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에디토리얼] 인류세의 조경, 작은 실천을 향한 첫걸음 12
  • 환경과조경 2023년 02월

겨울이 매년 더 추워지고 있다. 추워도 너무 춥다. 한반도의 겨울에 한파가 찾아오는 건 계절 변화에 따른 일반적 현상이지만 전 지구적 기후변화의 여파로 겨울 추위가 갈수록 심해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구 온난화로 녹은 해빙과 한반도 주변 해수 온도 상승으로 인해 북극 한파가 남하하기 좋은 조건이 형성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 해수면 상승, 생물 다양성 감소, 물 부족, 자원과 에너지 고갈 등 서로 연결된 복합적 난제가 지구와 인류의 운명에 검은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2020년 여름, 역사상 최고를 기록한 미국 캘리포니아의 이상 기온은 한국 면적의 20퍼센트에 달하는 땅을 불태웠다. 2021년 중국 허난성에는 1,000년 만에 최대량의 폭우가 쏟아졌다. 기후 재난과 더불어 코로나19 팬데믹은 과도하게 커진 인류의 힘과 감당할 수 없는 욕망으로 인해 지구 시스템의 균형이 붕괴되었다는 점을 실감하게 했다.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드러내고 있는 지구 환경의 다층적 변화와 균열은 지난 1만 년의 홀로세(Holocene)가 끝나고 이른바 ‘인류세’라고 지칭되는 새로운 지질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을 알린다.

 

‘인류(anthropos)’와 지질학의 시대 구분 ‘세(-cene)’를 합친 말 ‘인류세(Anthropocene)’는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파울 크뤼천(Paul Crutzen)이 2000년에 제안한 이후 이 시대의 새로운 화두가 됐다. 인류세는 인간이 지구 환경을 바꾸는 지질학적 힘이 된 시대, 다시 말해 지구 역사에서 과거 어떤 시대보다 지구 시스템에 미치는 인간의 영향력이 지배적인 시대 상황을 뜻한다. 지질학을 비롯한 지구과학에서 제기된 인류세 논의는 생태주의 환경 운동, 탄소 저감을 위한 지구공학, 환경 정책과 정치학, 탈탄소 경제학, 포스트휴머니즘과 탈인간중심주의, 신유물론, 마르크스 생태학, 인류세 페미니즘, 생태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의제로 확산되고 있다. 

 

인류세는 인류가 이룬 문명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상찬이 아니라, 지표면 형태의 변화, 종 다양성 감소, 기후변화 등 동시다발적 위기 상태가 낳은 지구 행성과 인간 삶의 절멸 상황에 대한 경고다. 지구의 여섯 번째 대멸종이 다가오고 있다는 어두운 전망이 속속 나온다. 하지만 인류세가 인류의 종말을 목도하는 시대가 될 수도 있다는 섬뜩한 경고가 이어지는데도 우리는 구체적인 행동과실천에 선뜻 나서지 않는다. 인류세 위기의 규모가 인간의 지각 범위를 뛰어넘기 때문에 인식과 실감이 어렵다는 게 가장 큰 이유라고 한다. 내가 죽고 난 뒤 먼 미래에 닥칠 일이라고 여긴다. 인류세의 위험은 치명적이지만 비가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당장 눈앞에 보이는 것과 실제 일어나고 있는 일 사이에 큰 인지적 부조화가 있는 것이다. 행동과 실천을 가로막는 또 다른 이유는 어차피 우리 힘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비관과 회의에 있다. 마치 타조가 평야에서 맹수나 사냥꾼을 만나면 모래에 머리를 파묻어버리는 것처럼 우리는 인류세의 위기를 외면하거나 회피하곤 한다.

 

이러한 인지 부조화와 회피의 문제를 넘어서려면 인류세 위기에 대한 일상적 관심을 촉발하고 공감하게 할 이야기와 상상력이 필요하다. 과학적 연구와 기술적 해법, 정책적 수단만으로는 행동과 실천을 끌어내기 힘들다. 엄청난 양의 빅데이터와 계산, 과학적 관찰과 모델링을 통한 사실 확인과 예측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새로운 상상력으로, 구체적인 공감의 서사로 번역할 수 있어야 피부에 와닿는다. 바로 이 지점에 인류세를 사는 조경가의 작은 역할이 자리한다.

 

이번 호 ‘어떤 디자인 오피스’ 스튜디오테라(대표 김아연) 편에서 인류세와 조경을 연결하는 소중한 접점을, 작지만 의미 있는 실천의 첫걸음을 만날 수 있다. 본문에서 따와 다시 싣는다. “팬데믹과 기후위기를 온몸으로 겪고 있는 지금, 다양한 정책적, 전문가적 해결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데, 이런 해결책들은 행정가, 정치인, 기업인, 전문가들의 영역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우리는 자연을 대하는 대중의 태도가 바뀌어야 비로소 이러한 정책들이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중 하나가 일상에서 자연을 더 잘 이해하고 자연에서 감동을 받고, 그래서 나와 자연을 이어주는 계기들을 계속 만들어가는 일일 것이다. 여기에 조경이라는 예술이 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이 있다. 자연이 가지는 본연의 예술성을 드러내는 일 혹은 자연을 예술적으로 체험하는 일이 궁극적으로는 인류가 자연을 대하는 태도를 서서히 변화시키리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경과 예술은 지구를 살리는 실천으로 만날 수 있고, 그 실천에 우리는 동참하고 있다”(113쪽).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