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편집자들] 100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의 경계를 넘어, 조경 속으로
  • 환경과조경 2021년 5월


lak397_feature-0-전체-16.jpg

 

수화기 너머로 윤정훈 기자가 원고 청탁의 운도 떼기 전에 이번 원고는 무조건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환경과조경에 다닐 때부터 OB 에디터 특집은 남기준 편집장이 종종 비장의 카드로 만지작거리던 회심의 한 방이었다. 이 이야기가 나오면 매달 특집 이슈를 발굴해내느라 지쳐 있던 편집부 풍경에도 화색이 돌았다. 환경과조경을 거쳐간 전설(?) 같은 에디터 중에 누구를 섭외할지 웃음꽃을 피우며 한창 이야기 하다가도, 언젠가 맞이할 400호 특집을 기약하며 아쉬운 마음으로 기획을 접곤 했다. 메마른 편집 회의의 분위기를 생각만으로 화기애애하게 만들었던 특집에 섭외되다니 반갑고도 영광스러운 일이다. 기대와 초조가 반쯤 뒤섞인 마음으로 메일함을 열던 에디터의 마음으로 돌아가 그 시절 나를 가장 설레게 한 연재 두 꼭지를 꼽았다.

 

100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고정희 박사의 ‘100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20141월호~201612월호)는 국어국문학를 전공해 조경에 무지했던 나를 조경 전문 잡지 에디터로서 성장하게 해준 연재다. ‘100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는 특히 대학생 독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필자의 재치 있는 입담과 해박한 지식을 따라가다 보면, 나같이 조경에 입문하는 사람도 조경이 무엇을 연구하는 학문인지, 어떻게 오늘날에 이르게 됐는지, 그리고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읽는 재미가 있었다. 고정희 박사는 이야기를 이야기답게만드는 탁월한 구성력을 갖춘 이야기꾼이었다. 그는 100장면의 제목과 주제를 미리 기획하고 연재를 시작했는데, 얼마나 치밀하게 이야기를 구성했는지 장장 3년에 걸쳐 연재하는 동안 처음 기획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았다. (후략)

 

환경과조경 397(2021년 5월호수록본 일부

 

조한결은 기술과 예술 사이에서 무언가 아름다운 것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믿는다. 서강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환경과조경에서 에디터로 일했다. 새로운 배움을 찾아 서강대학교 대학원 아트&테크놀로지학과에 진학하며 뮤지엄 테크놀로지를 연구했다. 현재는 양평군립미술관에서 교육·전시기획 학예사로 일하며 미디어아트 웹진 ‘앨리스온’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