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태양전지와 옥상녹화 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5월 / 21
  • 능소화 - 푸름에 지친 여름밤에 반가운 꽃을 피우는 낙엽활엽 덩굴 식물
    온통 초록의 바다가 되는 여름, 푸름에 지쳐 가버린 화사한 봄꽃을 아쉬워 할 즈음, 능소화란 꽃이 우리의 눈길을 끈다. 고즈넉한 옛 시골 돌담은 물론 삭막한 도시의 시멘트 담, 붉은 벽돌담까지 가리지 않고 담쟁이덩굴처럼 빨판이 나와 정답게 달라붙어 아름다운 꽃 세상을 연출한다. 능소화는 중국산의 낙엽활엽 덩굴식물로 길이 10m에 달한다. 가지에는 흡판이 있어서 벽이나 나무줄기에 붙어 올라간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 잎은 7~9개로 계란모양 또는 피침형이다. 8∼9월에 적황색의 종 모양 꽃이 가지 끝에 5∼15개가 모여 피는데 크기가 6~9cm나 된다. 안쪽은 노란색에 가깝고 겉은 적황색으로 색상이 화려하며, 다섯 갈래로 벌어진 꽃 속에는 암술 한 개와 네 개의 수술이 있고 끝이 구부러져 있다. 열매는 네모지고 2개로 갈라지며 가죽질로 되어 있고 10월에 익는다. 수직적으로는 250m까지 전남, 전북, 경남, 충남, 경기 등지에서 식재하며 서울에서는 겨울을 나기 위해서 보호 조치가 필요하고 지리적으로는 중국에 분포한다. 양지에서 잘 자라지만 내한성이 약해 중부지방에서는 월동준비를 해 주어야 하는 까다로운 면이 있다. 수분이 많고 비옥한 양토에서 생장이 좋고 해변에서도 잘 자라고 공해에도 강하다. 능소화는 옛날 양반집 정원에만 심을 수 있고, 상민의 집에서 이 꽃을 심으면 관가에 잡혀가 곤장을 맞았다 하여 '양반꽃'이라 했다고 한다. 그것은 능소화(凌宵花)의 한자어가 능가할 능 또는 업신여길 능(凌)자와 하늘 소(宵)자이고 보면 선인들은 이 꽃을 곧 '하늘을 능가한다'는 대단한 자부심을 가지고 남을 업신여기는 꽃으로 보았던 것 같다. 상민의 집에 이 꽃을 심어 자부심을 배워서 양반을 업신여길까 봐 상민의 집에는 못 심게 했는지도 모른다. 능소화는 지역에 따라서 금등화(金燈花)라 부르기도 하였는데 금빛 찬란한 등불 같다 하여 생긴 이름 같다. 또 서양에서는 능소화를 ‘Trumpet vine’, ‘Chinese trumpet creeper'라고 부르는데 이 꽃의 모양을 트럼펫 나팔을 연상한 데서 생긴 이름이다. 또 단 하룻밤 임금님의 총애를 받고 잊혀진 구중궁궐의 한 여인이 죽어서 된 꽃이라는 전설과 함께 ‘구중 궁궐의 꽃’ 이라는 이름도 지닌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해외의 생물서식처 복원현황 및 조성기법 - 대체습지 조성을 중심으로
    대체습지의 개요미국의 경우 대체습지라는 개념이 발생하고 활발한 조성 및 복원활동이 이루어지게 한 원인은 습지 총량 정책(No Net Loss and Long-Term Net Gain)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과거 각종 개발에 의해서 소실된 습지 면적을 회복하고, 앞으로 더 이상의 습지 손실을 가져오지 않음으로써 미국내 습지의 총량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정책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수단이 바로 대체습지이다.원래 습지를 포함하여 생태계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개발로 인한 습지의 훼손을 피하는 것(avoidance)인데, 실제로 개발 사업이 있을 때 습지를 불가피하게 훼손시켜야 하는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불가피한 훼손을 최소화(minimization)시키는 노력이 필요하게 되며, 이 또한 현실적으로 어려울 경우, 습지를 보상(compensation)하게 된다. 이 보상의 방법에는 창출과 복원, 향상 등이 포함되는데, 넓은 의미에서 대체에 포함된다. 한편, 넓은 의미의 대체습지의 조성방법에는 현지내외 조성(On/Off-site) 방법과 습지은행(Mitigation Banking)에 의한 조성 방법으로 구분된다. 우선,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 현지내외 조성 방법은 유역 내에서 개발 사업이 이루어질 때마다 개발 사업으로 인해서 훼손되는 습지의 면적 이상만큼을 조성해 주는 것을 말한다. 결과적으로 작은 습지의 면적들이 개발사업의 입지에 따라서 여기저기 흩어져서 조성된다. 반면에 습지은행에 의한 조성방법은 개발 사업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일정 면적의 대체습지를 조성해 놓고 그에 합당한 크레틱트(credit)를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그 유역내에서 개발 사업이 시행될 때 확보된 크레틱트 만큼의 습지를 개발지역내에서 훼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만약, 개발사업을 희망하는 업체가 확보하고 있는 크레틱트의 양으로 개발로 인한 습지훼손 면적을 충족시킬 수 없을 때에는 다른 개발사업자로부터 크레틱트를 구입하여 습지의 면적을 훼손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결과적으로 습지은행에 의한 대체습지 조성은 미리 넓은 면적의 습지를 조성해 놓음으로써 습지의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가과정 등 절차를 간소화시킴으로써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이득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당뇨병 예방법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5월 / 21
  • 인위적 환경과 기상 등에 의한 수목 피해
    도심에서 수목은 인공적인 환경에 식재되고 자라게 되므로 자연에서 자라는 것에 비하여 인간과 접촉이 많아져 인위적인 피해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예방이 어려운 기상적인 피해에 대해서 살펴보고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본다. 1. 인위적인 피해 ○ 답 압 인간이나 장비에 의해서 표토가 다져져서 견밀화되는 토양경화현상을 의미한다. 조경공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토목공사가 실시될 경우 중장비에 의해 표토가 다져지며, 사람이 빈번하게 다니는 곳은 발길에 의해서 땅이 딱딱해진다. 답압이 되면 토양입자 사이의 공극이 좁아져서 용적비중이 높아지고, 배수가 잘 안되어 통기성이 나빠지며, 뿌리 뻗음을 좋지 못하여 수목 생장에 불리하다. ○ 물리적 상처 조경수는 인간의 생활 주변에 식재되기 때문에 인간과 기계에 의해서 물리적 상처(mechanical injury)를 잘 받는다. 수목을 의도적으로 가해하는 행위도 있을 수 있고, 자동차나 중장비에 의한 충돌로 수피가 벗겨지는 등의 상처가 받는 경우가 있다. 외부적인 상처만으로 수목이 즉시 고사하지는 않으나 상처부위가 확산이 되면서 수간이 부패하게 되고 환상으로 박피되었을 경우에는 고사할 우려가 있다. 또, 부적절한 지주와 당김줄 설치, 예초기, 잔디 깎는 기계 등으로 인하여 수피에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 2006년05월 / 21
  • 모딜리아니의 <나부>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5월 / 21
  • 정지작업에 따른 성토, 절토량을 구하는 방법 - Contour Plane Method, Cross Section Method
    이번호에서는 지난호에 이어 정지작업에 따른 성토량과 절토량을 계산할 때 Contour Plane Method(등고선법)과 Cross Section Method(횡단면법)에 의해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려고 한다. 1. Contour Plane MethodContour Plane Method를 도면으로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1>과 같은 경사면이 있다. 이곳에 <도면2>와 같이 성토하였다. Contour Plane Method의 의미는 경사면의 등고선의 높이에 평행하여 잘라(도면3) 덩어리를 만든 다음(도면4) 얼마만큼 성토, 절토되는지 그 양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도면4>의 자른 덩어리를 입체적으로 그려보면 <도면5>와 같다. <도면5>는 <도면4>와 같이 경사면에 평행하게 자른 덩어리가 쌓여 있는 것이다. 이때, 각 덩어리의 등고선에 수평하게 자른 덩어리의 평면은 <도면6>과 같다. Contour Plane Method에 의해 자른 각 덩어리의 부피는 다음 <공식1>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부피 = (아래 등고선 평면 넓이 + 위 등고선 평면 넓이) / 2 x 등고선 간격(공식 1)즉 도면 4에서 등고선 1m 지역과 2m 지역까지의 덩어리 부피는 다음과 같다. (본 원고는 요약본입니다)
  • 조경수 수급에 대란이 오고 있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5월 / 21
  • 자생폿트수목을 이용한 복원녹화
    1970년대 이후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인공화는 조경수, 분재, 야생화 등 살아있는 자연소재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왔다. 국내 조경수 생산은 1990년에 약 6,000만 본이었으며, 1998년에는 약 1억 5천만 본으로 지난 8년 동안 약 2.2배 이상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조경수는 대부분 노지에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정 외래종 및 자생종의 과잉생산으로 수목가격 인하, 이식곤란 수종의 미생산, 수목굴취에 따른 인건비 상승, 기술인력의 부족 및 고령화, 생태적 복원을 위한 녹화용 자생수목의 미생산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노지재배수목보다 폿트수목를 이용한 생태적 녹화공사가 활성화 되어 있으며, 과거 일본의 경우, 식재기술의 정교함과 비가 많이 내린다는 사실 등으로 인해 노지묘를 사용했던 전통적인 식재방법이 충분하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으나 최근에 와서는 급속하게 폿트수목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아래에 기술할 폿트수목의 이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현재 국내의 조경수 생산 및 수요는 자생종을 이용한 녹화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폿트수목의 생산 및 식재가 보편화되지 않고 있고 그 효용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폿트를 이용한 조경수의 생산 및 관리 시공기술은 노지재배수목과 구별되어 접근하는 것이 필요한데 여기서는 자생종을 지향하는 국내여건과 향후 건설업의 개방 등에 대비하여 폿트수목을 이용한 생태적 녹화사례와 폿트수목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폿트수목이란폿트재배수목이란 식물의 뿌리가 폿트내에서 밖으로 나오지 않는 상태로 일정기간 보육된 수목을 말한다. 이때, 수목에서 폿트를 제거시 흙이 쏟아져 내리지 않을 정도로 잔뿌리가 둘러싸여져 있고, 굵은 뿌리가 감아 돌고 있지 않는 상태이어야 한다. 또한 폿트내 배양토는 유기물함량이 20%이상이어야 하고, 폿트수목의 T/R율은 3.5이하가 적정하다고 판단된다.(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조경공사 적산 합리화를 위한 공개 토론회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5월 / 21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