한 이야기를 전시하고 있다. 호수면 및 범람원으로 넓게 발달한 습지와 습초지, 그리고 일부 농업 경관이 어우러진 혼볼가 습지는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자연 경관은 물론 일부 문화 경관도 중요하다. 혼볼가 호수에는 석기시대 초기부터 사람들이 흩어져 살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그들은 대체로 7개 부락으로 나뉘며, 부싯돌과 함께 가축화된 개의 흔적이 발견되 었는데 사람이 개를 이용했던 흔적으로는 북유럽에서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그 외에도 엘크, 들소, 비버, 야생멧돼지, 사슴, 는개, 곰 등의 뼈가 발견되어 사냥을 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호수를 기반으로 어로 행위가 가장 중요한 삶의 흔적으로 나타났다. 혼볼가 호수 일대를 개간하기 시작한 것은 신석기 시대인 약 6천 년 전으로서 도자기 사용 흔적이 나타나고 있다. 약 2천 년 전 무렵, 당시에는 호수가 2개 이상의 작은 호수로 흩어져 있었고 그 주변으로 습초지가 넓게 발달해 있었다. 일찍 이곳에 거주하던 사람들은 숲을 개간하여 밭과 초원을 조성하였고, 철기문명이 도입되어 견고한 집을 짓기 시작하면서 부락이 생겨났다. 일찌감치 찾아오는 북유럽의 추운 날씨로 인해 사람들은 겨울철을 대비하여 가축의 사료를 저장하였고 생산성이 높은 홍수기 범람원을 중심으로 거주가 확대되었다. 이후 혼볼가 습지는 이 지역의 주민들에게 삶의 터전으로 중요함은 물론 야생동식물의 천국으로서생명 부양력이 높은 생태계를 유지하였다. 혼볼가 호수는 규모면에서는 스웨덴 내 다른 호수에 비해 매우 작은 편이지만 두루미와 철새들의 서식처로서 매우 중요하다고 인정되어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인 람사르습지로 지정되었다. 혼볼가 습지는 스웨덴에서 대표적인 중요 습지로서 길이 10km 이상, 폭2~3km, 넓이 35km2에 이르는 넓은 습지다. 그러나 평균 최대 수심은 1.5m 내외에 이르며, 연중 일부 기간에는 약 2m 깊이에 이른다. 혼볼가 습지에는 이 지역의 텃새 50여 종을 포함하여 270여 종의 조류를 관찰할 수 있으며 특히 두루미 서식처로도 유명하다. 두루미는 수백 년 동안 이곳을 무대로 살아왔고 스웨덴의 대표적인 영화감독이자 작가이며 배우로도 활동했던 아니 석스도르프Arne Sucksdorff(1917~2001)가 영화로 제작한 이래 중요한 관광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구본학은1959년 대전 생으로,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계획, 설계, 시공, 관리, 기술 개발 등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였고, 혜천대학을 거쳐 현재는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환경생태, 생태복원 분야에서 설계·시공과 관련된 공학적 이론을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제 규모의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생태문화포럼’을 주관하고 있다. 습지와 생태 문화를 사랑하는 동료들과 함께 해외 중요 생태 문화 자원을 다수 탐방하였으며,『습지생태학』등의 저서가 있다
[그린인프라·저영향개발] 그린인프라, 조경의 새로운 미래
조경은 산, 하천, 습지, 초지 등의 자연 공간과 생물종다양성을 포함하는 모든 자연 생태계의 효율적인 보전, 관리 그리고 복원을 추구하여 왔으며, 공원과 녹지, 오픈스페이스와 정원, 비오톱과 도시 생태계 그리고 도시·문화·역사 경관을 계획, 설계, 시공하는 것을 고유한 과업으로 영위하여 왔다. 오늘날 이러한 조경의 모든 대상은, 생태적 서비스 기능을 갖는 그린 인프라Green Infrastructure로 널리 인식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바탕으로 독일연방조경가협회BDLA는 ‘그린 인프라’를 협회의 중점 사업으로 지정, 추진하고 있다. 아래의 내용은 독일연방조경가협회 홈페이지(http://www.bdla.de/aktuell/top-themen/1236-gruene-infrastruktur)에 수록된 기사 전문을 번역한 것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한 우리나라 조경 분야가 현실을 이겨내고 미래를 대비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주기에, ‘그린인프라·저영향개발’ 코너의 첫 회에 소개한다. 앞으로 이 코너를 통해, 그린인프라와 저영향개발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다룰예정이다. 독일연방조경가협회가 주목한 그린 인프라 새로 구성된 독일연방조경가협회의 회장단은 지난 2014년 7월 16일 베를린에서 현안 사항에 대한 첫 번째 회의를 소집하였고, 협회의 중점 사업으로 ‘그린 인프라’를 설정하였다. 이 주제에 대한 토론을 통해, 조경·경관이 다양한 사회적 이슈의 중심에 설 수 있는 기회가 왔다고 선언하였다. 권경호는 서울대학교에서 조경학을 배우고, 독일 베를린 공과대학교에서 응용수문학·도시물관리 분야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관심 분야는 저영향개발(LID)과 그린인프라(GI), 저개발국 기초식수공급, 독일 통일 전·후의 도시 인프라 계획 등이다. (재)한국먹는물안전연구원 내의 도시물순환연구센터에서 분산형 빗물관리의 도시홍수 방재,물순환,비점오염 저감 효과 측정 및 수문모델링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은상: 물의 정원
사업 개요 대청호 수면에 인공식물섬을 설치하여 조류 발생을 억제하고 수질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물의 정원’은 대청호의 색다른 수변 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랜드마크로서의 역할도 기대된다. 사업은 2011년12월부터 2013년 12월(시운전 포함)까지 진행되었다. 기능 및 효과 1) 환경생태성 수생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수면에 부유식 인공식물섬을 조성하여 생태계 복원과 수질 개선을 실현하는 기술이다. 자연 호소의 연안대에서 발달하는 습지의 생태계 복원 및 수질 개선 효과를 수면 위에 실현하여,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한다. 녹색 공간을조성함으로써 경관 개선 효과도 갖는다. 2) 기술적합성 대청호와 같은 국내 대부분의 인공호수는 용수의 사용목적과 계절별 강우량 변화 등에 따라 수위 변동이 심해 수변 전이대의 식생대가 조성되지 못하고 생물 서식처가 파괴되고 있는 현실이다. 설계동일기술공사 시공아썸 발주청원군(위탁시행: 한국수자원공사) 위치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대청호 규모13,000m2(인공식물섬 11,500m2) 완공2013. 12.
은상: 하천에 분포하는 표토를 이용한 고수부지 및 제방 법면의 생태적 복원
하천 복원 재료로서의 표토 1) 표토의 개요 및 특성 표토는 일반적으로 표층 30cm 정도의 상층토로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양분과 수분을 공급한다. 표토는 대상지역의 자생종 및 과거에 분포하던 매토종자1를 다수포함하고 있는데, 적합한 발아 조건 형성 시 발아한다. 하천 표토의 경우 갈대, 물억새 등 벼과식물의 지하경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하천 복원 재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해당 하천의 고유한 식생을 복원하는 데 표토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2) 표토 활용 시 주의사항 모든 표토가 하천 복원 재료로서 유용한 것은 아니다. 모래질과 점토질 토양의 경우, 유기물 함량이나 매토종자의 발아율이 낮기 때문에 적용 전 매토종자의 현황 파악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토 활용을 통한 생태 환경 개선 및 효율적 사업 유도 1) 종자분사파종seed spray 계획 변경 ① 당초 계획 완경사 호안(1:10 이상) 조성 후, 식물의 조기 활착에 의한 사면 안정을 위해 켄터키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광엽형 한국잔디, 들잔디 등의 종자를 비료 및염료와 혼합하여 분사 파종한다. 설계·감리·모니터링삼안 시공대원종합건설 발주국토교통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위치경기도 화성시, 오산시, 평택시 일원의 황구지천 국가하천 구간 완공2012. 11.
금상: 자연 하안 복원을 위한 웅덩이형 수제 공법
개요 기존의 수제水制 형태에 웅덩이부를 설치하여 수제1 내에 저유속 구간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유수에 의한 하안 보호, 웅덩이부 퇴적에 의한 자연 하안 형성, 다양한 생물서식처 제공 등의 효과가 있다. 이 공법으로 하도 중앙의 수심과 소류력2을 증가시켜 자연 하천의 이동성을 회복할 수 있다. 개발 배경 치수와 환경을 동시에 고려하는 새로운 하천 복원 공법에 대한 수요가 급증해 왔다. 2000년 이후 친환경호안 공법 적용이 증가하였으나, 홍수 시 국부 세굴 및 유실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수 생태 복원 사업(국가R&D)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자연 하안을복원할 수 있는 공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기술 원리 및 특징 인위적 영향으로 하상 이동성이 교란된 하천 또는 평상시 유량이 적어서 수심 확보가 어려운 구간에 적합하며, 세굴이 발생하는 수충부에 효과적인 유수 제어기술이다. 웅덩이부에 의해 하안의 수류 감세 효과가 증가하여 하안의 퇴적이 촉진되며, 수류 감세에 의한 하안 보호와 자연 하안 형성에 의한 보호 효과가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치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장기적으로는 웅덩이부에 퇴적 및 식생 활착이 진행되어 하안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다양한 생물서식처를 제공하는 자연 하안이 형성된다. 설계한국건설기술연구원, EPS솔루션 시공홍원조경건설 발주안양시 위치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안양천(화창교 상류) 완공2011. 2.
대상: K-water형 수 생태계 복원 및 어류 산란·서식 공간 창출을 위한 수중 부유식 어류 산란 장치 개발
추진 배경 1) 기술 개발 배경 댐 저수지는 가뭄과 홍수 시 수위 변동에 따라 어류 서식과 산란 공간의 제약을 받고 있다. 저수지에 서식하는 주요 어종인 잉어나 붕어 등은 주로 4~7월에 얕은 지역의 수초 등에 산란하는데, 이 시기에 관개용수 공급, 봄철 가뭄 등으로 댐 수위가 하강하면서 산란된 알은고사하여 부화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K-water, 농어촌공사 등 저수지 관리 기관들은 치어 방류 사업, 어류 산란장 조성 등으로 어족자원 보호와 주민 소득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기존 산란시설의 문제점 기존의 산란시설은 주로 식물을 이용한 부유식 수초섬 형태로 조성되어 수면부에만 산란 공간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깊은 수심에 서식하는 어종(냉수 어종)의 접근이 불리하다. 또한 기존의 시설물은 수면에 노출되어 있어 봄·여름에는 관상용 식물이 자라지만 가을·겨울에는식물이 고사해 수변 경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추진 사항 1) 어류 생태 습성 적용 설계 인간의 생활 환경인 아파트 구조를 적용하여 저수지 수심별로 모든 물고기가 활용할 수 있도록 어류 산란장치를 개발했다. 산란 장치의 어류 활용도를 높이기위해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어류의 생태 습성을 연구하여 적용했다. 채병수 박사(국립공원관리공단) 자문에 따르면 어류의 생태적 습성은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어류는 지느러미 구조로 인해 정면으로 이동하는 직진성 유영운동을 한다. 포식자로부터 위험을 피하기 위해 그림자의 음영 유무에 따라 회피 행동을 한다. 산란을 위해돌이나 수초에 몸을 근접시키는 접촉성이 있다. 산란된 알은 달라붙을 수 있는 공간과 부화를 위해 충분한 채광이 필요하다.이에 천연 섬유로프(마닐라삼)를 조밀하게 구성하여 어류의 접촉 공간을 제공했으며, 수평판은 다공형으로 구성하여 그림자 효과 및 채광 조건을 맞추어 알이 부화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2) 수중 부유식 어류 산란 장치 구성 요소별 기능 K-water형 수중 부유식 어류 산란 장치는 상단의 부유체를 통해 수면에서 부유할 수 있다. 수중에는 다수의 고정판과 섬유로프를 설치한다. 어류 산란 장치 고정판이 팽팽하게 배치되도록 자립용 추를 설치하고, 유체 흐름에 이동하지 않도록 수중 바닥에 고정시키는고정블록을 설치한다. 수중 바닥 고정블록에 연결된 연결로프는 신축성을 가져 저수지 수위 변동에 따라 변동하면서 시설물이 항상 일정한 수중(수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수평고정판에는 다수의 섬유로프를 연결하여 어류의 산란을 유도하고 산란된 어류의 알을 보호한다. 상하단에 연결 브라켓을 설치하여 손쉽게 복수의 산란 장치를 병렬 확장하는 것이 가능해시공이 간편하다는 특징이 있다. 설계K-water 시공삼성물산, 코스맥 발주K-water 위치경상북도 안동시 안동호, 임하호 일원 완공2013. 3.
2014 응용생태기술 우수사례 공모전
응용생태공학회(회장 우효섭)가 주최한 ‘2014 응용생태기술 우수사례 공모전’의 결과가 지난 11월 10일 발표되었다. 대상으로는 K-water가 설계한 ‘수중 부유식 어류 산란 장치 개발’ 사례가 선정되었다. 이번 공모전은 도로·철도, 항만, 공항, 댐·하천, 상하수도, 폐기물 처리, 환경 정화, 도시 및 단지 등 사회 기반시설 분야에서 생태학적 원리를 응용한 설계 및 시공 사례 중 우수한 사례를 발굴하여 토목·건설 산업과 생태학의 융합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심사는 환경생태성, 기술적합성, 사회문화성 세 부문을 기준으로 삼았다. 원래의 사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환경·생태적 기술이나 기능이 접목되었는지, 환경과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관련 기술이 접목되었는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했다.그리고 접목된 기술이 새로운 사회·문화적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지를 따졌다. 대상으로 선정된 K-water의 수중 부유식 어류 산란 장치는 아파트 구조를 모티브로 물고기의 산란장을 개발했고, 모니터링 결과 실제 어류가 다수 확인되어 효과를 입증했다.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실용화 계획을 제시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본지는 대상과 금상, 은상 2작품을 소개한다. 2014 응용생태기술 우수사례 공모전 선정 결과 대상 작품명 K-water형 수중 부유식 어류 산란 장치 개발·적용 수상자 K-water, 삼성물산, 코스맥 금상 작품명 자연 하안 복원을 위한 웅덩이형 수제 공법 수상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양시, EPS솔루션, 홍원조경건설 은상 작품명 하천에 분포하는 표토를 이용한 고수부지 및제방 법면의 생태적 복원 수상자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삼안, 대원종합건설 작품명 물의 정원 수상자 아썸, 청원군, 동일기술공사 동상 작품명 한탄강 홍수조절댐 생태계 보존을 위한 생태이동통로 적용 수상자 K-water, 삼안, 대림산업, 신동아종합건설 작품명 도심 내 독립형 양서류 인공비오톱 조성 수상자 한양대학교 발생분화연구실
백두대간 생태축 회복을 위한 생태통로
Ⅰ. 속리산국립공원 속리산국립공원은 백두대간 생태축의 주요 거점이다. 그러나 지방도 제922호선으로 인해 생태축이 단절되어 있어 야생동물 서식처 파편화, 행동권 축소, 근친교배, 야생동물 교통사고(이하 로드킬)가 우려된다. 최근 복원되고 있는 멸종위기종의 실질적인 한반도 서식 그리고 기 서식하던 야생동물의 서식처를 갖추기 위해 생태통로가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생물종의 이동성을 확보하고 산림 생태계를 연결하여 백두대간의 생태축을 회복하고자 한다. 속리산국립공원 내 생물종의 백두대간 생태축 이동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여 실질적인 한반도 서식과 안정화, 종 다양성을 유도하는 것이다. 훼손 현황 및 토지 이용 상태 속리산국립공원 내에 대상지가 위치하고 있어 양호한 생태계를 보이고 있으나 922번 지방도로 인해 야생동물 로드킬이 발생하고 있다. 대상지는 계곡 지역으로 콘크리트 수로 박스가 있지만 침식 현상, 노후화 등으로 인해 개선이 필요하다. 복원 계획 922번 지방도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계곡과 유사한 지형을 나타내는 지점으로 계곡과 작은 도로가 입체 교차하고 횡단 거리가 짧다. 목표종인 양서류와 중대형 포유류의 이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하부형 생태통로를 계획했다. 복원 계획의 핵심 지역은 야생동물의 실질적인 공간이동의 통로 역할을 하고 백두대간을 연계하는 생태통로 내부다. 그리고 생태통로 입구 양측을 완충지역으로, 입구 주변으로 야생동물의 이입을 유도할 수 있는 공간을 전이지역으로 설정했다. 중대형 포유류 중 속리산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너구리, 노루, 고라니와 양서류 중 북방산개구리와 한국산 개구리를 일반 목표종으로, 속리산과 연계된 월악산에 서 복원이 진행 중인 산양을 우선 목표종으로 정했다. 1) 복원 목표 ① 백두대간 생태축의 핵심지역, 마루금 회복을 통해 야생동물 종 다양성을 증진한다. ②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영향으로부터 차폐 기능을 강화하여 목표종(중대형 포유류 및 양서류)의 안전한 이동을 유도한다. ③ 생태통로, 주변 생태 기반 환경, 생태 환경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생태통로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고 주변 자연환경에 대한 훼손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2) 공간별 세부 계획 ① 생태통로 형태 및 구조 - 생태통로 규격은 중대형 포유류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L=12m, W=5m, H=3m’로 설치한다. 배수를 위해 생태통로(암거) 하부에 기존 배수로의 규격(800mm)을 고려하여 기존 유수량을 해결할 수 있는 배수 체계를 조성하되, 생태통로 내부 유량을 제외한 우수량은 VR관과 개거를 연결하여 배출한다. ② 생태통로 출입구 - 생태통로는 구조물의 특성상 인공 소재 사용이 불가피하나 식생, 유용석, 유용목을 최대한 활용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롭게 배치해 조성한다. - 7~8부 능선에서 주로 서식하는 노루, 고라니 등 포유류의 이용성을 고려하여 유도 식재(주변 식생과 동일한 수종으로 식재)하고 야생동물을 유인할 수 있는 요소를 내부와 연결하여 이용가능성을 높인다. - 도입 수종은 앞선 식물상 및 식생 조사 내용을 기준으로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수종 중 생태통로 설치 지점 주변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시공으로 인한 사업 대상지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교란종의 이입도 방지한다. ③ 생태통로 내부 - 생태통로 내 야생동물이 직접 밟고 지나갈 지면은 포장하지 않고 자연토나 낙엽 등을 덮어주되 습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바닥에는 자연 소재(모래, 자갈, 돌 등)를 활용하여 이동 중 야생동물이 은신하거나 쉴 수 있는 공간을 함께 조성한다. 이와 함께 모래판을 설치하여 야생동물의 족흔을 확인하거나 CCTV를 설치하여 생태통로의 실질적 이용 정도 및 야생동물 특성 등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사업명_ 백두대간 생태축 회복을 위한 속리산 생태통로 조성 사업 위치_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속리산국립공원 내 지방도제922번 규모_ L12 × W5 × H4m 사업비_ 7억 원 사업 기간_ 2012년 5~10월 납부자_ LH 설계·시공_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관리 기관_ 속리산국립공원사무소 염성진은 한경대학교에서 조경공학을 공부하였고 이후 일본 치바대학교 대학원에서 조경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치바대학교에서 포스트 닥터를 수행하며 ‘녹의 기본 계획’, ‘1000년 마을 프로젝트’ 등의 연구 용역을 수행하였다. 귀국 후 조경설계 비욘드에서 설계 및 계획 관련 실무를 쌓았고 한경대학교에서 후학들에게 강의하였다. 현재는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소장으로 재직하며 생태복원 계획 및 연구를 하면서 강의를 병행하는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활동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조를루 센터 어린이 공원
2012년 말, 카브Carve는 WATG 조경 부문의 런던 지사로부터 이스탄불에서 가장 규모가 큰 어린이 공원을 만들어보자는 제안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제시된 공간 설계 개념은 두 가지로 구성된다. 아이들이 완전히 빠져들 수 있는 상상의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과 화려한 색상과 특징적인 형태를 구현하면서도 공원 주변과 아름답게 조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카브는 이렇게 두 개의 분리된, 하지만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디자인 개념에 탐험과 발견의 감각을 추가하고, 대규모의 맞춤형 놀이 요소를 제작하여 아이들을 이 공간으로 끌어들이고자 했다. 카브의 디자인은 아이들이 특색 있는 모양과 화려한 색상, 그리고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놀이시설로부터 자극을 받아 완전히 그들만의 상상의 세계로 빠져들 수 있기를 바라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조를루 센터Zorlu Center 어린이 공원은 멀리에서도 확연히 눈에 띄어야 했고, 이곳만의 세계를 보여주어야 했다. 조를루 센터 어린이 공원은 다양한 공간이 서서히 변화하며 이어지도록 구성되었다. 화려한 색상의 낮은 언덕이 아이들을 맞이하고, 깊숙한 공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점점 더 모험적이며 더 높은 놀이 환경으로 전개 된다. 공원은 경사진 공간을 따라 각기 다른 ‘세상’으로 나뉜다. 부모들은 공원을 전반적으로 둘러싼 테라스나 길쭉한 벤치에서 시간을 보내고 아이들은 스스로 공원전체를 안전하게 탐험할 수 있다. Carve TeamElger Blits, Thomas Tiel Groenestege, Marleen Beek, HannahSchubert, Lucas Beukers In Collaboration with WATG, London (UK) ClientZorlu Center LocationZorlu Center, Besiktas, Istanbul, Turkey Area1,600m2 Design2013~2014 Completion2014. 5. PhotographsWATG, O uz Meriç, IJreka 카브(Carve)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사가 있는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스튜디오로서, 1997년 엘거 블리츠(Elger Blitz)와 마크 판 더 엥(Mark van der Eng)이 설립했다. 지난 17년 동안, 산업디자인, 공원, 공공 기관 조경, 놀이 공간 조경 등 다양한 설계 분야의 프로젝트를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 진행해왔다. 특히, 카브의 디자이너들은 놀이공간을 공공 공간의 필수적인 장소라 생각하며, 놀이 공간 이상의 가능성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