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조경, 그 이름을 묻다] 내 이름은 알렉산더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 더 매그너스
  • 환경과조경 2022년 7월

어 그래, 조경아. 이름 때문에 고민이라고? 네가 못났으니깐 네 이름도 못난 거지. 왜 이름 탓을 해. 알았어. 잠깐, 농담이야. 이제부터 진지하게 상담해줄게. 네 이름이 마음에 안 드는 건 다 이유가 있지. 너 원래 미국 출생이잖아.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 네 이름을 너희 할아버지인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가 지어준 건 알지? 그런데 너희 할아버지도 지어놓고 그 이름이 마음에 들진 않았대. 일단 아키텍처가 붙는 게 무슨 아키텍처의 유사품 같잖아. 친구들이 자꾸 물어봤대. 아파트 건축, 목조 건축, 서양 건축, 빨간 건축처럼 건축의 한 종류냐고.

 

그런데, 너 원래 이름이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가 아니었던 건 알고 있니? 원래 네 이름은 랜드스케이프 가드닝(landscape gardening)이었어. 근데 너희 할아버지는 그 이름이 너무 싫었던 거야. 물론 멋있는 정원사도 있었지. 그러면 뭐해. 정원사라고 하면, 다들 진딧물 잡아주고 잔가지 쳐주는 밥 아저씨를 떠올리는데, 그래서 개명한 거야. 친척들이 난리가 났지. 왜 이름을 멋대로 바꾸냐고. 일설에 의하면 너희 할아버지가 아니라 할머니인 복스(Calvert Vaux)가 그랬다는 설도 있는데, 일단 할아버지인 옴스테드가 모든 책임을 지기로 한 거지. 어쨌든 친척 할머니 중 반 렌셀러(Mariana Griswold Van Rensselaer)라고 목소리 큰 분이 있었는데, 새 이름을 엄청 싫어하셨대. 그래서 지금 이름이 낫다고 할아버지가 엄청 설득했다고 하더라고. 이름이 가드닝이면 평생 놀림 받는다고, 차라리 이름에 아키텍처가 들어가는 게 낫다고.

 

여기서 하나 궁금해질 거야. 왜 하필 남의 이름인 아키텍처를 가져다 썼을까? 그래 너랑 친한 건축이. 걔 이름이 아키텍처야. 걔가 원래 너희 할아버지 친구 손자였거든. 원래 그 집안도 별 볼일 없었어. 할아버지는 석공에, 아버지는 목수였거든. 그런데 얘가 커서 엄청 잘 나가는 거야. 부잣집 애들하고 같이 놀고 잘 나가는 예술가들도 인정해주고. 그래서 옴스테드 할아버지도 네가 그렇게 되기를 원했던 거지. 네가 어릴 때 맨날 형, 형 하면서 건축이 쫓아다녔잖아. 맨날 걔 말투도 따라 하고, 똑같아지고 싶거든. 그 사람의 자리, 위치까지 말이지. 이런 걸 상징적 동일시라고 해.

 

하지만 무슨 짓을 하더라도 완전히 똑같아질 수는 없지. 넌 건축이가 아니니까. 그런데 건축이가 진짜 무서운 애거든. 얘가 뜨니까 석공이었던 걔네 할아버지, 목수였던 아버지까지 무시하고 모르는 사람 취급했거든. 그게 근사한 직업은 아니니까 좀 창피했던 거야. 그러다 보니 걔네 할아버지랑 친했던 너희 집도 완전히 무시했어. 정원사나, 목수나, 석공이나 고상해 보이진 않았거든. 그런데 막상 너로서는 그게 안 되지. 건축이랑 똑같아지려니깐 너의 근본을 부정해야 하고, 그렇다고 따라 하려는 걸 이제 그만두려니까 이름도 바꿔가면서 건축이를 롤 모델로 살아온 너의 과거도 부정해야 하고,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게 된 거지. 너는 지금까지 건축이의 욕망을 네 욕망인 줄 알고 살아왔단 말이야. 그런데 막상 그 욕망이 네 것이 될 수 없다는 걸 깨달을 때는 이미 너의 고유한 욕망은 없는 거지.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면서 살아왔는데, 그것이 내 것이 될 수 없다는 걸 깨달았을 때 나타나는 게 히스테리야. 네 이름이 싫은 건 바로 전형적인 히스테리의 증상인 거지.

 

재미있는 건 네 한국 이름 조경은 엄밀히 말해서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의 번역어가 아니야. 뜻은 통하긴 하지만 사실은 다른 말이지. 번역하자면 경관 건축이 되어야 하잖아. 영어는 두 단어인데, 네 한국 이름이 한 단어인 것을 봐도 이건 완전히 다른 거지. 더 재미있는 건 뭔지 알아? 조경은 한국 전문 분야 이름 중에 거의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쓰는 이름이야. 일본에선 조원, 중국에서는 원림이라고 하거든. 한국 사람 대부분은 일본도 싫어하고 일본 이름은 더더욱 싫어하는 거 잘 알 거야. 

 

그런데 지금 우리가 쓰는 전문 분야의 이름들은 100년 전에 만든 새로운 일본어거든. 도시, 공간, 윤리, 사회, 민주. 지금 우리가 쓰는 전문 용어는 전부 서양어를 번역한 일본어인거지. 건축만 하더라도 원래 일본에서는 조가(造家)라고 했어. 그런데 바꿨어, 건축으로. 왜냐하면 제대로 된 서양 번역어가 아니었으니까. 일종의 콤플렉스였거든, 일본이 한번 서양이랑 붙었는데 도저히 이길 수 없단 걸 깨달아. 그래서 일본은 철저히 동양은 열등하고 서양은 우월하다고 생각하게 돼. 아예 일본을 서양의 국가로 만들려고 하지. 그러니깐 원래 자신들이 쓰던 말은 열등한 것이고 서양의 말은 우월하게 되어버려. 그래서 요즘의 일본 조경가들은 원래 자신들이 쓰던 조원이란 이름 대신 서양 그대로의 란도스케푸(ランドスケープ)라는 이름을 쓴다고 해. 타인의 욕망을 욕망할 때 나타나는 증세가 뭐라고 했지? 맞아, 이것도 일종의 히스테리야.

 

그런데 히스테리라고 해서 너무 걱정할 것은 없어. 너만 그런 게 아니니까. 대부분의 한국 전문 분야의 이름들은 죄다 히스테리 증세를 수반하거든. 그것도 이중의 콤플렉스로 인한 히스테리 증세가 나타난 거지. 첫째는 서양의 이름을 욕망해야 하는 히스테리. 둘째는 서양의 것을 욕망해야 하는 일본의 이름을 욕망하는 히스테리. 그런데 조경은 영어 이름의 번역어도 아니고, 일본어도 아니야. 완벽히 너의 고유한 이름이야.

 

그런데 웃긴 건 뭔지 알아? 너는 너 혼자 콤플렉스가 없는 것이 또 콤플렉스가 되는 거야. 남들은 콤플렉스가 두 개나 있는데, 나는 왜 없지? 나도 서양 이름 제대로 따라 하고 싶고, 멋있는 일본어 이름이면 좋겠는 데 나만 내 이름이야. 그런데 막상 그 서양 이름을 보면 남의 이름을 따라 한 거야. 따라 해도 콤플렉스, 안 따라 해도 콤플렉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좋냐고? 지젝(Slavoj Žižek) 형이 한 말이 있어.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그냥 살아. 정 이름이 짜증나서 못 살겠다면, 알렉산더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 더 매그너스로 이름을 바꾸든가. 

 

너는 지금 네 이름이 진짜 너를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지? 너는 호랑이인데 이름이 야옹이인 것처럼 말이야. 그런데 이게 이름과 본질의 문제가 아니거든. 저기 꼬리를 흔들고 있는 동물이 뭐지? 그래, 멍멍이야. 여기 노랗고 두툼하게 생긴 건 뭐지? 명란 계란말이지. 그런데 넌 뭐지? 이 질문을 던지는 너는 멍멍이, 명란 계란말이랑은 달라. 쟤네는 그거라고 부르는 이름이 기표고, 그 대상이 기의야. 그런데 넌 그렇게 기호화가 되지 않아. 너는 이름도 아니고 대상도 아니지. 넌 주체야. 네 가 주체라는 점이 개, 계란말이랑 다른 점이야. 그런데 주체가 뭐냐고? 위대하신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형이 “주체는 세상과 본질 사이의 거리다”라고 말씀하셨지. 거리가 뭐지? 그치, 아무것도 아니지. 그래서 주체는 빈자리의 형식에 불과해. 이 비어 있는 주체의 자리가 바로 너야.

 

보통 사람들은 대상이 있으면 이름이 있고 대상과 이름이 합쳐지면 기호가 된다고 생각해. 아니거든. 세상이 그렇게 단순하면 왜 히스테리 증세가 나타나고 강박증이라는 게 있겠냐. 의미는 소급적으로 발생해.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그때 그게 그런 의미였다고 알게 되는 거라고. 지금은 그게 무슨 의미인지를 몰라. 첫사랑은 나중에 보니까 그게 첫사랑인 거야. 더 쉽게 이야기해줄게. 엄마를 한 번 생각해봐. 떠오르는 엄마의 의미가 있지? 5살 나 혼내던 우리 엄마, 19살 수험생 뒷바라지하던 우리 엄마, 22살 군대 갔을 때 울었던 우리 엄마. 지금 네가 생각하는 엄마의 의미는 지금의 네가 예전의 기표를 관통하면서 생기는 거야. 과거 기억의 산물인 거지. 결국 모든 의미는 사후에 만들어질 수 밖에 없어.

 

young 01.jpg
자크 라캉의 그래프

 

라캉(Jacques Lacan) 형님이 『에크리(Ecrits)』(1966)에 그렸던 그래프를 그대로 그려볼게. 가로지르는 S는 이름이야, 이게 기표지. 이름은 그냥 그 자체로 아무런 의미가 없어. 그런데 어떤 상징을 거치기 전의 주체 △가 기표를 관통해. 소급적으로 말이야. △가 기표 S를 관통하는 그 지점에서

의미가 발생해. △가 관통한 기표는 뭔가 달라져. 동일한 S인데, 의미가 만들어지고 다른 S'가 되어버리는 거야. 이 과정을 거쳐서 규정되지 않았던 주체 이전의 주체인 △는 시간을 거꾸로 거슬러 가서 비로소 주체 S'가 되는 거지. 그런데 그 주체는 빗금이 쳐져 있어. 뭔가 결여된 주체라는 뜻이야. 빗금이 지워진 완벽한 주체는 현실에서 존재할 수가 없어. 그래서 주체인 이상 결여가 있을 수밖에 없는 건데, 결여는 주체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잃어 버려야 할 무언가야. 그리고 그 잃어버린 것은 반드시 증상을 수반해.

 

그러니까 네 이름이 변변찮아서 너의 진짜 의미가 가려지는 게 아니라는 말이지. 오히려 네가 과거의 이름 S를 소급하면서, 지금의 너 때문에 멀쩡한 이름 S'가 후져지는 거야. 어떻게 이름의 콤플렉스에서 벗어날 수 있냐고? 불가능하지. 그건 주체의 조건이기 때문이야. 완벽한 주체는 애초부터 있을 수도 없어. 무엇인가를 결여해야 주체가 되는 거니까. 그래서 그냥 살아가라는 거야. 네 이름이 알렉산더 라인하르트 폰로엔그람 더 매그너스가 되어도 결국 넌 열등감 덩어리일 수밖에 없어. 네가 잘났다고 생각하는 건축이라고 자기 이름이 다 완벽하게 마음에드는 줄 알어? 걔도 정신적으로 고민이 많아. 너랑은 좀 다른 문제이지만, 이제 유일하게 남은 길은 열등감을 너의 원동력으로 만드는 거지. 다시 한 번 더 말해 줄게. 그냥 즐겨, 너의 열등감을. 그 징후를.1

 

각주 1. 이 글과 관련한 상세한 이론적 분석과 참고 문헌들은 다음 글에서 참조하기 바란다. 김영민, “건축의 얼굴”, 『건축평단』 12호, 2017, pp.12~36. 


김영민은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이며, 세종상징광장, 광화문광장, 파리공원 재설계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주요 설계자로 참여했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번역했으며, 『스튜디오 201, 다르게 디자인하기』를 비롯한 다수의 저서를 펴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