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공간 공감] 합천영상테마파크
  • 환경과조경 2015년 3월
JWJ_001.JPG
합천영상테마파크 안에 들어서면 바깥 세상을 잊고 오로지 기획자가 준비한 주제에 몰입하게 된다. 외부 경관의 간섭을 찾아볼 수 없는 위요된 공간 속의 도시는 확연히 무대로서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정욱주

 

 

 

이번 달의 대상지는 합천영상테마파크다. 천만 흥행영화 ‘태극기 휘날리며’를 촬영할 목적으로 조성된 곳으로, 이후 근현대를 배경으로 한 여러 영화와 드라마의 촬영 장소로 쓰이고 있다. ‘공간 공감’은 주로 외부공간을 설계적 언어로 풀이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질적 관점보다는 독특한 공간 성격에 대한 단상을 모아보았다.

영화 세트장은 기본적으로 내부 지향적이다. 이 공간안에 들어서면 바깥 세상을 잊고 오로지 기획자가 준비한 주제에만 몰입하게 된다. 차경에 익숙한 조경가에게는 당황스러운 면이 없지 않다. 외부 경관의 간섭을 찾아볼 수 없는 위요된 공간 속의 도시는 확연히 무대로서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방문객들은 이 페이크fake의 경관과 디테일에 몰입할수록 공간에 빠져드는 재미를 느끼게 된다. 오래된 건축물의 파사드, 간판, 전봇대, 벽보, 낡은 가로등에 이르기까지 특정 시대를 재현하기 위해 신경 쓴 요소들이 즐비하다. 이러한 페이크의 소품은 영상물의 시대 고증과 무대 미술 수준을 드러내며, 동시에 방문객에게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장치가 된다. 국립민속박물관 내의 추억의 거리와 유사한 전시 콘셉트라고 할 수 있다. 몰입과 페이크의 경관 외에도 이곳은 시간과 생활의 축적에 의한 장소성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연출된 1960~70년대 풍경이 향수를 자극하지만 사람들이 이용하지 않는 공간이기에 공허한 느낌마저 전해진다. 카메라 프레임 안에서는 살아 움직이는 배경이지만 실제 풍경에선 그러한 느낌을 가질 수 없는, 확실히 2D를 위한 공간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특정 드라마나 영화에 의해 부여되었던 장소성이 약화된다고도 할 수 있다. 새로운 장소성은 또 다른 영화나 드라마에 의해서 충전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계속 촬영 장소로 활용되면 장소의 생명력이 유지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폐허가 되기 십상이다.

 

 

정욱주는 이 연재를 위해 작은 모임을 구성했다. 글쓴이 외에 factory L의 이홍선 소장, KnL 환경디자인 스튜디오의 김용택 소장, 디자인 스튜디오 loci의 박승진 소장 그리고 서울시립대학교의 김아연 교수 등 다섯 명의 조경가가 의기투합했고, 새로운 대상지 선정을 위해 무심코 지나치던 작은 공간들을 세밀한 렌즈로 다시 들여다보고 있는 중이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