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환경사업의 시장성 조사 -국내 소형소각로를 중심으로-
  • 환경과조경 1996년 10월
-소각로 사업배경 및 목적 소각로 사업은 비교적 신흥사업으로 아직 그 범위와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 소각로 산업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라고 볼 수 있으며 그 형성요인은 환경규제의 강화, 국제적인 환경규제의 움직임, 일반 국민들의 환경문제의 심각성 인식에 따른 소비자 운동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980년대까지 매립에 의존하던 폐기물 정책이 매립지의 부족과 집단이기주의 때문에 매립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점차 소각의 비율을 높이고 각 지방 자치단체에서 소각로를 설치하면서 각 기업들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면서 환경설비의 지속적인 수요증가가 전망되는 성장유망사업이며 자국내의 독자기술의 확보시에는 기술까지도 수출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소각로 산업의 중요성은 국내외의 환경규제 강화추세로 환경설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제조업의 총설비투자액 대비 환경설비 투자비 비중이 매년 약 2배씩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원가부담을 가중시켜 제조업의 국제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제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도 양질의 환경설비를 원활히 공급하여 기업의 투자부담을 경감할 필요가 있다. ※ 키워드 : 환경사업, 소각로, 폐기물, 폐기물 관리법 ※ 페이지 : 62~67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