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오감으로 재조합한 귀틀집의 풍경
‘가장 조용한 집’ 전, DDP 배움터 3층
  • 환경과조경 2022년 9월
sumu01.jpg
문소현·박유석(영상), 휴키이스(음악), 수무(조형, 조경), ‘가장 조용한 집’, 흰 모래, 슈퍼 미러, 6 채널 비디오
ⒸPARK_KIHUN

 

 

깊은 산골 속 작은 집하면 자연스럽게 연상되는 이미지들이 있다. 은근한 열기를 뿜는 아궁이, 밥때가 되면 피어오르는 굴뚝의 연기, 고구마가 익어가는 화로, 정겨운 할머니의 목소리. 이런 장면들을 막연히 낭만적이라 생각하며 자라왔지만, 사실 나는 도시에서 벗어난 삶을 경험한 적이 없다. 때로는 이런 상상이 나와 동떨어진 삶을 대상화하는 방식 중 하나가 아닌지 의문이 들기도 한다. 지난 7월 11일부터 8월 15일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배움터에서 열린 ‘가장 조용한 집’은 자연과 함께하는 삶을 바라보는 색다른 관점을 제시하는 전시다. 식물로 일상을 어루만지는 조경 작업을 하는 ‘수무’가 기획한 전시는 ‘힙’한 음악과 영상, 설치 작품으로 무주 귀틀집을 재해석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삶을 나의 일상과 가까운 지점에서 상상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무주 귀틀집

전시의 주인공인 무주 귀틀집은 70년 전 무주의 한 부부가 직접 지은 신혼집이다. 집터로 잡은 곳이 오지인 데다가 집을 지을 전문가도, 제대로 된 재료도 구할 수 없던 그들은 주변의 나무를 베어 우물 정丼 모양으로 배치해 틀을 만들고, 나무를 쌓아 올려 벽을 세우고, 틈 사이를 진흙으로 메꿔 집을 완성했다. 나무와 진흙처럼 한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로 지은 집은 여름에는 수분을 흡수해 팽창하고, 겨울에는 수분이 적어져 수축한다. 숨 쉬듯 부풀었다 오그라들기를 반복하며 집의 구조는 더욱 견고하게 연결되고, 재료는 좀 더 단단해진다. 스스로 튼튼해지는 집의 특성에서 수무는 인류가 지향해야 할 지속가능성과 친환경성에 대한 실마리를 발견했다. 약 이틀간 귀틀집에서 머무른 수무는 숨 죽인 채로 주변 환경을 둘러보고, 소리를 채취하고, 영상으로 그 주위를 기록했다. 그 과정에서 포착한 자연의 소리와 그 소리를 만들어내는 작은 주체들의 모습을 새로운 콘텐츠로 빚어냈다.


무주의 시공간을 담은 캔버스

전시장에 들어서면 하얀 모래에 반쯤 파묻힌 거대한 구조물, 그 위로 투사되는 영상과 음악으로 구성된 설치 작품 ‘가장 조용한 집’이 나타난다. 반사 소재로 만든 우물 정 형태의 구조물은 귀틀집을 상징하는데, 빔 프로젝트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담아내거나 반사하며 몽환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구조물을 반쯤 덮은 흰 모래는 귀틀집이 자연에 묻혀 지내온 시간이자 스며든 자연으로, 무주에서 담아온 실제 자연 영상을 고스란히 담는 캔버스가 되어준다. 모래가 쌓여 생긴 자연스러운 굴곡은 새벽녘 희미하게 밝아지는 하늘의 영상이 비칠 땐 가파른 산세 같고, 경쾌하게 흐르는 물소리가 들려올 땐 계곡가의 바위처럼 느껴진다. 무주 귀틀집의 사계절, 24시간을 간결한 형태로 축소한 작품은 방문객을 자연의 내면으로 인도하며, 이전과 다른 감각으로 주위를 둘러보게 만든다.


환경과조경 413(2022년 9월호수록본 일부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