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보통의 존재, 잡초
‘식물일기’ 전, 5.12.~5.18.
  • 환경과조경 2021년 6월
lak398(2021년6월호)_웹용-113.jpg
김제민, ‘확장’, 종이에 잉크, 수채, 75×53cm, 2018


도시에는 사람만큼이나 많은 식물이 산다. 길 가장자리를 따라 선 가로수, 높은 건물 앞을 치장한 정원, 창문 밖으로 옹기종기 내어놓은 화분들까지 그 종류가 헤아릴 수 없이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보도블록 틈바구니나 갈라진 벽 사이를 비집고 자란 이름 모를 풀에 유독 오래 시선을 두게 된다. 누군가의 계획에 따라 심어지지 않아 고운 손길로 관리 받지 못한, 머무를 곳을 스스로 정해 자라난 잡초는 꼭 이리저리 부딪치며 살아가는 나와 내 주변의 사람들을 닮았다.


김제민은 이처럼 주변에 아무렇게나 크고 있는 식물을 캔버스에 옮기는 작가다. 그는 대학에서 동양사학을 전공하다가 박재동 화백의 시사만화에 마음을 빼앗겨 동네 화실에 다니기 시작했다. 그렇게 점점 불어난 미술에 대한 애정은 김제민을 서울대학교 서양학과에 입학시키기에 이르렀다. 지난 512일부터 18일까지 갤러리도스에서 이 김제민의 식물 그림을 모은 전시 식물 일기가 열렸다.


그는 무성하게 자란 풀숲을 눈앞에서 보는 것처럼 생생하고 섬세하게 묘사하기도 하지만, 작은 풀포기를 하나의 캐릭터로 의인화해 익살스러운 정경을 담기도 한다. 김제민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어 있는 식물들 의 이미지는 실은 모두 나 자신을 투영하고 있는 것이고 그들은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의 대변자이며, 나의 분신이며, 자화상이라고 밝혔는데, 그래서일까 화폭을 넌지시 들여다보고 있으면 꼭 작가의 일기장을 훔쳐보는 듯한 기분에 빠져든다. 리모컨을 옆에 두고 소파에 널브러져 있는 풀포기를 그린 ‘TV 좀 작작 보고아래에는 “TV 좀 작작 보고 운동 좀 해라, 이 화상아!”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작가가 자기 자신에게 건네는 말로 보이는데, 어찌나 친근한 상황인지 관객도 쉽게 저 게으른 식물에 감정이입을 하게 된다. (후략)

 

환경과조경 398(2021년 6월호수록본 일부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