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회화 속의 조경
  • 환경과조경 1988년 5월
전통조경연구에 회화를 이용한 경우는 극히 적기 때문에 전통조경 연구에 많은 제약이 되고 있다. 전통조경연구에 회화를 이용한 경우는 몇 되지 않는데, 이 경우는 1775년에 판각된 소쇄원도, 순조년간에 제작된 동궐도와 1802년에 그린 구례의 오미동 가옥도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에 발달한 진경산수화와 풍속화를 대상으로 이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그 속에 나타난 조경양식을 살펴보려고 한다. 우리의 산수화사는 자연발생적인 진경사생으로부터 비롯된 것이 아니라 중국에서 그 곳의 진경을 토대로 창안해 낸 중국 산수화사를 이해하고 모방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산수화는 영향을 받은 중국 산수화법이 비록 중국 진경사생기법이라 할지라도 풍토가 판이하게 다른 우리의 입장으로는 그것이 우리의 산천을 사생하는 진경기법으로 실용될 수 없는 형편이었다. 그러니 결국 이념산수의 화법으로 밖에 이해될 수 없었다.

※ 키워드 : 회화, 전통조경, 풍속화, 진경산수화, 전통조경양식
※ 페이지 : p98-103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