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형석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박형석 기자]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제19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 회의 국제 연찬회에서 ‘신기술 기반 대기 관측과 배출원 기여도’를 주제로 연구성과를 소개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오는 24일 국립환경과학원 원내에서 영상회의를 통해 동북아 환경질 개선을 위한 ‘제19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 회의’에 참석한다고 23일 밝혔다.
‘한·중·일 환경과학원장 회의’는 동북아 지역의 환경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기후, 대기, 물, 보건 등 여러 환경 분야의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국제회의로 지난 2004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 회의에는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 리 하이셩(Li Haisheng) 중국 환경과학연구원장, 기모토 마사히데(Kimoto Masahide)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원장 등 3국 환경과학원 관계자 약 40여 명이 참석한다.
오는 24일 오전에 열리는 ‘한·중·일 환경과학원장 회의 국제 연찬회’에서는 3국의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기후·대기 분야의 ‘신기술 기반 대기 관측과 배출원 기여도’를 주제로 각국의 연구성과가 소개된다.
오후에 이어지는 본 회의에서는 물 환경, 대기, 환경 보건, 기후변화 등 4대 중점협력 연구 분야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기후변화와 관련한 각국의 비교 연구 결과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4대 중점협력 연구 중 물 환경 분야는 우리나라 주도로 3국의 수량, 수질, 수생태 협력 연구 결과가 소개될 예정이며, 대기 분야는 중국이, 환경 보건 및 기후변화 분야는 일본이 주도한다.
특히, 국제적 환경 현안인 기후변화와 관련해 ▲온실가스 관측 ▲온실가스 저감 ▲기후변화 적응 등 3가지 주제로 3국의 비교 연구를 통해 동북아 지역의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올해는 한중 수교 30주년, 중일 수교 5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로 어려운 여건 가운데서도 동북아 환경질 개선을 위해 함께 해결 방안을 모색해 온 3국 모두에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중일 환경과학원장 회의는 미래 환경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국가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대표적 모범사례로서, 동북아시아에서 나아가 지구촌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 든든한 초석이 될 수 있도록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