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형주 (jeremy28@naver.com)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고용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 국제기능올림픽대회 한국위원회가 조경직종의 국제기능올림픽 출전 길을 열어주지 않는 가운데서도, 조경 분야에서는 조경기능인 양성과 국가대표 선수 역량 강화를 위한 자구적인 노력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한국조경협회와 서울문예마당은 지난 5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21 대한민국 조경·정원박람회장’ 내 정원 조성 공개시연회 현장에서 국제기능올림픽 조경 입상 및 조경기능인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두 기관은 국제기능올림픽 조경 분야의 출전과 입상, 조경기능인 양성에 필요한 제반 정책 제도의 개선, 사업시행, 교육훈련 및 기타업무를 함께 추진하게 된다.
정책 및 제도 개선과 관련해서는 ▲국제기능올림픽 한국위원회 내 조경직종 출전종목 지정 및 직종협의회 가입 ▲교육부 등 정부 및 지자체의 직무교육에 조경·정원 직무과정 신설 ▲기타 조경기능인 양성 및 취업과 관련된 정책·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사업과 관련해서 양 기관은 크게 조경기능경기대회 시행·운영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수립, 조경기능연수 및 훈련원 추진계획 마련 등에 협력한다.
기능교육 및 훈련은 학생 기능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지도자 육성 및 심화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기능교육 강좌 등도 시행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국제기능올림픽 출전국 및 지도자 네트워크 구축 ▲조경기능 국내, 국제세미나 개최 ▲국제기능올림픽 한국 서포터즈 구성 ▲국제기능올림픽 조경 출전 및 조경기능인 양성과 관련된 제반 사항 등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조경직종은 ▲38회(2005년) ▲39회(2007년) ▲40회(2009년) ▲45회(2019년)까지 단 네 번 국제기능올림픽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졌다. 4위권을 벗어난 직후 조경직종은 바로 폐지됐으며, 시스템을 전혀 구축하지 못한 상태에서 10년 만에 갑작스레 경기를 치러 성과를 내지 못하자 곧바로 또 국제기능올림픽 출전 기회를 박탈당했다.
그럼에도 조경 분야에서는 조경기능인 양성 및 산업 육성을 위해 자력으로 대회를 치르고, 꾸준히 역량 있는 선수를 키워내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이번에 한국조경협회와 서울문예마당이 협약을 맺으면서 조경기능인 양성을 위한 제도 개선, 사업시행, 교육 훈련 등을 위한 추진체계를 공고히 하게 됐다.
이홍길 한국조경협회장은 “서울문예마당의 지원 아래 조경협회가 조직 구성 및 업무를 잘 수행해서 조경직종이 다시 국제기능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될 수 있게 최선을 다 하겠다. 또한 앞으로 조경기능인을 육성하고 발전시키는 데도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승호 서울문예마당 이사장은 “어떤 목수가 어떻게 짓느냐에 따라 집의 품격과 완성도가 결정된다. 나아가 정원 공사는 생명이 있는 자연 생물을 다루는 작업으로 보다 더 세밀한 손길과 생태적인 지식이 수반돼야 한다. 하지만 조경 시공 현장은 대부분이 고령의 단순 작업자들이고 태반이 외국인 작업자들로 꾸려진 상황”이라며 조경기능인 양성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서울문예마당은 2년 전부터 조경기능인 양성을 위한 ‘조경기능 콩쿠르’를 비롯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오늘 한국 조경 산업의 총본산인 한국조경협회와 업무협약을 계기로 조경기능인 양성 프로그램이 한층 탄력을 받게 되고 더욱 힘차게 추진될 것이므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여겨진다”는 소회를 밝히며 “기능인 양성을 위해 용단을 보여준 한국조경협회에 감사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2021 대한민국 조경·정원박람회’ 부대행사로 ‘2020 조경기능 콩쿠르(경기대회)’ 수상팀의 정원 조성 공개시연회가 진행됐다. 시연회에 사용된 자재는 서울문예마당과 이노블록이 후원했다.
이날 공개시연회에서는 강준철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교사와 이주은 정원문화위원장의 지도로 주예준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학생, 주재완 여주농업경영전문학교 원예과 학생, 조유니 여주농업경영전문학교 원예과 학생, 남환희 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과 학생이 기량을 펼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