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셀가스카노의 서펜타인 파빌리온 2015
런던 하이드파크, 2015.6.25~10.18
  • 김정은
  • 환경과조경 2015년 9월
serpentine_2015_sca_3509.jpg
‘런던에 상륙한 사이키델릭 번데기’, ‘무지갯빛 애벌레’ 등은 올해 서펜타인 파빌리온에 따라붙는 수식어다. ⓒIwan Baan

 

‘런던에 상륙한 사이키델릭 번데기’, ‘무지갯빛 애벌레’등은 올해 서펜타인 파빌리온에 따라붙는 수식어다. 서펜타인 파빌리온은 런던 하이드파크 내 위치한 현대미술관인 서펜타인 갤러리에서 매년 여름 세계적인 건축가를 초청해 선보이는 한시적인 건축 프로젝트다. 요약하자면 낮에는 카페로 쓰이고 밤에는 포럼이나 오락을 위해 활용되는 300m2 면적의 파빌리온을 세워 약 4개월가량 대중에게 공개하는 것이다. 서펜타인 갤러리 측은 올해의 파빌리온을 지을 초청 건축가로 스페인의 건축 스튜디오 셀가스카노selgascano를 선정했다. 재미있는 디자인playful design과 대담한 색채 사용이 특징인 이들 신예 건축가가 완성한 파빌리온은 건축의 본질에 대한 의문을 던지며 엇갈린 평가를 받고 있다.


한없이 가벼운 디자인

이번 파빌리온은 마치 두 마리 애벌레를 X자 형태로 겹쳐 놓은 듯한 모습인데, 스틸 프레임을 사탕 포장지같은 얇은 막과 리본이 이중으로 감싸고 있는 모습이다. 이 다채로운 색깔의 이중 외피는 반투명한 플라스틱인 불소수지필름(ETFE: 콘월에 있는 온실인 에덴 프로젝트를 덮고 있는 재료)으로 만들어졌다. 방문객들은 파빌리온의 여러 구멍을 통해 자유롭게 들어가고 나갈 수 있으며, 구조물의 외부와 내부 레이어 사이의 ‘비밀 통로secret corridor’를 통과할 수도 있다. 건축가는 대상지 자체에서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런던에서 이동하는 방식에서 이 작업의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특히 레이어가 많아서 혼돈스럽지만 구조화된 흐름을 보여주는 런던의 지하철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영국의 왕립 공원에 번데기 모양의 파빌리온을 만든 셀가스카노는 부부 건축가인 호세 가스José Selgas와 루시아 카노Lucía Cano가 1998년 마드리드에서 설립한 건축설계사무소다. 셀가스카노의 작업은 건축에서 드물게 쓰이는 합성 재료synthetic materials나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은 독특한 색채와 자연을 참조하는 디자인을 추구했던 건축가 루이스 바라간Luis Barragan이나 리차드 로저스Richard Rogers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스스로를 설명한다. 셀가스카노는 대중이 “구조, 빛, 투명성, 그림자, 가벼움, 형태, 예민함, 변화, 놀람, 색채 그리고 재료와 같은 단순한 요소를 통해 건축을 경험”하길 바랐다. 그 결과 탄생한 파빌리온의 “각 출입구는 색채와 빛 그리고 놀라운 형태의 공간을 통해 특별한 여행을 허락한다.”

서펜타인 갤러리의 디렉터인 줄리아 페이튼-존스Julia Peyton-Jones는 한 인터뷰에서 이번 파빌리온이 “여름내내 사람들이 만나고 커피를 마시고 생생한 이벤트가 펼쳐지는 장소”라며, 올해의 프로젝트가 ‘파티 파빌리온’이 되기를 희망했다고 했다. 서펜타인 갤러리는 매년 여름 금요일을 택해 서펜타인 파빌리온에서 열리는 이벤트 무대인 ‘공원의 밤Park Nights’을 기획해왔다. 올해 프로그램으로는 음악, 공연, 토크, 영화상영 등이 있다. 이러한 시즌은 서펜타인 갤러리의 공동 디렉터인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Hans Ulrich Obrist가 매년 10월 진행하는 마라톤 행사와 함께 절정을 이룬다. 실제 올해 파빌리온의 심장부는 카페와 같이 사람들이 모이는 오픈스페이스다. 영국의 홍차 전문 브랜드인 포트넘앤 매이슨Fortum & Mason은 파빌리온 내에 베이스를 차리고 아이스크림 카트를 운영하고 있다. 방문객들은 파빌리온에서 아이스크림뿐만 아니라 이 브랜드를 유명하게 만든 애프터눈티 세트인 햄퍼링Hamperling도 즐길 수 있다.

이들의 디자인 의도는 매혹적으로 작동한다. 화창한 날이면 파빌리온의 벽과 바닥은 마치 스테인드글라스처럼 빛에 의해 몽롱한 색깔이 어른거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밤이 되면 파빌리온 내부의 조명에 무지개처럼 (혹은 신호등처럼) 빛나는 ‘번데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미 이곳은 “인스타그래머들의 파라다이스”가 되었다. 사진 공유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인 인스타그램instagram에서는 이 형형색색의 빛을 발하는 동굴 같은 공간을 배경으로 다양한 포즈를 취한 수많은 사람들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셀가스 역시 사진 재생이 파빌리온의 핵심 부분임을 인정했다.1


재미와 기능 사이

셀가스카노의 파빌리온은 투명성과 가벼움은 확보했으나 디테일과 안전 문제에 대한 지적은 면하지 못했다. 사실 리본 테이프가 스틸 프레임에 아슬아슬하게 엮여 있는 모습은 미덥지 않다. 비가 내리거나 바람이 불면 이 장난기 넘치지만 연약한 구조물이 자신의 모습을 지킬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드는 것이다.2 그래서 건축의 기본적인 기능을 충족시키기 못하는 이 파빌리온은 ‘건축architecture’이 아니라 ‘사물thing’이라는 비판을 불러 오기도 한다. 한 건축 비평가는 “신은 디테일 안에 있다God is in the details”는 미스 반 데어 로에 Mies van der Rohe의 경구를 떠올리며, “이 파빌리온은 6개월 동안 디자인되고 완성되는, 툭 등장했다 사라지는 재미있는 궁전이며 건축적 미덕은 아무래도 상관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3 반면 셀가스와 카노는 이 파빌리온이 완성된 건물이 아니라 진행 중인 작업이라고 설명한다. 그들은 파빌리온 프로젝트가 “완벽하고 세련된 보석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재료의 한계를 끝까지 밀어붙여 실험하는 기회”라는 생각을 피력했다. 그러나 이번 서펜타인 파빌리온의 디자인에 대한 일각의 비판(즉 디테일이 결여되었다거나 조잡하다는 평가)은 일부 짧은 조성 기간이나 제한된 예산 등의 기본 조건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도 있다. 실제 셀가스는 한 인터뷰에서 제작비와 시간 부족으로 한 가지 재료만을 사용하려던 원래 계획을 변경했다고 밝히기도 했다.4

서펜타인 파빌리온 프로젝트는 건축가 초청부터 완성까지 최대 6개월을 넘지 않는다는 독특한 형식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 프로젝트를 위한 예산은 없다. 파빌리온의 조성 비용은 후원―올해의 주요 후원은 국제적 금융기업인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가 했다―이나 현물지원, 그리고 완성된 구조물의 판매를 통해 충당된다. 그러나 이 판매 금액은 전체 비용의 40%를 넘지 않아야 한다. 이미 스밀랸 라디치Smiljan Radi 의 2014년 파빌리온은 하우저 앤 워스 갤러리Hauser & Wirth art gallery로 옮겨졌다. 올해의 파빌리온도 세컨드 홈Second Home에 팔려 LA에서 두 번째 삶을 시작할 예정이다. 경비는 많이 들지만 수명은 짧은 서펜타인 파빌리온은 상당한 모금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이 좀더 스펙터클하고 오락적 성격을 강화한 구조물을 만들도록 압력을 가한다는 주장5도 설득력을 가진다. 영구적으로 지속되는 실제 프로젝트에 비해 훨씬 더 실험적인 기회를 제공한다는 파빌리온 프로젝트는, 제작비 조달의 한계 앞에서 스폰서를 위한 기능 위주의, 수집 가능한 작품으로 만들어지는 역설적인 결과를 낳을 수도 있는 것이다.


실험적인 공공 프로젝트의 가치

서펜타인 파빌리온은 지난 2000년 서펜타인 갤러리의 후원금 모금 파티를 위해 자하 하디드Zaha Hadid에게 설계를 의뢰한 임시 야외 천막이 예상 외로 인기를 얻으면서 연례행사로 발전한 것이다. 당시만 해도 이런 일시적인 프로젝트는 드문 일이었고, 서펜타인 갤러리는 파빌리온 시리즈를 통해 영국 안팎에서 현대미술을 선도하는 공공 갤러리로 거듭날 수 있었다. 파빌리온 프로젝트의 혁신성은 지속적으로 건축 실무의 영토를 넓혀 왔지만 영국에서는 작업하지 않았던 신진 건축가를 초청하는 작가 선정 기준에서 찾을 수 있다. 물론 그간 렘 쿨하스Rem Koolhaas, 프랭크 게리Frank Gehry, 오스카 니마이어Oscar Niemeyer 등 스타 건축가들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그러나 2013년의 소우 후지모토Sou Fujimoto, 2014년의 스밀랸 라디치 그리고 올해 셀가스카노 등은 고국 밖에서의 작업이 드문,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건축가들이다. 이들은 연간 30만 명이 방문하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활동의 범위를 국제적으로 확장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이 파빌리온이 예술과 사회·문화적인 행사들과 결합되며 대중과의 신선한 만남을 주선한다는 점도 성공의 요인이다. 그러나 어느덧 15주년을 맞이하는 서펜타인 파빌리온 프로젝트의 문제점 역시 지적되는 최근, 혹자는 서펜타인 파빌리온 시리즈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제 갤러리의 앞마당을 넘어, 좀더 다양한 경계에 있는 디자인을 지원해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번 파빌리온이 재료의 새로운 지평을 탐색하는 혁신적이고 매혹적인 건축인지 혹은 한시적이고 불완전한 그 무엇에 불과한지는 논쟁거리다. 그러나 이 작품의 가장 큰 미덕은 건축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하고, 보다많은 사람들에게 건축에 대한 관심을 환기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의 후원을 받기 위해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며 건축의 본질을 탐구하는 서펜타인 파빌리온 프로젝트의 공공적 가치는 아직 유효한듯하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