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생태학습등 다목적 식물원으로 거듭날 채비 서둘러 ; 한택식물원, 2000년 개원 앞두고 재단장 한창-
  • 환경과조경 1998년 9월
4천여종이나 되는 우리꽃 가운데 1%인 40여종을 꼽을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채송화, 봉선화, 나팔꽃, 백일홍, 달맞이꽃 등을 우리꽃으로 잘못 알고 있는데다 길가를 온통 외국 꽃으로 장식한 나라, 국립식물원도 하나 없는 현실이 우리나라 식물환경의 열악함을 대변해 준다. 이러한 우리 자생식물에 대한 무관심에도 불구하고 사라지거나 외국으로 건너가고 있는 우리 식물에 대한 애착으로 지난 15년간이나 자리를 지켜온 한택식물원이 있다. 2000년 종합식물원으로서 면모를 갖추기 위해 개원을 앞두고 재단장이 한창인 한택식물원(경기도 용인시 백암면 옥산리)은 이미 식물학자와 사진작가들 사이에는 공공연하게 알려진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보고이다. 한택식물원 12만평 경내에는 야생화 1천4백여종, 수목이 6백여종에 이른다. 봄·여름·가을 어느 때고 우리의 야생화들이 싱그러움과 형형색색의 아름다움으로 찾는 이를 반겨주는 이곳은입구에서부터 여름 햇살에 한창인 참나리와 벌개미취가 주황과보라색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한택식물원 조성계획중 가장 역점을두고 있는 특화식물원인 자생식물원과, 국내외 2백50여종의 상록식물을 특수시설에 식재 전시하기 위한 상록식물원을 중심으로, 인공습지 1만여평을 조성 국내자생 수생식물 1백여종, 외국에서 도입한 2백여종의 연꽃을 식재, 전시할수 있는 수생식물원도 완성단계에 있다. 그 밖에 양치식물원과 약용으로 이용되는 식물 5백여종을 식재·전시한 약용식물원, 염료식물원, 모란원, 원추리원과 국내 고유종인 나리를 비롯, 전세계에서 수집한 60여품종 2만5천본이 식재·전시된 나리(백합)원, 수선원, 계곡물을 자연스럽게 끌어들인 인공습지 생태공간에 식충식물원이 그 틀을 잡아가고 있다. ※ 키워드 : 한택식물원, 자생식물원, 이택주 원장 ※ 페이지 : 108~109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