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예술, 자연, 놀이의 공존
‘MMCA 예술놀이마당’ 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6월 27일까지
  • 환경과조경 2021년 3월
lak395(2020년3월호)_웹용-115.jpg
김도희·최재혁, ‘예술가의 밭–산고랑길’, 흙, 파니쿰 레흐브라운, 참억새 그라실리무스, 참억새 아다지오, 2020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


참여하는 미술관, 지붕 없는 미술관

서울대공원 안에 있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이하 과천관)은 고즈넉한 자연에 둘러싸여 있다. 미술관 앞쪽으로는 대공원의 너른 녹지와 과천저수지가 펼쳐지고, 배경에는 청계산자락의 풍성한 녹음이 가득하다. 지난해 1014일 개최된 ‘MMCA 예술놀이마당은 이 같은 과천관의 입지적 장점을 더욱 부각하는 프로젝트다. 미술관 앞마당과 건물 옥상에 예술, 자연, 놀이를 주제로 한 자연 속 예술 놀이 공간을 조성하고 연계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예술의 장소이자 공공의 장소인 미술관 앞마당을 생태적 공간으로서, 관조가 아닌 참여하고 경험할 수 있는 미술관으로 변모시킴으로써 참여하는 미술관, 지붕 없는 미술관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자연 속 예술 놀이 공간

‘MMCA 예술놀이마당은 예술가의 밭, 예술마루, 솔내음길, 하늘지붕으로 구성된다. 예술가의 밭은 자연의 성장과 변화를 다루는 공간으로, 예술과 자연, 예술과 생태를 성찰하고자 농사, 재배라는 특성에 주목한다. 김도희는 자연이 스스로를 만들고 가꾸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매개체로 산고랑길을 택했다. 과천의 흙, 경상남도 하동의 적황토, 충청남도 보령의 황토, 경상북도 낙동강의 모래, 밭의 흙이 예술가의 밭.산고랑길의 재료다. 흙은 다채로운 자연의 색을 보여주고 환경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며 생명력과 대지의 힘을 느끼게 한다. 일렁이는 파도를 닮은 이랑의 구조는 자연의 특성인 순환과 연결을 드러내는 요소이기도 하다.

 

최재혁(오픈니스 스튜디오 대표)은 산고랑길을 따라 자연과 식물이 머무는 공간과 경작의 공간을 조성했다. 갈대를 따라 이어진 길을 거닐며 자연의 예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되새기고, 경작지에서는 도시에서 보기 어려운 작물의 재배와 수확의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예술가의 밭 옆으로 이어지는 예술마루는 커다란 느티나무가 그늘을 드리우는 일종의 예술적 쉼터다. 이곳에서 식물을 관찰하며 수집한 자연 재료로 다양한 놀이 활동을 즐기고, 자연 속 다양한 조형 요소와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예술마루 한복판에 놓인 세 개의 기둥은 쉼터이자 놀이 공간으로 인식되는 장소 특정적 설치 작품이다. 김주현은 프랙털fractal, 카오스, 복잡성과 같은 현대 과학의 사유를 조각으로 가시화해온 작가다. 이번 전시에서는 위상 수학의 기본 개념인 도넛 모양의 토러스torus를 응용해 세 개의 기둥이 유기적으로 엉켜 있는 듯한 파빌리온을 만들었다. (중략)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