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리스트
- 탄소배출권 수입할 필요 있나요
- 박경복 산림형사회적경제협의회장, 가든프로젝트 대표 박경복 산림형사회적경제협의회 회장이 대북 조림사업을 통해 탄소배출권 사업을 추진할 뜻을 밝혔다. 지난 5월 사단법인으로 출범한 산림형사회적 경제협의회의 초대 회장으로 취임하게 되면서, 그간의 친목 모임에서 탈피해 협회 위상에 맞는 사업 구상을 대외적으로 밝힌 것이다. 그는 북한에 산림을 조림하는 것은 어차피 통일비용에 해당한다며, 북한의 산도 가꾸고 탄소배출권도 가져오면, 굳이 외국에서 탄소배출권을 수입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러한 사업을 사회적기업에서 추진하면 소외계층에 대한 경제적 지원 효과 등 사회적 목적에도 잘 부합하는 일석이조의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며 의미를 뒀다. 8월 초 박경복 회장이 운영하는 사회적기업인 ‘가든프로젝트’의 사무실을 방문했다. 그는 인터뷰에 앞서 “오늘 우리가 나눌 대화가 이렇게 신문에 나왔다”면서 테이블 위에 일간지 한 면을 펼쳐보였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청정전력계획’에 대한 기사였다. 지난 8월 3일 오바마 대통령은 “우리의 미래와 미래 세대에게 기후변화보다 더 큰 위협은 없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미국이 획기적으로 줄이겠다”며 청정전력계획 추진을 발표했다. 이후 확정된 계획에 따르면 미국50개 주의 발전소들은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005년 대비 32%까지 줄이게 된다. 세계 최대 탄소배출국인 미국이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에 나선 것이다. 이런 변화의 조짐들은 이미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미 지난해 11월 미국과 중국은 정상회담에서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대한 합의를 이룬 바 있으며, 중국은 올해 7월 말에 ‘2030년까지 GDP 단위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60~65% 감축한다’는 계획서를 UN에 제출했다. 이는 교토의정서가 완료되는 2020년 이후의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신 기후체제가 오는12월 파리에서 개최되는 유엔기후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수립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어쨌든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글로벌 합의가 강화되는 것은‘탄소배출권’ 활성화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미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경복 회장은 남한은 조림에 성공했고, 현재 유용한 경제림으로 바꾸기 위해 수종 갱신을 하는 상황이지만, 북한은 그간 조림이 잘 되지 않았다며, 우리가 그들의 입장에서 어떻게 조기에 녹화를 시켜줄지를 고민하고, 조림을 통해 홍수 예방 계획을 세우는 것은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이라는 입장이다. 특히 이런 종합적인 안목은 조경가들이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현재 정치적 상황이 엄혹하다보니 남북간 교류가 쉽지 않은 것이 장애다.하지만 박 회장은 정치적인 부분만 아니면 북한은 열려 있는 부분이 많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 정부도 문화, 종교, 식량자원, 산림자원 등에 대해서는 북한 진출에 많이 열려 있으므로, 해빙 무드가 조금만 조성되면 충분히 진출이 가능하다는 생각이다. 산림형사회적경제협의회는 지난 2012년 설립된 단체로, 그간 산림형 사회적기업간 친목도모 및 정보공유 모임으로 이어지다가 지난 5월 14일 사단법인으로 출범하면서 법인체로서 사업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을 갖추게 됐다. 현재 박경복 대표의 가든프로젝트를 포함해 3개의 사회적기업과27개의 예비사회적기업이 회원사로 있으며, 이 중 3개사가 조경업이 기반인 회사다. 박경복 회장은 조경가들의 사회적기업 참여에 대해 “사업이 아닌 재능”으로 들어온다면 조경가들이 할 수 있는 일이 많다고 말한다. 특히 최근 큰 시장으로 자리잡고 있는 도시재생 파트 중 공동체를 만들고 마을을 가꾸는 데는 조경가들이 할 수 있는 역할이 많다며 업자가 아닌 사회적경제의 주체로 참여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조언했다. “도시숲 공모사업이나 동네숲 가꾸기, 마을 만들기 등에서 핵심 전문가로 조경가들은 역할을 다 할 수 있다. 자기 사업을 가져오지 말고 자기 역량을 가지고 들어와서 그것을 사업화하는 데 집중해 주시면 좋겠다. 특히 예쁘게 만드는 조경, 비싼 조경은 사회적경제 영역이 아니다. 싸지만 건강한 조경은 가능하다. 쉽게 말해 다큰 나무를 가져다 심는 것이 아니라 작은 나무를 심어서 키우는 일이 사회적경제의 영역인 것이다.”
- 경의선숲길 상생의 플랫폼 만들겠다
- 황주상 경의선숲길지기 대표 경의선숲길에 인생을 바치는 청년이 있다. 그는 공원 활동을 하다 아르바이트를 잘리기도 하고 때론 한 끼만 먹는 날도 있다. 그에게는 공원 일이 우선이다.바로 경의선숲길지기의 황주상 대표다.황주상 대표는 경의선숲길을 브랜딩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브랜딩은 브랜드의 이미지와 느낌, 정체성을 소비자의 마음속에 심어 관계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으로, 경의선숲길의 팬 층을 넓혀가는 ‘공원 브랜딩’을 시도하고 있다. “경의선숲길은 시민이 만들어가는 공원이다. 이곳에는 상생이라는 가치가 있다.이는 브랜딩 할 수 있는 자원이 되고, 공원이란 물리적인 공간에서 시민들이 활동하고 공원을 함께 가꾸어 나가는 과정을 통해 CSVCreating Shared Value(공유 가치 창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CSV란 기업 활동 자체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동시에 이윤을 창출하는 상생의 경영 방식이다. 황 대표는 경의선숲길이 CSV의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경의선숲길 주변의 건물주와 세입자, 공무원 등 이들의 욕망이 공원에 맞닿아 있다. 좋든 싫든 운명공동체처럼 엮여 있다. 하이라인은 공원이라는 사회적 공간에서 여러 주체들이 상호작용하면서 만족할 만한 지점을 찾아가고, 부산물이 지역 사회에 재투자된다. 이러한 흐름을 경의선숲길에서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인다.” 경의선숲길지기는 경의선숲길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으로 서울시 푸른도시국 공원조성과를 주무관청으로 등록한 비영리 민간단체다. 지난 2월 단체 등록을 마쳤으나 그 시작은 그보다 앞선 지난해 4월부터 동아리 형태로 활동을 이어왔다. 황 대표는 경의선숲길 사업에 대한 내용과 관련 사례 등을 홍보하는 역할을 해왔다. 그리고 현재까지 경의선숲길 주변에 자생적으로 생겨난 커뮤니티를 공원과 연계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주로 공원과 시민을 연결하는 맥락에서 이루어진 활동이다. 2013년 초, 당시 대학생이던 그는 휴학 중 소비자 캠페인에 참여해 ‘하얀나비 프로젝트’라는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캠페인의 콘셉트는 기업과 소비자의 ‘상생’으로, 우리 사회에 상생의 풍토가 나비효과처럼 확산되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 황주상 대표는 거리나 공원을 다니면서 손바닥만한 종이에 시민들이 원하는 상생의 모습을 그림으로 받았다. 이 그림을 모자이크로 만들어 설치할 장소를 물색하다 공원을 찾았다. 공원은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공 장소이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노출시키기에 최적지라고 판단한 것. 그러다 경의선숲길을 알게 됐다. “2013년 당시 경의선숲길에 대해 소개된 것은 남북의 통일을 염원하고 지역의 화합을 도모한다는 의미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상생을 키워드로 하는 공간이니 시민들에게 받은 그림을 경의선숲길에 설치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 서울시에 제안했다.” 황주상 대표는 캠페인 장소로 공원을 찾았다가, 시민이 공원을 완성해 나간다는 경의선숲길의 비전과 그의 활동이 부합해 푸른도시국 공원조성과와 보다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됐다. 당시 공원과 시민의 연결고리가 부족하던 터라,마포구를 주 무대로 활동한 황 대표가 공원과 시민의 관계를 주선하는 역할을 맡으면서 경의선숲길에서의 활동 영역을 넓혀왔다. 처음 황주상 대표는 경의선숲길에 애정을 가진 한 명의 시민으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다보니 그가 하는 공원 활동이 공원 주변에 있는 단체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경험에 비춰 그는 “앞으로 나 말고도 더 많은 시민이 참여하게 될 텐데, 지속가능한 참여를 위해서는 최소한의 멤버십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경의선 숲길지기를 만들게 된 배경을 밝혔다. 황주상 대표는 캠페인을 펼칠 장소를 찾다 경의선숲길을 알게 됐지만, 이제는 공원 활동이 주가 됐다. 그는 “앞으로 10년, 20년 혹은 그 이후까지 이곳에서 시민으로서의 활동을 계속 이어갈 계획”이라며, “시민들은 생업이 따로 있다 보니 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다. 관에서 민간의 속도에 맞춰 조금만 기다려주길 바란다”고 부탁의 말을 전했다.
- 박람회 끝나도 정원은 남는다
- 이원영 서울시 푸른도시국 조경과 과장 “정원박람회를 통해 월드컵공원을 활성화시킬 계획이다. 국내 정원박람회뿐만 아니라 역사가 오래된 해외의 정원박람회도 전시 후 정원을 철거한다. 일시적인 정원에서는 다양한 꽃을 재료로 써볼 수 있지만, 존치한다고 하니 어떻게 그림을 그려야 할지 모르겠다는 작가들도 있었다. 정원은 소재도 살아있는 생명이다. 정원이 계속 살아 숨 쉬면서 활기를 더한다면 공원이 시민들에게 사랑받는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원영 서울시 푸른도시국 조경과장은 오는 10월 개최되는 제1회 서울정원박람회에 대해 “정원 조성을 통해 노후공간을 개선하는 ‘재생’을 콘셉트로 잡았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박람회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정원을 존치한다는 것이다. 서울정원박람회의 첫 대상지는 월드컵공원의 하나인 평화의공원이다. 2002년 완공된 월드컵공원을 점차적으로 개선하기 위함인데,쓰레기 매립지를 공원으로 만든 재생 공간을 대상지로 잡은 것도 의미가 있다. 이곳은 서부공원녹지사업소가 위치한 곳으로 비교적 관리가 잘 돼 왔다. 하지만 이원영 과장은 몇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고 했다. 나무가 성장하면서 그 하부에 시야가 넓어졌는데, 중하층 식재가 부족해 시민들이 가까이서 보고 즐길 수 있는 아기자기한 요소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에 정원 조성을 통해 중하층 식재를 보완하고 볼거리를 마련하는 것이 이번 박람회의 목표다. 서울시 조경과에서는 박람회의 방향성을 잡기 위해 서울시가 가진 여건을 고려한 두 가지 관점을 고민했다. 하나는 관에서 주도하는 박람회인 만큼 민간과 차별화를 두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서울형 정원박람회를 만들어보자는 것이다. 이에 민간에서 주도하는 박람회와 차별화하는 방안으로 박람회를 통한 수익 사업을 추진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부스 설치의 경우 박람회를 위해 제작한 박스형 천막을 구매해 비치하면 별도의 장소 사용료는 받지 않는다. 천막은 조경시설물 업체에서 제작해 판매하며 서울시는 중개만 하는 셈이다. 기업전을 신청하면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지만 이 비용은 전기 사용과 경비 고용 등 온전히 박람회 운영에 투입된다.또한 박람회 기간에는 조경, 정원 관련 세미나 및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 시 에너지드림센터 내에 160석 규모의 공간을 무료로 대관해 준다. 정원을 존치하기 위해서는 관리 방안을 빼놓을 수 없다. 이를 위해 조경과에서는 시민조경아카데미와 시민정원사 과정을 통해 트레이닝 된 시민들을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 개최된 코리아가든쇼 관리와 운영에도 조경과에서 마련한 교육 프로그램의 수료생들이 참여한 바 있다.이원영 과장은 “서부공원녹지사업소에만 관리를 맡기면 집약적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며 “정원 부분은 예산을 확보해서 시민들을 관리에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원영 과장은 현재 서울정원박람회 개최 준비를 진두지휘하고 있다. 이에 대해“직원들이 출근할 때 ‘하루를 어떻게 때우나’ 하는 생각이 들지 않고, 즐거운 마음으로 올 수 있도록 만드는 게 내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시민들에게 여가와 휴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정원박람회인데, 이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즐겁지 못하다면 성공을 거두기 어렵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이에 박람회 준비를 함께하는 추진위원단과 정원 조성 작가 그리고 관계자들이 즐겁게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원활한 소통의 창구가 되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 “출근길이 가벼우면 즐겁게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지금 하는 일이 정원을 만드는 것인데, 직원들이 가벼운 발걸음으로 출근해 업무에 매진한다면 정원박람회가 좋은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조경과에서는 올해 박람회 대상지인 평화의공원을 비롯해 노을공원,하늘공원까지 월드컵공원 전체로 정원 조성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이원영 과장은 정원박람회를 통해 서울의 노후화된 공간을 재생한다는 비전을 갖고 있다. “당분간 조경과는 정원박람회 업무에 전념할 계획이다. 기업들의 박람회 참여가 많아지면 더욱 힘을 받을 것이다. 기업들의 참여가 절실하다. 많은 성원과 관심을 부탁드린다.”
- 불타는 주택분양시장, 조경시장 ‘한시적 활황’ 온다
- 한태호 건설사조경협의회 회장, 대림산업 부장 올해 분양시장이 어마어마하다. 주택공급물량이 분양실적을 조사한 2000년 이후 최대치인 약 45만9천 가구에 이를 전망이다. 이미 올해 초 건설사들은 역대급 주택공급물량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애초 계획보다 더 많은 물량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건설사들이 이렇게 분양전쟁에 나서는 이유는 간단하다. 분양이 잘 되기 때문이다. 주택분양시장이 활황을 보이면서 내년도 조경시장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태호 건설사조경협의회 회장을 만나 분양시장 현황과 조경시장 전망에 대해 들어봤다. 한태호 회장은 올해 분양시장이 호황을 이루는 몇 가지 이유를 꼽았다. 우선 금융위기 이후 눌려있던 수요가 폭발했기 때문이다. 7~8년간 신규 공급 물량 자체가 없다보니 전세값 상승이 매매가를 육박하게 된 것이다. 또 하나의 요인은 정책적 효과다. 정부가 각종 규제를 풀고 저금리로 대출을 완화하면서‘돈 빌려서 집을 사라’는 정책을 폈기 때문이다. 주택분양시장 호황을 이뤘던 2000년대 중반과 올해의 차이점이 있는가. 2000년대 중반 호황기에는 부동산을 재테크 수단으로 삼았다. 투기수요를 기반으로 매매가가 크게 올랐다. 하지만 이번에는 실수요가 분양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전세가가 너무 올라서 이번 시기를 놓치면 안된다는 생각에 분양시장에 사람들이 몰리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올초에 비하면 투자수요도 어느 정도 존재한다는 생각이 든다. 분양가도 이미 많이 올라 있다. 강남에는 평당 4000만 원 넘는 아파트가 많아졌다. 올해 들어 미분양 물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지난 5월부터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물량 조절이 필요한 상황이 아닌가. 워낙 분양 물량이 많아서 수치상 미분양이 많아졌을지 몰라도 아직 비율상 크지는 않다. 하지만 건설사들도 이때다 싶어서 대거 분양에 나서고 있지만,브레이크가 언제 걸릴지는 알 수 없다. 장기적인 호황은 아니라는 데 공감하고 있다. 특히 양주, 위례, 동탄 등의 신도시들은 지금까지는 분양이 잘 되고 있지만 위험요소가 있으므로 주시해야 한다. 게다가 정부도 주택담보대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분양시장에 분명 영향을 미칠 것이다. 최근의 주택시장 활황이 조경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까. IMF 금융위기 당시를 보면 조경시장이 주택시장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는 편이다. 근 10년간 침체됐던 주택시장이 활황을 맞으면서 조경시장에도 그만큼 훈풍이 불 것으로 본다. 스톱됐던 재개발 재건축 사업이 재개돼 이미 조경설계 물량이 많아지고 있다. 그간 조경협력업체들이 많이 힘들었다. 건설회사도 살아남기 위해 빠듯한 단가를 적용해 왔으며, 그럼에도 조경시공업체는 경쟁 수주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공사 중 적자가 나고 부도가 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하지만 내년 중반부터는 조경공사 발주물량이 많아질 것이다. 주택분양가가 비싼 단지들이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조경공사 단가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시적 호황’이라는 전망에 건설사들도 정식 인력을 충원할 계획은 없는 듯하다. 조경업체들이 대비해야 할 점은 무엇이 있을까. 조경회사들도 이번 기회에 잘 벌어들이고, 그 이후에 무엇을 할 것인지 생각해야한다. 조경업도 디벨로퍼가 돼야 하지 않을까. 건설사들은 긴 불황을 지나오면서 누구나가 다 디벨로퍼가 돼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전에는 시공만하는 게 건설사였다. 하지만 지금은 사업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자금 확보에 투자자를 끌어오고 토지를 구입해서 시공하고 운영하고 관리하는 등 전 과정을 아우르는 디벨로퍼가 되지 않으면 생존하기 힘들다고 생각하고 있다.예전에 건설사들이 임대사업에 뛰어들 거라고 누가 생각했겠는가. 한태호 회장은 현재 대형 건설사들이 수주해 놓은 사업들이 많아서 민간조경시장의 호황은 2018년까지는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론 건설사들의 신규 수주가 계속 이어진다면 좀 더 길어질 수는 있을 것이다. 다만 IMF 때는 언제 위기가 올지몰랐지만, 이번에는 어느 정도 예측가능한 활황이므로 다가올 위기에 충분히 대처할 것을 당부했다.
- [기자수첩] 에코스케이프는 잡지죠!
- “에코스케이프ecoscape 박광윤 팀장입니다.” “어디요” “에코스케이프입니다.” “그게 무슨 회사죠” “환경과조경입니다.” “아, 박기자!” ‘네, 김요섭 대표님. 사무실로 찾아 뵙고 기업탐방 진행했던 에코스케이프 박광윤 팀장입니다.’ “에코스케이프 박광윤 팀장입니다.” “아 네. 무슨 일이시죠” “원고 주시기로 한 날이 다가와서 전화 한번 드렸습니다.” “뭘 준다고요? 어디라고 하셨죠” “에코스케이프입니다.” “법면 녹화 회사인가요” “환경과조경입니다” “아, 네.” ‘김우식 과장님, 몇 주 전 현대건설 접견실에서 한 시간이 넘게 이야기를 나눴던 에코스케이프 박 팀장입니다.’ “에코스케이프는 인위적인 에코 경관을 다루는 잡지인가요? 잡지 이름이 그런 느낌이네요.” “영어 잘하는 양다빈 기자, 에코스케이프에 인위적이라는 의미가 들어가 있는 거예요? 누가 그러더라고.” “글쎄요” “에콜로지ecology + 스케이프scape인가 아니면 에콜로지컬ecological 스케이프인가” “남기준 편집장님, 에코스케이프는 정확히 어떤 의미예요” “에코스케이프는 조경생태시공을 영문으로 바꾼 거지. 책등에 써 있잖아요. 환경·복원·조경·시공이라고.” “안상배 차장, 환경과조경에 에코스케이프 광고 좀 넣자. 이름을 잘 몰라.” “그럴까? 그러지 머.” “이형주 기자, 업체 방문하거든 환경과조경이라고 말하지 말고 에코스케이프 기자라고 말하고 다녀요.” “네엡!” 정기구독해야겠다는 박경복 가든프로젝트 대표님, 김연금 조경작업소 울 소장님 감사합니다. 그리고 “우리 현장도 한 권 봐야겠다”며 말만으로도 고마웠던 현대건설 박현 과장님도 힘이 됐네요. 서울시 푸른도시국 조경과에서도 신규구독하시겠다는 말 이형주 기자에게 전해들었습니다. 혹시 정기구독 새로 하실 분 살짝 문자 남기시면 이름 넣어 드릴까요. 근 4년만에 환경과조경에 복귀했습니다. 에코스케이프를 맡게됐구요. 그간 잡지 창간도 해봤고, 자재 신문에서 데일리까지 기자라는 이름만 같았을 뿐 경험은 다이내믹했네요. 그래도 역시 사회 첫 발을 내딛었던 고향같은 회사라 마음이 푸근합니다. 하지만 이전의 10년과는 달라야 된다는 책임감도 앞섭니다. 복귀 후 첫 달, 변경된 제호에 아직 생소해하는 조경인들을 많이 봤습니다. 홍보 수단이 참 많은 시대지만, 언론이 독자들에게 다가가는 건 기자의 발만큼 확실한 건 없다는 생각입니다. 『에코스케이프』는 조경인들에게 아주 만만한 잡지가 돼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가까운 조경 이야기, 주변 조경인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아내야죠. 그러기 위해 더 많은 현장을 찾고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호부터 기자수첩 코너에는 현장과 이슈를 바라보는 기자들의 시선opinion이 담깁니다. 한정된 리포터 역할을 보완할 수 있는 좋은 지면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 보겠습니다.
- 멜리오 스카이웨이
- 멜리오 스카이웨이는 근거리 이동과 투어용으로 이용 가능한 친환경 모노레일 바이크다. 장소와 지형의 제약 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벌목을 하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제품이다. 주행 중 비행하는 느낌을 선사해 주는데, 수로를 가로지르는 멜리오 스카이웨이는또 다른 스릴과 흥미를 불어넣어 줄 것이다. 레일과 바이크의 마찰을 최소화해 손쉬운 운영이 가능하며, 트랙에서 이탈하거나 충돌사고의 위험이 전혀 없고 완충장치로 라이더에게 충격을 최소화해 안전하다. 트랙을 설치하는 데 필요한 최소 길이는 경주용 400m, 경관용 1km다. 최소설치반경은 4m이며, 복식레일 운영이 가능하다. 레일 높이는 최소 3m이며 지면에 따라 최대 10m까지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멜리오 스카이웨이는 인력에 의한 페달 형식으로 작동해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며, 평균속도는 13~15km/h, 최고속도는 50km/h까지 낼 수 있다. 멜리오 스카이웨이는 롤러블레이드Roller Blade사의 창업자이자 가장 성공적인 양산형 인라인스케이트를 개발한 스코트 올슨Scott Olson이 대표로 있는 미국 스카이 라이드 테크놀로지Skyride Technology사와 협약을 맺어 멜리오 유니온랜드의 기술과 생산 인프라로 기구와 트랙을 생산·설치한다. 제품용도 레저: 스키장에 추가적 수익 놀이시설로 롤러코스터 형식의 스카이 코스터를 적용(동·하계 모두 운영 가능)할 수 있다. 1인승과 2인승이 있어 탄력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며 리조트 내 상업시설, 편의시설, 객실, 카페테리아, 워터파크, 스키장 등의 특정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근거리 이동시설물로 이용 가능하다. 투어: 경관이 아름다운 곳의 경관투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지형이 위험하고 복잡하거나 훼손이 우려되어 도로를 내기 어려운 곳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다. 적은 시간 안에 더 많은 곳을 둘러 볼 수 있게 해주는 최고의 투어링 수단이 될 수 있다. 교통수단: 인력으로 구동하는 무공해 친환경 교통수단도 될 수 있다. 레일 변경 시스템으로 추월이 가능하며, 자연경관을 훼손할 우려가 있거나 복잡한 지형지물이 많아 도로를 내기 어려운 곳에 적합하다. 운동시설: 일반 자전거와 같이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이 가능하다. 복수의 레일을 통해 기록경기 또는 레이싱을 진행할 수 있어 운동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정거장 정거장은 탑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것과 비상정거장의 2종류가 있다. 정거장은 탑승객의 안전을 고려해 설계됐으며, 운영실을 두어 각 캡슐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안내방송 등을 할 수 있게 했다. 비상정거장은 비상시에 탑승객의 하차를 위해 트랙의 중간지점에 설치한다. 캡슐 캡슐은 친환경 소재인 LLDPE를 사용하고 회전성형공법으로 생산해 내구성이 뛰어나며 질감이 좋다.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장기간 옥외사용으로 인한 변색이 없으며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1인승과 2인승 두 종류가 있다. 1인승은 경주용 및 운동용에 주로 이용할 수 있으며, 2인승은 가족 및 연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경관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품 문의: 02-423-8666, http://unionland.co.kr
- 이탈리안 레진 퍼니처
- 스타일과 용도 Washable with common detergents, shock resistant, resistant to frost and sun, anti-UV stabilised colour. LED 데코 퍼니처 레진 퍼니처는 이탈리아 스타일의 디자인으로 제작된 야외 가구다. 실용성을 겸비한 다양한 기능의 제품군을 이루고 있으며, 현대적이고 우아한 디자인으로 제작됐다. 고품질의 합성수지를 최첨단 기술로 가공해 생산돼 다채롭고 실용적인 성능을 자랑한다. 제품군은 LED Cube, Ball, Tower, Table, Chair, Floor Stand, Table Stand, Pebble, Pyramid, Fluet, Flower, Andromeda, Brazil, Jamaica, New York 등으로 LED 조명 시스템 레진 퍼니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LED모듈의 관리 시스템과 우아하고 화려한 색상으로 PC와 LED를 활용해 조명시스템의 안정을 보장한다. 각각의 모듈에는 효율이 높은 LED 조명이 장착돼 있어서 조명 면적이나 조도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LED 조명이 다양한 색상을 제공하며 예술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LED 조명의 형태와 기능이 잘 결합돼 있다. 충전기를 이용해 전기 연결 없이 8시간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있고, 전기 사용 없이 태양광을 이용해 사용할 수 있는 제품도 있다. 방수 효과가 있고 견고하며 자외선에 강하다. 변색에 대한 걱정이 없으며, 내·외부 어디든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다기능 원격 조종으로 다양한 색상 조절이 가능하며, 어떤 환경에서든 원하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제품 문의: 02-515-7375, http://artmax.kr
- [해외정보] 트리 처치
- 당신에게 마당이 주어진다면 무엇을 하겠는가. 보통의 사람들이라면 정원을 가꾸거나 작은 텃밭을 조성한다는 답을 가장 쉽게 내놓지 않을까. 관리가 어렵다며 그냥 자동차 주차장으로 쓰려는 사람도 없지는 않을 것이다. 요즘 같이 더운 여름날에 아이들이 있는 부모라면 간이 수영장을 만들어주려 할 수도 있고, 조금 여유가 있는 사람이라면 개인 정원을 조성하려고 전문가에게 문의 전화를 걸 수도 있겠다. 올해 초 뉴질랜드 오하우포Ohaupo에도 이런 개인의 관심과 호기심, 또는 필요에 따라 조성된 특별한 마당이 있다. 어린 시절 교황이 되고 싶어 했다던 뉴질랜드의 정원사 베리 콕스Barry Cox는 자신의 마당에 토마토와 상추가 아닌 교회를 심고 길러냈다. 살아 숨 쉬는 교회를 건축하다 살아있는 교회, 트리 처치Tree Church는 식재 전문 업체 트리로케이션스TreeLocations의 대표이기도 한 정원사 콕스가 수년에 걸쳐 직접 길러낸 나무와 다양한 식물을 이용해 만들어 낸 개인 제단altar이다. 트리처치 본관의 전면에는 기원전 460년에 존재했던 고대 제리코 시티City of Jericho에 기초한 350m의 미로 길과 연못이 있으며, 그 주변은 다수의 정원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탈리아계 혈통을 갖고 태어난 콕스는 가족의 영향으로 인해 어려서부터 교회 건축과 주변 자연 환경, 세례식을 비롯한 장엄한 의식에 관심이 많았다. 그의 그런 관심은 뉴질랜드를 넘어 유럽과 미대륙을 여행하며 다양한 교회를 답사하고 교회를 구성하는 건축물의 면적과 볼륨, 그 비율과 배치 각도, 건축물의 높이, 교회 첨탑의 조각, 벽과 포르티코portico(대형 건물입구에 기둥을 받쳐 만든 현관 지붕) 등을 연구하게 만들었다. 2011년 3월에 이르러 콕스는 그렇게 알아낸 사실을 자신이 가장 애착을 가지고 있는 나무라는 소재로 표현해내고자 90헥타르의 땅에 4,000주 이상의 나무를 심어 길렀고, 4년이 채 되지 않는 기간에 트리 처치를 완성해 냈다. 자료제공 Tree Church
-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 역시 기술이 갑이다. 자연환경복원업을 두고 그간 말도 많았지만 꾸준히 기술 개발과 연구에 매진해이 분야 최선두 기업으로 우뚝 선 넥서스환경디자인! 이 회사 조동길 원장을 찾아 조경의 갈 길을 모색해 봤다. 격변의 사회 속에서 항상 같은 일만 하면서 다른 미래를 바라는 것은 욕심일 것이다. 조경의 위기가 그 어느 때보다 현실감 있게 다가오고 있는 요즘, 무엇보다 최고의 위기는 조경가들이 당장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른다는 데에 있다. 이에 어려운 시기에도 그 누구보다 조경다움을 무기로 신시장을 개척해 가고 있는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이하 넥서스)을 찾았다. 넥서스는 올해 60억 원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이는 역대 최고인 연매출 40억 원의 기록을 갱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조경시장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회사가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는 뜻이다. 조동길 대표가 2006년에 회사를 처음 창립했을 때만해도 이런 사업적 성공을 예상하지는 못했다. 다만 그는 대학원에서 배우던 것의 연장선에서 회사를 만들었을 뿐이고, 지인으로부터 간간히 용역을 받아가며 연명하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넥서스는 5년 단위로 큰 폭의 발전을 이루게 된다. 2011년에는 자연환경보전사업 대행자 자격을 확보하면서 10억 원대였던 매출이 20~30억 원대로 두 배 이상 뛰어 올랐다. 환경복원 기술을 꾸준히 연구해 온 것도 회사의 성장을 견인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환경부가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규모를 키워오는 것과 맞물려,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대표적인 수혜 기업이 됐다. 뛰어들어 보라구~ 환경복원! 조동길 원장이 처음 생태복원에 관심을 가진 것은, 대학시절 『환경과조경』 잡지에 소개된 일산호수공원 내 자연학습원을 접하게 된 것이 계기가 됐다. 당시 조경에서 생태를 어떻게 다루는지 매우 흥미롭게 다가왔고, 이를 더 배우고 싶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으로 진학했다. 이후 서울대 환경생태계획연구실에서 ‘생태’를 10년이나 공부했으며, 생태복원 및 환경계획을 주제로 박사학위까지 받았다. 그는 무엇보다 대학원을 다니면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식물, 양서·파충류, 조류 등 관련 전문가들을 접할 수 있었던 것이 가장 큰 재산이 됐다고 말한다. “사실 학교에서 배우는 이론적인 것들은 책을 보면 됩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 나가서 그 분들이 필드웍 하면서 알려주시는 것들은 쉽게 접할 수 없는 소중한경험들이거든요. 이런 경험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정보로 쌓였습니다.” 그는 졸업 후에도 줄곧 ‘생태복원’의 한 길을 걸었고, 결코 노력과 시간은 그를 배신하지 않았다. ‘생태복원’이 중요한 시대적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사업적으로도 안정되기 시작했고, 더욱 긍정적인 전망을 내다볼 수 있게 된 것이다.
- [전통정원] 일본의 명원17
- 만슈인 정원 만슈인曼殊院은 천태종天台宗의 문적사원門跡寺院1이다. 이 절은 전교대사傳敎大師 사이초오最澄(767~822)가 히에이잔比叡山에 지은 초당에 기원을 두는데, 그때는 헤이안平安 시대 초기에 해당한다. 그 후 947년에는 당시 주지였던 제산是算이 원래의 초당 근처로 자리를 옮겨 동미방東尾坊이라 이름을 붙였고, 헤이안 시대 후기인 1108년경에 사찰이 재흥되면서 만슈인으로 이름을 바꿨다. 시간이 흐르면서 절이 점차 융성해지자 절은 교토고쇼京都御所 근방으로 이전됐으며, 1469년부터 문적사원이 됐는데, 메이레키明曆 2년(1656)에는 29대 주지 료쇼 호신노良尙 法親王(1622~1693)가지금의 자리로 이건해 오늘날까지 법등을 이어오고 있다. 호신노 료쇼는 가쓰라리큐桂離宮를 조영했던 도시히토 신노智仁親王(1579~1629)의 둘째 아들로, 문예, 화도華道(이케바나)2, 다도 등에 밝은 최고의 문화인이었다. 만슈인의 정원은 료쇼가 진행했던 절의 이건과 더불어 작정된 것으로 보이는데(小野健吉, 2004), 작정이 누구에 의해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료쇼와 인연이 있었던 사람으로 보는 것이 옳겠다. 정원은 대서원大書院과 소서원小書院의 남쪽 마당에 만들어졌으며, 가레산스이枯山水 양식을 보인다. 이 정원은 마당 뒤편 담장 쪽으로 후퇴시켜 조성한 3개의 낮게 연결된 축산과 소서원 전면부에 조성한 또 하나의 축산 그리고 축산과 축산 사이에 깔아놓은 흰 모래밭으로 구성돼 깔끔한 작법을 보인다. 후면부에 조성한 축산 중 중앙의 축산은 출도出島 형식을 보이며, 축산의 호안부가 이루는 굴곡이 마치 리아스식 해안선을 연상케 할 정도로 사실적이다. 이 정원은 배치 형식으로 볼 때 소서원 쪽으로 치우친 구성을 보이는데, 이를 미루어 보면 정원의 감상이 주로 소서원 쪽에서 이루어지도록 의도됐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오노 겐키치는 소서원 쪽에서 감상하려는 의도가 있음을 소서원 툇마루 난간縁の欄干의 디자인으로 입증코자 했는데(小野健吉, 2004)3, 실제로 소서원 툇마루에 앉으면 마치 배에 앉아 푸른바다의 잔잔한 물결과 그 바다에 떠 있는 섬들을 보는 것과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된다. 정원의 구성을 보면, 좌측(동측) 축산과 중앙의 축산 사이에 청석으로 된 석교를 높이 걸어두어 마치 협곡을 지나는 기분을 느끼도록 했다. 다리를 받치는 기둥 가운데 하나는 입석을 사용했는데, 이는 봉래석으로 신선이 사는 곳임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높은 다리 밑에는 흰모래를 방향성을 가지고 깔아 놓아 강물이 세차게 흘러내리는 것을 표현하고 있으며, 축산의 전면부에는 흰 모래밭을 조성해 강물이 흘러드는 드넓은 바다를 상징하고 있다. 중앙의 축산과 오른쪽의 축산 사이에는 좌측의 것과 다르게 청석으로 만든 다리를 낮게 걸어 두었는데, 이 다리 밑의 흰모래 역시 내를 상징한다. 오른쪽 축산은 학도를 상징하는 것으로 소서원 전면의 구도와 더불어 이 정원이 신선이 사는 곳임을 알려준다. 왼쪽 축산에는 3층 석탑을 오른쪽 축산에는 오리베등롱織部灯籠을 세워 놓아 상호 대응하도록 했다. 한편 소서원의 툇마루 끝縁先에 놓인 ‘올빼미 쵸즈바치梟の手水鉢’는 쵸즈바치 사면에 올빼미를 새겨 놓은 명품이다. 홍광표는 동국대학교 조경학과,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경기도 문화재위원,경상북도 문화재위원을 지냈으며,사찰 조경에 심취하여 다양한 연구와 설계를 진행해 왔다.현재는 한국전통 정원의 해외 조성에 뜻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저서로『한국의 전통조경』,『한국의 전통수경관』,『정원답사수첩』등을 펴냈고, “한국 사찰에 현현된 극락정토”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또 한국조경학회 부회장 및 편집위원장,한국전통조경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 [도시농업과 정원 활성화 연구] 환경과 실내정원
- 식물에 의한 환경 정화 연구는 오염 물질을 정화하는 ‘깨끗하게’와 식물로 공간을 꾸미는 ‘아름답게’가 있다. 공기 정화 식물을 활용한 다양한 정원을 만드는 것으로 깨끗하고 아름답게 꾸미는 게 가능하다. 정원과 텃밭을 갖기 원하는 도시민에게 실내정원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나 필요할 때 식물을 기르고 가꿀 수 있는 곳이다. 진정한 정원의붐은 모든 도시민이 관련되어 있는 실내정원에서 시작하지 않겠는가? 실내정원은 공간에 따라 분류한 용어이며 광의로 해석하면 건물의 안쪽뿐만 아니라 바깥쪽 외벽에 붙어있는 전체를 포함하는 그린인프라가 잘 갖춰진 건축물(그린인프라 빌딩) 즉 ‘인테리어 랜드스케이프interior landscape’를 말한다. 농촌진흥청 도시농업과 환경개선연구실에서는 건축물에 대한 인테리어 랜드스케이프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정원의 종류는 다양한 관점에서 분류할 수 있다.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 개인정원 또는 공공정원으로 나눌 수 있으며 목적, 공간, 소재, 규모, 행위, 비용, 관리에 따라서 구분할 수가 있다. 벽면정원: 바이오 월Bio wall ‘바이오 월’은 공기 정화 식물과 공기청정기를 결합한 ‘식물-공기청정기’로 실내 벽면에 설치가 가능한 벽면녹화 시스템이다. 공기를 순환해 뿌리 부분의 미생물을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 벽면녹화에 비해 공기 정화 효과를 높인 시스템이다. 바이오 월의 주요 특징은 첫째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등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을 55%에서 85%까지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식물의 잎과 뿌리로 순환하도록 했기 때문에, 기존 벽면녹화가 식물 주변만을 정화하는 데 비해 넓은 공간의 정화가 가능하다. 실제 바이오 월에 식재된 식물 1m2로 실내 공간 15m2의 정화가 가능하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는 2010년 도시농업 연구팀으로 시작하여 2015년 5월 도시농업과로 정식 직제화 되었다. 도시농업과에서는 농업 기술을 활용하여 일반 도시민들이 식물을 통해서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 [식물 디자인의 발견] 디자인 개념으로 식물 이해하기(2)
- 식물의 크기 이해하기 식물의 크기는 수직의 높이와 수평의 퍼짐으로 결정된다. 식물 디자인에 있어서 식물의 크기는 크게 두가지 관점에서 측정돼야 한다. ① 식물 자체의 높이와 퍼짐의 측정 ② 이웃해 있는 식물과의 관계에 의한 측정 식물 자체의 크기는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정원은 여러 식물들이 함께 하고 있는 곳으로 자연 상태에서는 중간 크기 정도의 식물이지만 작은 관목 식물과 함께 있을 경우에는 큰 식물로 보인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정원에서는 식물 자체의 크기보다는 이웃해 있는 식물과의 관계 혹은 건물의 크기 등에 의한 비교 크기가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원에서의 식물 크기는 자연에서 자라는 식물의 크기와는 사뭇 다르다. 숲 속이나 산에서 목격하는 나무의 경우 자연 상태에서 10m를 훌쩍 넘기지만 정원에서는 이런 크기의 식물을 거의 쓰지 않기 때문에 식물의 크기가 매우 작아진다. 정원에서 활용되는 식물 크기(높이를 중심으로 봤을 때)는 크게 3가지 그룹으로 나눠볼 수 있다. ① 큰 나무 그룹(교목과 관목 포함): 2~5m 사이 ② 중간 나무 그룹(관목): 0.7~2m 사이 ③ 작은 식물 그룹(초본): 0.1~0.7m 사이 식물의 모양에 따른 크기의 차이 식물을 단순히 높이로만 분류할 수 없는 이유는 식물이 입체이기 때문이다. 즉 옆으로 얼마나 퍼져 있느냐가 중요한 크기의 판단 기준이 된다. 일반적으로 길쭉하게 위로 크는 기둥 형태의 식물, 피라미드 형태, 위로 솟는 형태의 식물은 수평으로의 퍼짐이 적은 편이다. 반면 아치처럼 굽는 형태, 둥글게 끝이 모아지는 형태 등은 수직으로 뻗는 키는 없어도 수평으로 퍼짐이 매우 크다. 이 두 경우 높이와 퍼짐을 고려해 키가 작아도 퍼짐이 크다면 큰 나무 군으로 묶어야 하고, 수평으로 퍼짐이 좁더라도 키가 크다면 역시 큰 나무 군에 포함시켜야 한다. 식물, 크기가 미치는 디자인적 특성 식물의 크기는 공간의 느낌을 확연하게 바꾼다. 같은 크기의 공간을 연출하더라도 어떤 크기의 식물을, 어떻게 연출했느냐에 따라 공간의 느낌뿐만 아니라 때로는 큰 공간을 작게, 작은 공간을 크게 만드는 등의 착시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려면 식물의 크기가 정원에서 어떻게 디자인적으로 적용되는지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큰 나무는 공간을 더 커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공원에 심어진 큰 나무를 생각해보자. 큰 나무가 오히려 공원이라는 공간을 더 크게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큰 나무를 심으면 공간을 작아보이게 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오히려 반대의 효과가 나타난다. 큰 나무 군에 속하는 식물은 정원에서 마치 구조물과 같은 핵심 포인트 역할을 해준다. 때문에 작은 정원에 지나치게 많은 큰 나무 군의 식물을 심는 것은 전체적으로 정원을 무겁게 만드는 효과가 나타난다. 식물의 크기에 따라 기능과 디자인 효과가 달라진다. 예를 들면 그늘을 드리워야 한다면 잎이 무성하게 많은 큰 나무 군에서 식물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시선을 막는 담장 효과를 원한다면 잎이 촘촘히 달리는 중간 크기의 관목을 이용해 조절을 하고, 크고 비어있는 공간을 연출하고 싶다면 잔디 혹은 수평으로 퍼지는 작은 식물군을 이용해 너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인체 비례에 의한 식물 분류의 중요성 정원은 식물이 스스로 자라고 있는 숲과는 매우 다르다. 집이라는 사람이 사는 공간 속에 놓여 있기 때문에 건물과의 관계, 사람이 그 안을 걷고, 앉는 공간으로서 재해석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식물 자체가 지니고 있는 절대 크기가 아니라 이웃해 있는 것들과의 상호관계에 의한 ‘비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건물의 경우에도 단독주택의 규모인지, 혹은 대형 건물인지에 따라서 식물 크기의 비례는 다르다. 큰 나무를 골랐다 할지라도 건물의 높이가 커진다면 중간 크기로 변화가 될 것이라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작업은 정원과 그곳을 이용할 사람의 비례 감각이다. 디자인을 하다 보면 평면 작업 속에만 빠질 때가 많다. 이때 입체를 간혹 잊게 되는데 아무리 현란한 평면 작업이 이뤄졌다고 하더라도 이것의 높낮이가 그곳에 서서 혹은 앉아서 느끼게 될 사람의 비례를 고려하지 않았다면 기능적으로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디자인적으로도 매력을 갖기 어렵게 된다. 평면도 작업은 공중으로 1m 이상을 떠서 직각으로 내려다보는 가상의 현실임을 잊지 말고 식물이 우리에게 주는 높이와 퍼짐의 입체를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오경아는 방송 작가 출신으로 현재는 가든 디자이너로 활동 중이다. 영국 에식스 대학교(The University of Essex) 위틀 칼리지(Writtle college)에서 조경학 석사를 마쳤고, 박사 과정 중에 있다. 『가든 디자인의 발견』, 『정원의 발견』, 『낯선 정원에서 엄마를 만나다』 외 다수의 저서가 있고, 현재 신문, 잡지 등의 매체에 정원을 인문학적으로 바라보는 칼럼을 집필 중이다.
- [식재기법] 수생식물원 조성 기법(6)
- 관리의 필요성 수생식물원 관리의 핵심은 수질 유지다. 더운 여름철 수온이 올라가면 대량으로 녹조류가 발생하는 연못을 종종 접하게 된다. 최악의 경우 부영양화에 따른 수질 악화로 인해 수중식물, 수서곤충, 어류 등이 연달아 고사해 결국에는 연못을 메워버리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한다. 생태적인 자료에 근거해 만들어진 연못의 경우에도 조성 초기에는 녹조류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조성 당시에는 작은 유묘를 심는 경우가 많아 식물이 제 기능을 발휘할 때까지는 적어도 1~2년의 시간이 요구된다. 그때까지는 인위적인 간섭이 적극적으로 필요하며 여름철 수온이 올라가 녹조류가 발생할 경우는 정기적으로 걷어내 주는 작업이 뒤따라야 한다. 또한 물속으로 자라는 수중식물을 식재하면 초기 수질 관리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간혹 자연형 생태연못이라는 이유로 연못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방치해도 무관한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물론 지속성의 측면을 보면, 생태연못은 당연히 그 자체로 존속할 수 있어야 하나 초기 식물체가 규모감 있게 성장해 식물군락이 연못 내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때까지는 관리가 필요하다. 예상외로 습지에는 왕성하게 자라는 식물이 많고 잡초 발생도 심한 편이라 조성 초기에는 제초, 예초, 적심 등과 같은 일반 관리가 세심하게 요구된다. 특히 정수식물인 갈대, 부들, 흑삼릉 등은 번성하는 속도가 매우 빨라 규모가 작은 연못에는 가급적 심지 않는 것이 좋고, 굳이 심어야 하는 경우에는 화분을 이용해 번성을 막아야 한다. 또한 식물이 번성한 경우에는 제초보다는 예초 작업이 효율적이며 매년 생장이 왕성한 6~7월과 영양분이 뿌리로 내려오는 9월에 예초를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조성 후 2~3년이 지나 식재된 식물이 안정적으로 정착하면 잡초 발생률은 현저히 떨어지고 관리 또한 수월해진다. 제초(잡초 뽑기) 축축한 땅이나 얕은 물가에는 쇠뜨기, 달뿌리풀, 골풀 등의 논잡초 혹은 습지 잡초가 발생한다. 이들은 성장 속도가 빠르고 제초를 하더라도 근경의 일부가 땅속에 남아 있는 경우 다시 쉽게 퍼지는 특징이 있다. 잡초가 발생했을 때 제거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그 이전에 잡초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용토를 객토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 김봉찬은 1965년 태어나, 제주대학교에서 식물생태학을 전공하였다. 제주여미지식물원 식물 과장을 거쳐 평강식물원 연구소장으로 일하면서 식물원 기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그리고 2007년 조경 업체인 주식회사 더가든을 설립하였다. 생태학을 바탕으로 한 암석원과 고층습원 조성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 한국식물원수목원협회 이사, 제주도 문화재 전문위원, 제주여미지식물원 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조성 사례는 평강식물원 암석원 및 습지원(2003), 제주도 비오토피아 생태공원(2006), 상남수목원 암석원(2009), 국립수목원 희귀·특산식물원(2010),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암석원(2012) 및 고층습원(2014) 등이 있다.
- [그린인프라·저영향개발] 그린인프라 확산을 위한 인센티브(2)
- 협의의 빗물관리 그린인프라의 확산을 위한 방법과 인센티브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경제적 여건과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실제 적용하는 방식과 형태는 달라진다. 빗물정원 사업캔자스 시는 2005년부터 수질 보전, 도시홍수 저감, 물관리 인프라 노후화 대책의 일환으로 ‘10,000 Rain Gardens’ 사업을 시작했다. 빗물정원 조성을 위한 재원 마련, 기술 보급, 홍보 등을 통해 지역 공동체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했다. 호주의 멜버른 시는 하천 수질 개선 및 물순환을 위해 기존 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빗물관리 방안으로 2008년부터 5년 동안 ‘Melbourne Water’ 10,000 Raingardens Program’을 진행했다. 지역 사회의 참여에 초점을 맞추고, 소형 빗물정원과 빗물관리 시설을 보급했으며, 사업 홍보를 위한 버스 정류장도 조성했다. 빗물요금 경감 미국 로스앤젤레스 시는 유출수 오염저감 요금제The Stormwater Pollution Abatement Charge를 시행하고 있다. 유출수 오염저감 요금제는 로스앤젤레스 시 유출수 관리사업 진행을 위해 로스앤젤레스 시민들에게 부과하는 요금이다. 1년에 약 2천8백만 달러(한화 약 327억 원)의 재원을 확보해 홍수 방지 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에 사용하고 있다. 미국의 포틀랜드 시의 경우, 환경친화적인 도시 물관리에 시민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상수도와 하수도 그리고 빗물 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절수기기(절수형 화장실, 세면기, 샤워기 등)를 사용할 경우, 상수도와 하수도 요금을 경감시켜 준다. 또한 일정 소득 수준 이상의 시민들에게 부과되고 있는 빗물요금도 자신의 대지 경계 내에서 발생한 빗물을 스스로 관리할 경우 경감시켜 주고 있다. 포틀랜드 시의 이러한 빗물관리 정책 ‘청정하천 보전 사업’의 구체적인 진행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권경호는 서울대학교에서 조경학을 배우고, 독일 베를린 공과대학교에서 응용수문학·도시물관리 분야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관심 분야는 저영향개발(LID)과 그린인프라(GI), 저개발국 기초식수공급, 독일 통일 전·후의 도시 인프라 계획 등이다. (재)한국먹는물안전연구원 내의 도시물순환연구센터에서 분산형 빗물관리의 도시홍수 방재,물순환,비점오염 저감 효과 측정 및 수문모델링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 [생태문화·생태복원] 사구 생태계의 훼손과 복원(1)
- 지금까지 도시 내 대체서식지 조성과 관리라는 주제로 대체서식지의 개념과 국내·외 제도, 그리고 실제 대체서식지를 조성·관리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번 원고는 이 주제와 관련한 마지막 원고로서 대체서식지의 조성 단계와 조성 후 유지 관리 단계에서의 고려사항들을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원고에서도 언급했지만 우리나라의 대체서식지는 각종 개발 사업 시 발생하는 멸종위기종 등 중요 종의 서식지 보전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서 조성되고 있다. 달리 이야기하면 법적 제도라는 것이다. 하여 개발 사업을 무난하게 진행시키고자 한다면 개발 예정지에서 멸종위기종의 이주나 이식을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몇 가지 지속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크게 4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생태적 특성에 대한 이해 가장 큰 문제는 이주나 이식을 형식적으로 하거나 거의 대부분은 목표종에 대한 생활사나 생태적 특성 등에 대한 배려가 없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누차 반복되는 이야기지만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대체서식지를 만들거나 생태복원의 목표종이 됐거나 어떠한 경우라도 대상이 되는 생물종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대부분 웹상에서 검색해서 기초적인 특성만 파악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지만, 대상 생물종에 대한 도감, 논문이나 관련 보고서 등을 통해서 종합하는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가급적이면 대상종이 되는 생물의 서식처 요구 조건이나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Habit Suitability Index)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이주·이식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모든 사람이 대상 종에 대한 정확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할 수는 없다. 하지만 최소한의 공개된 정보만이라도 활용해 제대로 된 서식처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파악해야 하는 최소한의 요구 조건들은 서식처 면적 혹은 공간의 크기와 먹이 관계, 물 조건, 그리고 은신처 등이다. 이외에도 생물종의 생활사를 파악하게 되면 최적의 이주·이식 시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더 성공적인 사업을 완수할 수 있게 된다.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행 대체서식지를 조성해 멸종위기종을 이식·이주하고 나면 의무적으로 2년간 모니터링을 시행해 그 결과를 해당유역(지방)환경청에 제출하게 돼 있다. 하지만 이 모니터링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최소한 계절별 1회 조사를 시행해야 하고, 이식·이주가 된 생물종 이외에도 환경 여건 변화 등 제반 조건에 대해서 조사하고 분석해야 한다. 그렇지만 조사 회수를 제대로 시행하지 않거나 다른 환경 변화는 곧잘 무시되곤 한다. 무엇보다도 앞서 언급했던 서식처 요구 조건 즉 먹이 관계나 서식환경 변화, 은신처가 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인지 등에 대한 모니터링은 곧잘 무시되곤 한다. 형식적으로만 시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모니터링이 시행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도 시급한 실정이다. 구본학은1959년 대전 생으로,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계획, 설계, 시공, 관리, 기술 개발 등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였고, 혜천대학을 거쳐 현재는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환경생태, 생태복원 분야에서 설계·시공과 관련된 공학적 이론을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제 규모의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생태문화포럼’을 주관하고 있다. 습지와 생태 문화를 사랑하는 동료들과 함께 해외 중요 생태 문화 자원을 다수 탐방 하였으며,『습지생태학』등의 저서가 있다
- [도시생태복원] 도시 내 대체서식지 조성과 관리(3)
- 지금까지 도시 내 대체서식지 조성과 관리라는 주제로 대체서식지의 개념과 국내·외 제도, 그리고 실제 대체서식지를 조성·관리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번 원고는 이 주제와 관련한 마지막 원고로서 대체서식지의 조성 단계와 조성 후 유지 관리 단계에서의 고려사항들을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원고에서도 언급했지만 우리나라의 대체서식지는 각종 개발 사업 시 발생하는 멸종위기종 등 중요 종의 서식지 보전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서 조성되고 있다. 달리 이야기하면 법적 제도라는 것이다. 하여 개발 사업을 무난하게 진행시키고자 한다면 개발 예정지에서 멸종위기종의 이주나 이식을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몇 가지 지속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크게 4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생태적 특성에 대한 이해 가장 큰 문제는 이주나 이식을 형식적으로 하거나 거의 대부분은 목표종에 대한 생활사나 생태적 특성 등에 대한 배려가 없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누차 반복되는 이야기지만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대체서식지를 만들거나 생태복원의 목표종이 됐거나 어떠한 경우라도 대상이 되는 생물종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대부분 웹상에서 검색해서 기초적인 특성만 파악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지만, 대상 생물종에 대한 도감, 논문이나 관련 보고서 등을 통해서 종합하는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가급적이면 대상종이 되는 생물의 서식처 요구 조건이나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Habit Suitability Index)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이주·이식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모든 사람이 대상 종에 대한 정확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할 수는 없다. 하지만 최소한의 공개된 정보만이라도 활용해 제대로 된 서식처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파악해야 하는 최소한의 요구 조건들은 서식처 면적 혹은 공간의 크기와 먹이 관계, 물 조건, 그리고 은신처 등이다. 이외에도 생물종의 생활사를 파악하게 되면 최적의 이주·이식 시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더 성공적인 사업을 완수할 수 있게 된다.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행 대체서식지를 조성해 멸종위기종을 이식·이주하고 나면 의무적으로 2년간 모니터링을 시행해 그 결과를 해당유역(지방)환경청에 제출하게 돼 있다. 하지만 이 모니터링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최소한 계절별 1회 조사를 시행해야 하고, 이식·이주가 된 생물종 이외에도 환경 여건 변화 등 제반 조건에 대해서 조사하고 분석해야 한다. 그렇지만 조사 회수를 제대로 시행하지 않거나 다른 환경 변화는 곧잘 무시되곤 한다. 무엇보다도 앞서 언급했던 서식처 요구 조건 즉 먹이 관계나 서식환경 변화, 은신처가 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인지 등에 대한 모니터링은 곧잘 무시되곤 한다. 형식적으로만 시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모니터링이 시행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도 시급한 실정이다. 조동길은 1974년생으로, 순천대학교에서 조경을 공부했고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생태복원 및 환경계획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의 대표이사로서 생태복원, 조경, 환경디자인, 경관 등 다분야를 통합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자연마당 조성 등 생태복원 사업과 남생이, 맹꽁이 등의 멸종위기종 복원 관련 R&D 사업을 이끌고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서 생태복원 분야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생태복원 계획 설계론』(2011), 『자연환경 생태복원학 원론』(2004) 등이있다.
- [이미지로 만나는 조경] Shedding House脱皮する家
- 이 글을 읽는 9월에는 날이 좀 시원해지려나요? 덥고 습한 날씨에 다들 힘들게 지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저는 8월 초에 한국경관학회 해외경관답사로 일본 니가타현에서 개최하는 대지의 예술제인 ‘에치고츠마리’에 다녀왔습니다. 일본도 무척이나 덥더군요. 아, 그런데 ‘에치고츠마리’가 뭐냐고요? ‘에치고츠마리’는 니가타현 남단에 위치한 도오카마치시와 츠난마치라는 두 개의 지방자치단체를 묶어 부르는 명칭입니다. 도쿄에서 서북쪽으로 약 200여km 정도에 위치한 지역인데, 우리나라로 치자면 3~4개의 군 단위와 작은 소도시가 합쳐진 정도의 규모입니다. 이곳은 전형적인 일본의 농촌지역으로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의 문제로 지역 붕괴의 위기에처하게 되었습니다. 우리의 농촌과도 크게 다르지 않은 그런 상황이지요. 그런 지역을 다시 활성화시키고자 2000년부터 예술가와 기획가, 지역 주민이 힘을 합하여 3년마다 예술제를 개최해 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행사의 공식 명칭은 ‘에치고츠마리 아트 트리엔날레’입니다. 초기에는 낯선 예술작품들에 지역주민들이 거부감도 있었다고 하는데, 점차 예술제의 성과가 나타나자 주민들도 자원봉사 형태로 아주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5회째였던 2012년에는 50만 명에 가까운 인구가 방문할 정도로 일본의 대표적인 농촌 활성화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았다고 하네요. 올해로 6회째 개최되는데 이전보다 더 많은 방문객이 찾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더군요. 예술작품은 논과 밭, 생활공간, 폐교, 빈 집, 댐, 터널,선로 등 농촌지역의 다양한 공간을 활용해 전시하는데, 단순히 예술가의 작품을 전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역주민들과 함께 작품을 제작, 전시, 관리하여 지역 주민들의 자긍심을 높이는 데도 기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농촌지역에서도 한 번쯤은 시도해 볼 만한 방식이 아닌가 합니다. 주신하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거쳐, 동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토문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가원조경기술사사무소, 도시건축 소도 등에서 조경과 도시계획 분야의 업무를 담당한 바 있으며, 신구대학 환경조경과 초빙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오하이오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에서 방문교수로 지냈다. 주로 조경 계획 및 경관 계획 분야에 학문적 관심을 가지고 있다.
- [옥상녹화] 일본 옥상녹화 단상
- 1.카미야紙屋 목재소의옥상정원 메이지 시대의 개인 주택 옥상정원 여러 문헌 자료에 따르면 철근 콘크리트 건축이 보급되지 않았던 메이지 시대에도 개인적으로 옥상정원을 만들고 즐기던 사람들이 있었다. 이 사진도 그러한 ‘부자의 도락道樂’과 같은 옥상정원의 하나로 추정된다. 오래된 그림엽서인데, 사용되지 않아서 어느 시대의 것인지는 정확히 추정하기가 어렵다. 이 사진은 카미야 목재소를 찍은 그림엽서집 중 한장이다. 메이지明治(1868 ~1911) 시대부터 타 이쇼大正(1912~1925) 시대에 걸쳐 무엇인가 중대한 행사가 있을 때면, 자기 제품을 그림엽서로 인쇄해 관계자들에게 나눠주는 관습이 있었던 것 같다. 이처럼 극히 사적인문물을 찍은 그림엽서 사진 세트가 골동품으로 상당히 많이 남겨져 있다. 카미야 목재소도 집 현관을 찍은 것과 실내에 관계자가 잠시 멈춰서 있는 모습 등 여러 가지 앵글의 사진들이 엽서로 남아 있다. 찍힌 사람들의 복장, 머리 모양, 거기에다 그림엽서의 양식 등을 종합해 보면, 이 그림 엽서는 1900년부터 1907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도 같은 시기에 촬영됐음에 틀림없다. 일본에서 전면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이 지어진 것은 1897년 후반부터이므로, 당연히 후쿠시마켄福島県 코오리야마郡山에는 아직 철근 콘크리트가 보급되지 않았을 것이다. 사진에서도 건물 측면으로 벽돌쌓기 구조가 찍혀 있다. 옥상은 평지붕이기 때문에 콘크리트판이 사용됐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른바 철 근 콘크리트는 아닐 것으로 생각한다. 메이지 시대 시골에서는 대나무 골조 콘크리트의 진묘한 건축 양식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콘크리트 골조의 역학적 기능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 하는 목수들이 많았다. 따라서 어떠한 구조재를 봉입해 만든 콘크리트판일 가능성은 높지만, 현대 건축 기술에서 볼 때 이론에 맞춰서 지은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야마다 히로유키는 치바대학교 환경녹지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원예학연구과와 자연과학연구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도시녹화기술개발기구 연구원, 와카야마대학교 시스템공학부 부교수를 거쳐 현재 오사카부립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과학연구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토교통성의 선도적 도시 형성 촉진 사업과 관련한 자문위원, 효고현 켄민마을 경관 수준 녹화사업 검토위원회 위원장, 사카이시 건설국 지정 관리자 후보자 선정위원을 역임했다. 일본조경학회 학회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도시 녹화의 최신 기술과 동향』, 『도시환경과 녹지-도시 녹화 연구 노트 2012』 등을 비롯해 다수의 공저가 있다. 한규희는 1967년생으로, 치바대학교 대학원 조경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일본의 에디(EDY)조경설계사무소, 그락크(CLAC) 등에서 실무 경험을 익혔고, 일본 국토교통성 관할 연구기관인 도시녹화 기구의 연구원으로서 정책 업무 등에 참여해 10여 년간 근무해 오고 있다. 특히 도시의 공원녹지 5개년 계획의 3차, 4차를 담당했다. 일본 도쿄도 코토구 ‘장기계획 책정회’ 위원, 서울시 10만 녹색지붕 추진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연구 논문과 업무 경험을 쌓았다. 현재 한국에서는 어번닉스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 중이다. 여러 권의 단행본을 함께 감수하고 집필하면서 기술 보급에도 힘쓰고 있다. 번역 한규희 _ 어번닉스 대표, 일본 도시녹화기구 연구부 연구원
- [디자인 유랑 인 호주] 항구도시 시드니(3)
- 탈산업화가 진행되면서 과거 산업유산들이 재조명되고 있다. 그리고 국가의 경쟁력만큼이나 도시의 경쟁력이 중요해진 오늘날 산업유산을 통한 도시재생은 도시의 활력을 불어넣는 요소이자 현대 도시의 중요한 화두다. 하지만 도시재생의 기반이 되는 산업시설들은 국가 경제의 성장 동력이자 사회적 편익에 오랜 시간 조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라 점차 본연의 기능을 잃고 방치돼 왔다. 환경오염의 주범이라는 인식을 주고 점차 도시 미관을 저해시키는 흉물이 됐다. 번성했던 지역 산업과 맥을 함께하는 산업시설 가운데서도 시드니 하버를 마주하는 반도peninsula와 곶point에 위치한 정유 산업은 제2차 세계대전 후인 1950~1960년대에 급속한 성장을 이뤘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내수 수요량에도 불구하고 협소한 규모의 정유시설들은 대규모 공장에서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아시아 국가에 비해 제품 경쟁력이 떨어졌으며, 높은 유지비와 기술자의 인건비, 까다로운 현지 규정과 맞물리며 쇠퇴의 길을 걷게 됐다. 과거 지역민의 생산 구조 및 생활양식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는 산업시설들은 물질적 산업 생산을 토대로 하는 양적 성장을 뒤로하고, 근대의 기억과 현대적 삶의 공존을 담는 문화 요소로 재탄생했다. 또한 산업시설의 거친 인공미와 현대적 디자인의 결합은 도시의 숨겨진 보물처럼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하며 급변하는 현대사회와 과거로부터 남겨진 요소들을 연결해주는 매개체가 된다. 시드니 산책 다섯, Former BP 퍼블릭 파크랜드 지난 2005년 3월 12일, 공식 개장한 Former BP 퍼블릭 파크랜드는 18세기 말, 유럽인들의 정착과 함께 시드니 북부의 사암지대인 웨버턴 반도Weverton Peninsula에 저탄장과 증류주 공장이 들어서면서 그 역사가 시작된다. 하지만 산업 구조의 변화와 함께 원유가 새로운 대체연료로 주목받으면서 석탄 수급 조절을 위한 기반시설의 기능을 상실했고,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던 원유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영국국영석유회사British Petroleum의 유류저장고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서른한 개에 달하는 오일 탱크에서 그 물리적 체적을 가늠할 수 있듯, 웨버턴 지역의 정유 산업은 공장 가동이 중단된 1993년까지 버치글러브 반도Birchgrove Peninsula에 자리한 칼텍스 정유회사The Caltex와 당대 최고의 번영을 구가했다. 그러나 도시 외곽으로 산업시설 이전이 결정되면서 방치된 석유 공장 부지는 경제 논리에 따른 거주지 개발이 추진됐으나, 뉴사우스 웨일즈 주정부가 ‘공공을 위한 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하면서 외면해왔던 시민들의 발걸음을 돌리는 데 성공했다. 윤호준은 1982년생으로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에서 조경학을 전공했다. 가원조경기술사사무소를 거쳐 서호엔지니어링 팀장으로 재직하면서 조경 계획 및 설계에 관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현재 북경공업대학교 성시건축대학원에 재학 중이며 서호엔지니어링 북경지사에서 실무를 병행하고 있다. 『환경과조경』과 『스테이플(STAPLE)』의 해외리포터(중국)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지난 2012년에 출간한 『디자인 유랑 인 유럽』이 있으며, 현재 『디자인 유랑 인 아시아』편을 준비 중이다.
- 코엑스몰 리모델링 조경공사
- 코엑스몰 리모델링 공사는 기존 건축물을 대부분 유지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공사를 수행하는 공사였기 때문에 신축 공사현장과는 다른 어려운 점들이 존재했다. 또한 전시장과 매장이 운영되는 상황에서 구간 구간별로 나눠 리모델링을 진행하다보니 시공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문제점들을 만나게 됐다. 이 현장은 크게 세 가지의 특징을 가지게 됐다. ▲ 우선 세심하게 포장 레벨을 관리해야 했으며 ▲ 공식적으로는 2단계 공사지만 실제는 수많은 단계별 준공을 거치는 것과 같았으며 ▲ 예상을 뛰어넘는 수많은 보수공사가 시행됐다. 세심한 포장 레벨 관리 기존 건축물을 대부분 유지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리모델링 공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주요 레벨의 기준점인 건축물 출입구 레벨이 고정됐다. 하지만 관련법규 강화 및 각종 편의시설의 증가로 지하층 슬래브Slab와 마감 사이에 좀 더 많은 공간이 필요했으나 기존 건축물의 레벨이 고정돼 마감 레벨의 여유가 부족했다. 지하 1층의 경우, 환기·소방 배관의 용량 증가로 관경이 증가하고 각종 전기 및 통신 배관의 증가 등으로 기준 천장고 확보가 어려워 신규 슬래브 타설 구간은 건축에서 슬래브의 레벨을 상향시켰다. 지상 1층의 경우, 기존 단열재는 T50이었으나, 리모델링 구간의 단열재는 두께 대비 최상의 성능을 갖춘 단열재를 적용했음에도 T100이 필요했다. 이에 마감을 위한 최소 두께(레벨)를 확보하면서도 원활한 배수를 확보하기 위해 여러 방면의 검토를 시행했다. 사실 이러한 검토를 위한 사전 준비기간이 일반공사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세심하게 포장 레벨을 맞추기 위해 ‘단계별 레벨 체크’를 시행했다. 철거 전 → 기초콘크리트 타설 전→ 기초콘크리트 타설 후 → 일부 구간 포장 마감 후→ 최종 마감 후 레벨을 단계적으로 체크해 인근지역 레벨 계획에 반영했다. 또한 ‘배수계획을 조정’했다. 철거 전 현황레벨을 체크한 후 배수계획을 수립하고 → 철거 후 예상치 못 했던 부분(도면에 없는 구조물 등)을 반영하고 → 기초콘크리트 타설 후 시공 오차를 반영해 최종 배수계획을 수립했다. 일부 구간은 ‘건축단열공법을 변경’했다. 배수계획을 변경하더라도 적정 구배를 확보하기 어려운 구간은 부득이 외단열 공법을 외단열+내단열 공법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지하 1층이 대부분 매장으로 이용되다보니 내단열 공법을 적용하기에도 제약이 많았고, 내 단열로 외단열과 동일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외 단열 적용시보다 더 두꺼운 단열층의 시공이 필요해공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추가적인 부분이 발생했다. 각 단계별 배수계획에는 CM 및 발주처와의 협의 및 승인이 필요했다. 적정 배수를 위해서는 1.5~2%내외의 구배가 필요하나 현황상의 제약으로 대부분 1% 이내의 구배를 조성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물고임 방지를 위해 포장공사시 정밀시공을 요했으며 이로 인해 공정 지연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개인적인 경험치로 보면 일반적으로 원활한 배수를 위해서는 ILB(인터록킹블록)같은 블록류는 2% 이상, 아스콘 포장같은 면포장류는 1% 이상의 구배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는 비교적 작은 모듈로 이루어진 블록포장은 면포장에 비해 포장면의 균일성이 떨어지고, 요철 및 부분침하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코엑스 현장의 주요 포장재는 화강석판석포장이었는데, 화강석판석은 모듈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는 블록포장이라 고 볼 수도 있으나 습식시공으로 면포장의 특성도 가지기 때문에 블록포장과 면포장의 중간 정도라고 생각된다. 만약 주요 포장이 블록포장이었다면 구배가 1% 이내인 현장의 특성상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기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공사범위옥외 지상 1층 및 지하 1층, 옥내 센트럴플라자 지하 1층 실내조경 조경면적28,041m2 공사기간 - 1단계: 2013. 8 ~ 2013. 12 - 2단계: 2014. 1 ~ 2014. 8 김우식은 1997년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 입학하면서 조경과 연을 맺은 후 현재 현대건설에서 조경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3년이라는 적지 않은 시간동안 건설회사에서 근무하면서, 회사 내 조경매뉴얼을 작성하기도 했고, 현재 조경기술사이기도 하나, 부끄럽게도 그동안 기술자로서의 노력이 부족하여 당연하다고 알고 있던 것조차 당연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아가는 중이라고 말하는 겸손파다.
- 예산황새공원
- 우리나라 황새 이야기 황새는 행운을 부르는 새로서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왔다, 예부터 나라에서는 황새 둥지를 보호해왔고 황새 먹이도 풍부해 잘 자랐다. 그래서 황해도와 충청도에는 황새가 많이 살고 있었다. 그런데 한국전쟁으로 온 나라가 불바다가 되자 황새가 둥지를 틀 수 있는 큰 나무가 사라졌고, 그 이후 황새의 개체수가 급감했다. 황새 박제가 비싼 가격에 몰래 거래돼 밀렵꾼에 의해서도 황새가 많이 죽었다. 또한 1960년대 농산물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농약을 살포하면서 쌀 생산량은 늘었지만, 반면 황새는 알을 낳을 수 없는 환경이 됐고 알을 낳아도 새끼가 태어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후 1971년 4월 1일 황새 한쌍이 충청북도 음성에서 발견됐으나 사흘 뒤 수컷 황새가 밀렵꾼 총에 맞아 죽었고, 1994년 10월 30일홀로 남은 암컷의 죽음으로 한국 황새는 사라졌다. 1995년에 황새복원센터(교원대학교)가 건립돼 1996년부터 한국교원대학교에서 황새를 인공 증식시켜 왔다. 그 숫자가 115마리(현재는 약 160여 마리)에 이르러 시설의 수용력이 한계에 다다르자 대체 시설이 필요하게 됐다. 이에 황새의 복원 및 서식을 위한 환경과 연구시설을 마련하고, 일반인에게 황새를 알리는 생태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예산 황새마을 건립 사업이 추진됐다. 기본방향 기존 지형 및 자연경관을 최대한 활용하되, 과도한 절·성토로 인한 자연지형 및 경관 훼손을 최소화하는 것을 설계의 기본 방향으로 정했다. 또한 적정 규모의 시설 배치를 위해 입지 특성 및 기능 등을 고려해 시설을 배치하되, 방문자를 위한 서비스 공간(황새이해, 체험, 교육, 탐구 등)과 황새 복원을 위한 공간을 분리해 공간별 기능이 상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었다. 황새둥지마당 황새둥지마당은 황새의 새로운 보금자리 및 황새마을을 상징하는 광장으로 둥지를 형상화했다. 2단계 공사 때 황새알 조형물이 추가로 설치될 예정이다. 화장실 인근 지역은 소나무를 군식해 주차장과 중앙광장의 완충 역할을 하도록 했다. 방음, 차폐 효과를가지며, 외부에서 공원을 조망하는 시야를 가려 방문자에게 기대감을 줄 수 있게 했다. 중앙광장 경계부에는 ‘황새의비상’을 자음 모음으로 구성한 조형벤치를 설치해 공간에 흥미를 부여하고 이용객이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했다. 황새둥지마당 주변의 배수로는 투박한 콘크리트 배수관을 지양하고 자연스러운 경관의 조화를 위해 자갈수로(백자갈, 흑자갈)를 계획했다. 황새의 둥지를 형상화하기 위해 잔디와 화강석블록포장의 경계부를 자연스럽게 연계되도록 유도했다. 조경·건축설계(주)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토목설계(주)세일종합기술공사 시공흥진건설(주) 발주예산군 위치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대리 산33번지 일원 면적136,958m2 완공2015년 6월(1단계) 김대승은 조경학과에 입학한 친구의 권유로 영남대학교 조경학과에 입학했다. 조경학에 대한 다양한 배움 속에서 조경의 스케일과 기대감으로 조경에 대한 꿈을 키웠다. 사회에 나와 문화재, 조경 생태 관련 회사들을 거치면서 조경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쌓아왔으며, 조경을 천직으로 여기며 살아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는 스포츠 동호인으로, 요즘은 자연과 하나 되어 운동하는 철인3종경기에 푹 빠져 있다. 스포츠를 통해 스트레스를 풀고, 자연과 더불어 모든 사람이 운동할 수 있는 조경 공간을 만드는 것이 또 다른 그의 꿈이다.
- 라발더 파크
- 배경 최근 몇 년 동안 북유럽 지역에서는 갑작스러운 홍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빗물관리에 대한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이 자리잡게 됐다. 덴마크 정부는 일련의 배수 프로젝트를 기획한 바 있는데, 빗물을 안전하게 빼냄으로써 엄청난 양의 물로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하고자 한 것이다. 라발더파크 역시 이러한 방안의 한 부분으로, 빗물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혁신적 접근법을 보여주고 있다. 로스킬데Roskilde 시에서는 최근까지만 하더라도 시내중심부에 위치한 넓은 지역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산업용 공장 부지로 사용됐다. 이 공장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함에 따라 해당 부지는 현재 전반적인 도심개발 프로젝트의 한 축이 되어 엄청난 변화를 겪고있는데, 그 중심에는 라발더 파크가 자리하고 있다. 프로젝트 라발더 파크는 도시 인근 지역으로부터 빗물을 수집해 처리하는 배수용 수로 및 저수지를 중심으로 조성된 대규모 공원이다.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수로는 인공적으로 조성된 일련의 언덕을 관통해 흐른 뒤 빗물을 모아 저장하는 인공 호수까지 이어진다. 공원의 중심부에는 스케이트보드를 즐기기에 적합하게 설계된 배수용 수로 및 저수지가 마련돼 있다. 이러한 이중적인 기능을 창조해 낸다는 것은 지속가능성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매우 독창적인 접근 방법인데, 애초에 목표로 했던 기능이 활성화되는 동시에 창의적이고 역동적인 신체 표현에 적합한 흥미로운 공간도 마련되는 것이다. 라발더 파크의 전반적인 목표는 자유로운 움직임과 흐름을 북돋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원에는 야외피트니스 설비들과 파쿠르 연습에 필요한 요소들이마련됐다. 더불어 공원 설계에는 자전거 및 조깅 전용 도로, 춤을 위한 공간 등 여러 요소들이 반영됐는 데, 뭐니 뭐니 해도 라발더 파크의 핵심은 배수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널찍한 콘크리트 스케이트장이다. 다시 말해 콘크리트 수로와 저수지는 이중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1년 내내 방치되거나 사용되지 않는 기간이 전혀 없다. Design TeamSNE Architects(Multi-functiona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Pathways and Vegetation), GHB Landskab(Overall Landscape Planning) EngineeringCOWI Construction TeamHoffmann, Grindline FundingRoskilde Municipality, Roskilde Sewage Department,LOA(Lokale og Anlægsfonden), Unicon ConcreteClient Roskilde city, Roskilde municipality LocationRoskilde, Denmark Design Years2010~2011 Construction Years2011~2012 Surface Area and Volumes Surface Area of Recreational Park: 40,000m2 Surface Area of Skate Park(Concrete canal and Basin 03): 2,300㎡ Surface Area of Asphalt Canals: 2,300m2 Volume of Water Reservoirs: 23,000m3 PhotographerSNE Architects SNE Architects는 역동적 도심 공간 설계에 매진하고 있는 디자인 스튜디오로서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있어서 놀이와 신체 활동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는 이른바 ‘더블 프로그래밍’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데, 덕분에 SNE의 프로젝트들은 즉각적으로 시야에 들어오는 것 이상의 의미를 발현하곤 한다. 기후에 따른 적응 및 변용을 디자인 도구로 적극 수용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간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