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그리는, 조경] 하늘에서 내려다보기
  • 환경과조경 2019년 8월

 

 

lak376(2019년8월호)_웹용-89.jpg
그림 1. 서울시 영상 지도, 국토지리정보원(출처: http://map.ngii.go.kr)
 
lak376(2019년8월호)_웹용-90.jpg
그림 2. Gaspard-Felix Tournachon, Aerial View of Paris: Arc de Triomphe, 1868(출처: 그림 2.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Nadar,_Aerial_view_of_Paris,_1868.jpg)

 

 

 

한눈에 아래를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는 관광지의 인기 장소다. 지상을 거닐다 같은 장소를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면 묘한 감정에 휩싸인다. 아등바등 치열히 살아가던 삶이 미니어처가 되어버린 광경을 보고 누군가는 인생의 덧없음을 느낄 것이다. 또 누군가는 마침내 이곳을 모두 보았다는 성취감에 뿌듯할지도 모른다. 후자의 감정은 높은 곳에서 장소를 내려다보는 행위가 지닌 우월감과 뒤섞여 있다. 전망의 특권, 그것은 장소에 대한 소유와 지배의 감각과도 연결된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시점, 즉 공중 뷰(aerial view)는 생활 곳곳에 침투해 있다. 전망 좋은 음식점이나 아파트 등의 실제 공간은 물론이고,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영상 지도 서비스 같은 시각 이미지를 통해서도 우리는 새의 시점, 즉 조감(bird’s eye view)의 주체가 된다(그림 1). 이 시점은 움직이기도 한다. 자연과 도시를 항공 촬영한 다큐멘터리, 게임, 영화, 각종 모델링 소프트웨어의 플라이스루(flythrough)는 세상을 내려다보면서 항해하는(navigating) 희열을 제공한다. 조경 설계와 계획에서도 공중 뷰가 자주 이용된다. 항공 사진과 위성 사진을 이용해 대상지와 주변의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보이지 않는 여러 경관 데이터를 지도로 만들어(mapping) 대상지와 관련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기도 한다.

 

도시 스펙터클로서 공중 뷰

항공 사진은 도시와 자연 경관에 대한 스펙터클(spectacle)을 제공하고, 그리하여 경관 설계와 계획에도 자주 활용되어 왔다. 최초의 항공 사진은 1858년 프랑스 사진가이자 열기구 조종사였던 가스파르 펠릭스 투르나숑(Gaspard-Felix Tournachon)(1820~1910, 일명 나다르Nadar)이 열기구에 탑승해 파리 시가지를 촬영한 것이다. 십 년 후 나다르가 포착한 파리의 공중 뷰는 오스만(Haussmann)의 파리 도시 개조 프로젝트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그림 2). 개선문을 중심으로 시원하게 뻗은 방사선의 대로, 하수관, 공원, 토목 구조물을 포함하는 도시 인프라스트럭처의 질서와 이들의 관계를 짐작하게 한다.1


같은 시대 도시의 공중 뷰는 손으로도 그려졌다. 공중 뷰는 높은 곳에서 바라본 시점이므로 작은 공간보다 대규모 도시를 바라보고 시각화하는 데 적절했다. 높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더 넓은 장소를 한눈에 볼 수 있었다. 카메라 발명 이전에도 이미 인간은 하늘에 올라 도시를 내려다보았다. 18세기 후반 인간은 열기구를 타고 하늘에 올라 도시를 조감했다(그림 3). 도시가 발전하면서 도시 조감도도 많이 생산되었다. 공중 뷰는 도시를 시각화하고 대중에게 소비되는, 말하자면 도시를 향유하는 방법 중 하나였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6호(2019년 8월호) 수록본 일부

 

 

각주 1. Charles Waldheim, Landscape as Urba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배정한·심지수 역경관이 만드는 도시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과 실천도서출판 한숲, 2018, p.175.

 

이명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경 설계와 계획, 역사와 이론, 비평에 두루 관심을 가지고 있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는 조경 드로잉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현대 조경 설계 실무와 교육에서 디지털 드로잉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고, 현재는 조경 설계에서 산업 폐허의 활용 양상, 조경 아카이브 구축, 20세기 전후의 한국 조경사를 깊숙이 들여다보고 있다. 가천대학교와 원광대학교, 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조경비평 봄’과 ‘조경연구회 보라(BoLA)’의 회원으로도 활동한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