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형석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박형석 기자] 인천연구원은 2022년 정책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시 도시숲 조성 현황 분석 및 시민 이용방안 연구”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인천시는 지난 2019년부터 산림청과 함께 도시 바람길숲, 미세먼지 저감숲 사업을 추진해 왔다. 이 연구는 그간의 사업 결과를 종합 점검할 목적으로 숲 조성과 시민 이용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 바람길숲의 한 종류인 바람생성숲은 산림복원도 중요하나 지역주민의 숲 이용도 함께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며, 근린공원에 조성되는 바람생성숲은 공원의 성격과 조화성이 필요하다.
미세먼지 저감숲은 조성 후 3~5년 주기로 관리가 필요하고 식재 밀도를 조절해 토양 등의 수목 생육환경을 개선해 도시숲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도시숲은 관목식재를 할 때 이용자의 시선이 차단돼 안전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이용자에게 개방감 있게 설계해야 하고, 시민들이 미세먼지 저감숲을 일상에서 이용할 수 있기에 기본적인 산책로와 장의자 등을 설치해야 한다.
도시 내 바람길숲, 미세먼지 저감숲은 활발한 조성을 위해 도시숲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시숲 등의 조성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도시기본계획에 반영해야 한다.
가좌4동에 위치한 가좌이음숲에서 진행한 주민 인터뷰 결과, 시민들은 주거지에 인접한 도시숲을 공원과 같이 인식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시설물과 활동 공간을 추가할 것을 요구하였으며, 숲을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
권전오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크게 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재난, 기후위기의 대안으로 숲 조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며 “시민 일상과 가까이 위치한 도시숲 조성은 기능적으로 바람길을 열어주고 먼지를 차단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법과 제도가 허락하는 범위에서 시민 이용시설과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