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도서출판 조경

도서검색
신간 인기 최신 개정12판 CONQUEST 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 필기정복
쉽게 배우는 조경이론·해설
  • 저자성운환경조경·김진호
  • 역자
  • 페이지1568
  • 출판사도서출판 조경
  • 출간일2025년 1월 20일
  • ISB(S)N979-11-6028-027-2 13520
  • 정가
    ₩ 47,000 ₩ 47,000
온라인 구매
  • 교보문고
  • 예스24
  • 알라딘

 출제 빈도가 높은 기출 문제를 중심으로

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 자격증 필기시험 출제 경향 완벽 분석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최신 출제기준에 맞춘 수험서일 뿐 아니라

공무원과 공사 등의 시험에 도움이 되는 필독서

 

이제 자격증에 투자되는 시간은 가능한 한 줄여야 합니다.

자격증 취득을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가장 좋은 길은 짧은 시간 안에 집중적으로 공부하여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입니다자격증 취득은 직업인으로서 가장 첫 번째 단계입니다자격증 시험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모든 범위를 연구한다면 전문 직업인으로서 헤쳐 나가야 할 길이 아직도 많이 남은 수험생에게 적지 않은 비용과 시간의 손해를 가져옵니다집중적으로 자격증 시험에 맞는 공부를 하려면 교재 선택이 가장 중요합니다너무 방대하거나 너무 압축적이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상세한 해설로 이해를 돕고확실한 믿음을 줄 수 있는 다년간의 노하우가 담긴 교재라야 엉뚱한 데서 방황하지 않게 하며불안감을 갖지 않게 합니다최신개정판 CONQUEST 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 필기정복과 함께 오롯이 공부에 전념하십시오시간이 절약될 것입니다이제는 자격증에 대한 고민을 하지 마십시오.

 

기초이론부터 최신 기출문제 및 해설까지 국내 조경이론을 총망라한 구성

이 책은 조경 수험서의 완결판으로 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공무원 및 각종 시험의 대비서로 충분합니다또한 다양한 조경이론에 대한 순수 참고서로서도 손색이 없는 전문 서적입니다비전공자는 물론이고 전공자에게도 필요한 기초적 이론부터 최신 기출문제와 해설까지 점진적 향상을 위한 구성으로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방대한 분량을 알기 쉽게 요약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교재의 특징

각 단원별로 정리된 이론과 추가해설의 이원적 구성

각 단원별 연습문제로 학습내용 정리

광범위한 조경이론 공부 범위를 주요 부분으로 압축

다양한 문제와 상세한 해설로 시험 대비 적응력 향상

과년도 기출문제 수록

◆ 차례


CONQUEST 1 조경사

 

chapter01 서양 조경사


1>>> 고대 조경 48

① 고대 서부아시아 48

② 고대 이집트 49

③ 고대 그리스 52

④ 고대 로마 55

2>>>중세 조경 59

① 중세 서구 59

② 중세 이슬람 세계 61

3>>>르네상스 조경67

① 이탈리아 67

② 프랑스 72

③ 영국 정형식 정원 77

④ 기타 유럽 국가 80

4>>>근대와 현대 조경 84

① 18C 영국의 자연풍경식 84

② 영국 풍경식 정원의 영향 89

③ 19C 조경 91

④ 20C 조경 97

chapter02 중국 조경사

1>>>중국정원의 특징 124

2>>>시대별 조경특징 127

① 은(殷)시대 127

② 주(周)시대 127

③ 진(秦)시대 127

④ 한(漢)시대 127

⑤ 삼국(三國)시대 128

⑥ 진(東晋)시대 128

⑦ 남·북조(南·北朝)시대 129

⑧ 수(隋)시대 129

⑨ 당(唐)시대 129

⑩ 송대(宋代) 131

⑪ 금(金)시대 133

⑫ 원(元)시대 133

⑬ 명(明)시대 134

⑭ 청(淸)시대 136

chapter03 일본 조경사

1>>>일본정원의 특징 143

2>>>시대별 조경의 특징 144

① 상고(上古)시대 144

② 아스카(飛鳥)시대 144

③ 나라(奈良)시대 145

④ 헤이안(平安)시대 전기 146

⑤ 가마꾸라바쿠후(鎌倉幕府)시대 148

⑥ 남북조시대 149

⑦ 무로마찌(室町)시대 150

⑧ 모모야마(桃山)시대 152

⑨ 에도(江戶)시대 153

⑩ 메이지(明治)시대 158

chapter04 한국 조경사

1>>>총론 164

2>>>원시 및 고대의 조경 171

① 고조선시대 171

② 삼국시대 171

③ 통일신라 174

④ 발해 178

3>>>중세(中世)의 정원 - 고려시대 179

① 총론 179

② 궁궐조경 179

③ 객관(客館)의 정원 182

④ 민간정원 182

⑤ 사원(寺院)의 정원 184

⑥ 정원의 주요 구성요소 185

⑦ 고려시대의 조경식물 186

4>>>근세(近世)의 정원 - 조선시대 187

① 총론 187

② 궁궐정원 187

③ 객관의 정원 196

④ 민간정원 197

⑤ 서원조경 208

⑥ 누원(樓苑) 211

⑦ 사찰(寺刹)정원 212

⑧ 조경문헌 214

5>>>20C 현대조경 216


CONQUEST 2 조경계획

 

chapter01 조경계획일반

1>>>조경의 정의 및 조경가의 역할 228

2>>>조경대상 및 타분야와의 관계 229

chapter02 조경계획

1>>>조경계획의 과정 235

2>>>자연환경조사분석 238

① 지형 및 지질조사 238

② 기후조사 240

③ 토양조사 241

④ 수문조사 244

⑤ 생태조사 244

⑥ 경관조사 249

⑦ 리모트센싱에 의한 환경조사 253

3>>>인문·사회환경조사 253

4>>>분석의 종합 및 평가 255

5>>>계획의 접근방법 256

① 물리·생태적 접근 256

② 시각·미학적 접근 257

③ 사회행태적 접근 262

6>>>대안작성 및 기본계획 265

7>>>환경영향평가 269

chapter03 부분별 조경계획

1>>>시설물 조경계획 291

① 토지이용에 대한 법적 제한규정 291

② 단독주거공간 291

③ 집합주거공간 293

④ 비주거용 건물의 정원 298

2>>>공원녹지계획 299

① 도시공원녹지계획 299

② 자연공원계획 319

3>>>레크리에이션 조경계획 327

4>>>교통시설 조경계획 347

chapter04 조경계획 관련법규

1>>>국토기본법 385

2>>>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385

3>>>도시관리계획수립지침 389

4>>>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390

5>>>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392

6>>>자연공원법 397

7>>>건축법 399

8>>>조경기준 400

9>>>자연환경보전법 403

10>>>환경정책기본법 407

11>>>환경영향평가법 408

 

CONQUEST 3 조경설계

 

chapter01 설계의 기초

1>>>제도의 기초 410

2>>>선 410

3>>>치수선의 사용 412

4>>>설계기호 및 표현기법 414

5>>>기타 제도 사항 416

chapter02 조경설계과정

1>>>조경설계 430

2>>>기본설계 431

3>>>실시설계 433

chapter03 경관분석

1>>>경관분석의 분류 442

2>>>경관의 표현 444

① 경관 이미지 444

② 경관 선호도 445

3>>>경관분석방법 및 유형 446

4>>>경관분석의 접근방식 449

① 생태학적 접근 449

② 형식미학적 접근 451

③ 정신물리학적 접근 458

④ 심리학적 접근 459

⑤ 기호학적 접근 460

⑥ 현상학적 접근 461

⑦ 경제학적 접근 462

5>>>경관평가 수행기법 462

chapter04 조경미학

1>>>디자인 요소 474

① 점 474

② 선 474

③ 방향 475

④ 형태 476

⑤ 질감 476

2>>>색채이론 477

3>>>디자인 원리 및 형태구성 485

① 조화 485

② 통일과 변화 485

③ 균형 486

④ 율동 487

⑤ 축 488

⑥ 강조 488

4>>>환경미학 488

① 시야의 척도 488

② 시지각의 특성 488

③ 연속경관 489

④ 부각, 앙각, 응시, 착시 489

⑤ 공간의 한정 형태 491

⑥ 공간의 개방감과 폐쇄감 492

⑦ 공간과 거리감 493

chapter05 조경시설물의 설계

1>>>운동시설 설계 505

2>>>놀이시설물 설계 507

3>>>휴게시설물 설계 512

4>>>경관조명시설물 설계 514

5>>>수경시설물 설계 521

6>>>각종 포장설계 526

7>>>안내표지시설의 설계 531

8>>>기타 시설물의 설계 532

 

CONQUEST 4 조경식재

 

chapter01 식재일반

1>>>식재의 의의 556

2>>>식재의 효과와 이용 557

3>>>배식원리 562

4>>>경관조성식재 566

chapter02 식재계획 및 설계

1>>>설계일반 577

2>>>기능식재 578

① 차폐식재 578

② 가로막기식재 580

③ 녹음식재 581

④ 방음식재 582

⑤ 방풍식재 584

⑥ 방화식재 585

⑦ 방설식재 586

⑧ 지피식재 587

3>>>부분별 식재설계 590

① 주택정원 590

② 도시조경 590

③ 도로조경 593

④ 공장조경 598

⑤ 학교조경 601

⑥ 단지식재 602

⑦ 임해매립지조경 604

⑧ 경사면식재 606

⑨ 화단식재 607

4>>>실내조경과 식재설계 609

chapter03 조경식물재료

1>>>조경수목의 명명법 625

2>>>조경수목의 분류 626

3>>>조경식물의 생리·생태적 특성 634

4>>>조경식물의 내환경성 644

5>>>조경수목의 학명 650

chapter04 조경식물의 생태와 식재

1>>>식물군락 673

2>>>개체군의 생태 676

3>>>군집의 생태 678

4>>>식생조사 679

5>>>군락식재 설계 683

chapter05 식재공사

1>>>수목의 조건 및 규격 690

2>>>수목의 이식시기 692

3>>>수목의 이식공사 693

4>>>잔디 및 지피식재 702

5>>>옥상조경 및 벽면조경 713

6>>>생태환경 복원공사 721

① 환경복원녹화 721

② 비탈면 녹화설계 722

③ 생태계 복원공사 725

④ 자연형 하천 728

⑤ 인공습지 및 생태연못 729

⑥ 생태통로 및 어도 730

⑦ 훼손지 복구 730

⑧ 생물서식공간 조성 731

⑨ 생태계 이전 732

⑩ 자연환경림 732

 

CONQUEST 5 조경시공구조학

 

chapter01 시공의 개요

1>>>조경시공재료 746

2>>>시방서 748

3>>>공사계약 및 시공방식 749

4>>>공사관리 756

5>>>공정표 761

chapter02 조경시공 일반

1>>>공사준비 776

2>>>토양 및 토질 777

3>>>지형 및 시공측량 786

4>>>정지 및 표토복원 799

5>>>가설공사 801

chapter03 공종별 조경시공

1>>>토공 및 지반공사 813

2>>>운반 및 기계화시공 819

3>>>콘크리트공사 820

4>>>목공사 832

5>>>석공사 836

6>>>조적공사 842

7>>>기타공사 844

chapter04 조경시설공사

1>>>포장공사 872

2>>>급·관수시설공사 875

3>>>배수시설공사 879

4>>>순환로 공사설계 887

chapter05 조경적산

1>>>수량산출 및 품셈 911

① 개요 911

② 토공량 916

③ 운반 및 기계 919

④ 콘크리트량 923

⑤ 목재량 925

⑥ 석재량 925

⑦ 벽돌량 926

⑧ 수목 및 잔디 927

⑨ 조경구조물 929

2>>>공사비 산출 930

chapter06 기본구조역학

1>>>구조설계의 개념과 과정 955

2>>>힘과 모멘트 955

3>>>구조물 959

4>>>부재의 선택과 크기결정 961

① 보의 종류 961

② 내·외응력의 종류 963

③ 단면의 성질 966

④ 보의 설계 967

⑤ 장·단주의 설계 969

⑥ 담장의 구조설계 972

⑦ 옹벽의 안전성검토 973

 

CONQUEST 6 조경관리론

 

chapter01 조경관리의 운영

1>>>조경관리의 의의와 기능 992

2>>>운영관리 993

chapter02 이용관리계획

1>>>이용자관리 1000

2>>>주민참가 1003

3>>>레크리에이션 관리 1005

4>>>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 1010

chapter03 조경식물관리

1>>>조경수목의 관리 1022

① 정지 및 전정 1022

② 시비 1030

③ 관수 1036

④ 멀칭 1038

⑤ 월동관리 1038

⑥ 지주목 1038

⑦ 상처치료 및 외과수술 1039

⑧ 조경수목의 생육장해 1041

2>>>초화류의 유지관리 1043

3>>>잔디관리 및 잡초관리 1045

4>>>병·충해 관리 1057

5>>>농약관리 1077

chapter04 시설물 유지관리

1>>>시설물 유지관리 개요 1115

2>>>기반시설의 유지관리 1116

① 포장관리 1116

② 배수관리 1121

③ 비탈면 관리 1124

④ 옹벽 1126

3>>>편익 및 유희시설의 유지관리 1129

① 재료별 유지관리 1129

② 편익시설별 유지관리 1133

③ 유희시설유지관리 1137

4>>>건축물의 유지관리 1138


CONQUEST 7 최근 기출문제


조경기사 1151


CONQUEST 8 최근 기출문제


조경산업기사 1401

리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