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모던스케이프] 관광의 목적
  • 환경과조경 2022년 10월

바야흐로 여행하기 좋은 계절이 돌아왔다. 피서와 달리 여행에는 방문과 경험이라는 적극적인 행위가 따른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탐험과 도전이 수반되는 여행, 벅차오르는 감동도 있지만 때로는 예기치 못한 고통스러움을 마주해야 할 때도 있다. 여행에 해당하는 travel의 어원은 travail(고통, 고난) 아니던가. 그에 반해 눈으로 보고 안다는 뜻으로 새겨진 관광(觀光)은 주체의 시선이 더 강조되는 단어다. 눈으로 확인하고 참관하며 견학하는 의미가 담긴 관광을 이야기할 때 17~18세기 영국에서 크게 유행한 그랜드 투어(Grand Tour)를 빼놓을 수 없다. 외딴 섬 영국에서는 사회가 안정되자 상류층 자제들을 대륙으로 보내 세련된 취향과 외국어를 학습하게 했는데, 결과적으로 보면 견문을 넓히고 지식을 확장하는 목적을 가진 그랜드 투어는 근대적 의미의 관광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 중반 영국인 토머스 쿡(Thomas Cook, 1808~1892)은 570명의 관광객을 모집하여 영국 레스터(Leicester)에서 러프버러(Loughborough)까지 이동하는 기차 여행을 시도했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때부터 관광은 서서히 오늘날 통용되는 보편적 개념으로 자리 매김했고, 관광의 목적 또한 교양을 학습하는 것을 넘어 위락과 휴식, 기분 전환 등 즐거운 경험을 누리는 데까지 확장됐다.

 

새로운 경험을 통해 선진 취향을 학습하고자 했던 그랜드 투어가 계몽주의적 측면에서 근대적이라면, 토머스 쿡의 기차 여행은 자본주의 시대에 급부상한 시민 계층을 여행객으로 흡수하고 산업혁명의 상징인 기차를 여행의 수단으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근대적이다. 그런데 관광의 대중화에는 각종 매체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컸다. 쿡이 그 시절에 수백 명의 여행객을 모집할 수 있었던 것도 광고라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때마침 급성장한 사진술과 인쇄술, 출판 기술 등 새로운 기술이 관광이라는 아이템과 엮이면서 엽서와 지도, 브로슈어 등 다양한 관광 안내물이 쏟아져 나왔고, 이러한 인쇄물은 다시금 관광의 대중화를 촉발하는 역할을 했다.

한반도에 근대 관광이 정착하게 된 양상은 표면적으로 서구와 닮았다. 개항 이후 왕족과 외교관  등의 관료들이 가장 먼저 해외 여행의 특권을 누렸고, 점차 선진 문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식인 계층을 중심으로 여행이 확산되었다.

 

travel 01.jpg
조선총독부 시정 5주년 기념 경성우편국 채화(彩畫) 엽서 한국은행 앞 교차로에 있던 경성우편국 건물은 화재로 소실됐고, 지금은 그 자리에 2007년에 신축한 서울중앙우체국이 있다.

 

 

travel 02.jpg
경성유람안내도(京城遊覽案內圖), 1928년경(서울역사박물관 소장) 경성 시가지를 부감으로 그려 한 화폭에 넣은 뒤 각 명소를 교통망과 함께 묘사한 일종의 관광 안내도다.

 

 

travel 03.jpg
부산을 중심으로 한 명소교통도회(釜山府を中心とせる名所交通圖繪) (출처: 吉田初三郞, 1929, 京都府立京都学·歴彩館デジタルアーカイブ) 요시다 하츠사부로는 일본 중세시대부터 내려오는 명소도(名所圖), 도중도(道中圖) 등 전통적 묘사 기법과 어안 렌즈와 유사한 광학 개념을 결합해 광활한 지역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단일 화면에 그려냈다.

 

 

환경과조경 414(2022년 10월호수록본 일부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여행과 관광으로 본 근대』, 두산동아 한국문화사 시리즈 22, 2008.

김선정, “관광 안내도로 본 근대 도시 경성: 1920~30년대 도해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33, 2017, pp.33~62.

한경수, “한국의 근대 전환기 관광(1880~1940)”, 『관광학연구』 29(2), 2005, pp.443~464.

阪野祐介·김윤환, “식민지도시 부산을 그린 요시다 하츠사부로(吉田初三郞)의 조감도(鳥瞰圖)와

타소표상(他所表象)”, 『문화역사지리』 33(2), 2021, pp.49~68.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