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1년에 1회 이상 숲 방문자, 미방문자보다 삶의 질 3.9% 높아”
산림과학원, 연구 결과 발표
  • 입력 2023-02-13 18:34
  • 수정 2023-02-13 18:34
국민의 눈으로 숲을 읽는 해설서포지 보도.jpg
국민의 눈으로 숲을 읽는 해설서 vol.3 표지 (사진=국립산림과학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1년에 1회 이상 숲을 방문한 사람이 방문하지 않은 사람보다 삶의 질이 3.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3일 ‘산림복지’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국민의 숲 이용 정도와 삶의 질 관계 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1년에 1회 이상 숲을 방문한 사람이 방문하지 않은 사람보다 삶의 질이 3.9% 높았으며, 산림복지서비스를 1년간 1회 이상 이용한 사람이 이용하지 않은 사람 보다 삶의 질이 8.8%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숲의 방문 유형(일상, 당일, 숙박)을 구분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4시간 이내의 일상 방문자는 ▲이동시간 ▲경험 횟수 ▲활동 시간이 삶의 질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일 방문은 ▲경험의 다양성 ▲계절 ▲경험 횟수 등에 따라서, 숙박 방문은 ▲이용 일수 ▲지출 금액 ▲함께한 인원에 따라서 삶의 질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수록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일상, 당일, 숙박 방문 유형 중 1개 유형의 활동을 이용한 경험자의 삶의 질은 6.57점, 2개 유형을 이용한 경험자의 삶의 질은 6.66점, 3개 유형 모두 이용한 경험자의 삶의 질은 7.01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민의 눈으로 숲을 읽는 해설서 vol.3’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간행물에는 숲 이용과 삶의 질 관계뿐 아니라, 올해의 숲 활동과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숲 이용의 변화 등에 관한 내용도 담고 있다. 


조재형 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장은 “숲 이용의 다양성은 우리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바가 크다”며 “앞으로 삶의 질을 더 높일 수 있는 숲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
  • 환경과조경 2023년 12월
  • 최신개정판 CONQUEST 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 필기정복
  • 조경의 미래를 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