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편집자가 만난 문장들] 정신을 모르던 시답잖은 날들에 비하면 아름답다
  • 환경과조경 2022년 10월

“머리 비우는 데 등산만 한 게 없어.” 친구의 말에 서울 외곽을 향했다. 사실 말만 거창했지, 가방든 건 이온 음료 한 병이 전부. 낮은 산등성이에서 가벼운 산책을 즐길 생각이었다. 중간에 나타난 황구의 농락만 아니었다면 말이다. 누런 강아지는 산 인근에서 절밥을 얻어먹고 자란 것 같았다. 꼬리를 흔들어대더니 나와 내 친구가 마음에 든 건지 졸랑졸랑 쫓아와 가이드 시늉을 했다. 길 안내하듯 앞장서 걷다가, 우리가 뒤처진다 싶으면 뒤에 와 종아리 뒤를 콧등으로 밀며 걸음을 독촉했다. 정신을 차리니 바위산 한복판이었다. 칼바위능선, 얼마나 끔찍했는지 그 이름이 아직도 기억난다. 앞도 뒤도 모두 가파른 바위 언덕이었다.

 

그제야 전문 장비로 중무장한 등산객들이 러닝화에 장갑 하나 없는 우리를 보며 혀를 차고 있다는 걸 알았다. 다행히 나와 친구를 불쌍히 여긴 젊은 부부가 돌산 타는 법을 알려주었고, 봉우리를 향하는 길옆에서 산 아래로 향하는 계단을 발견했다. 여기까지 온 김에 꼭대기까지 가자는 말에 손사래를 치고 줄행랑을 쳤다. 지긋지긋한 바위산을 도망치듯 내려오며 자꾸 뒤를 돌아본 건, 우뚝 솟은 암반의 압도적인 수직 경관이 무서우면서도 신기했기 때문이었다. 자세히 보아야 아 름답다더니 거대한 암석 봉우리는 돌의 표면을 세세히 살피게 했다. 바람과 물이 남긴 흔적인지, 돌 위에 새겨진 잔주름을 발견하자 딱딱한 표면이 일렁이는 파도의 물결처럼 부드러워 보이기 시작했다.

 

얼마 전 광주에서는 길고 긴 수평선을 봤다. 제58차 세계조경가대회의 마지막 일정인 포스트 투어, 나는 순천과 낙안읍성을 향하는 코스에 인솔자로 동행했다. 피곤하기는 했지만, 순천만국가정원을 한 번도 안 가본 사실이 내심 부끄러웠던 참이었다. 늘 사진을 통해 조감으로 본 찰스 젱스의 언덕을 실제로 마주하니 텔레토비 동산처럼 귀엽기보다는 대릉원의 고분처럼 웅장했다. 굽이치는 언덕 사이로 난 길을 따라 여러 나라의 정원을 구경하다가 스카이 큐브에 올라탔다. 걷지 않아서 좋다며 박수를 짝짝 대며 창밖 풍경을 찍다 보니 너른 땅이 나타났다. 그렇게 만난 순천만 습지는 너무 넓고 아름다워서 겁이 났다. 태풍이 북상하는 중이라 세찬 바람이 불었는데, 그때마다 수십만 개의 잎이 부딪치며 내는 소리가 파도처럼 온몸을 덮쳤다. 앞뒤에 걷던 일행과 멀어지고, 그 공백을 바람과 잎 소리가 채울 때면 영화 ‘그래비티’ 주인공처럼 우주에 버려진 기분에 휩싸였다. 영원히 이 갈대숲을 헤매야 할 것 같은 공포감 말이다.

 

흔히 조경의 특징으로 살아있는 소재(식물)를 쓴다는 점을 꼽지만, 나는 지형을 다룬다는 점을 좋아한다. 조경설계는 결국 땅에서 출발한다. 평평하거나 갑자기 치솟거나 가파르게 내리막을 그리거나 물결처럼 일렁거리거나, 지형은 그 자체로 다양한 심상을 만든다. 지형은 만드는 게 아니라 원래부터 존재하는 것이기도 하다. 더불어 땅에는 시간이 담기기 마련이다. ‘지형도’를 지도의 한 종류가 아닌 어떤 은유로 사용하듯, 지형은 땅의 생김새를 넘어 역사나 문화, 어떤 맥락을 담은 것으로 이해된다.

 

그 지형의 아름다움이 서울이 아닌 곳에만 있는 줄 알았다. 서울에서 멀어질수록 빈 땅이 많아지고, 지형은 더욱 다채로워질 테니까. 그래서 “서울의 지형은 정말 환상적”이라는 렌조 피아노의 말에 급하게 주변을 둘러보았던 것이다.1 내로라하는 건 축가의 말에 혹한 것일까. 그의 말처럼 갑자기 서울이 구불구불하고, 푸른 산을 도심에서 볼 수 있고, 큰 강줄기를 끼고 있고, 바다가 가까운, 극도로 풍요로운 도시로 느껴지기 시작했다. 웬만한 곳에 서도 산등성이의 곡선을 볼 수 있고, 마음을 찡하게 하는 거대한 수평과 수직의 풍경은 없어도 오르락내리락하는 땅을 고불고불 가로지르는 골목길에서는 복잡다기한 도시사가 읽힌다.

 

좀 늦긴 했지만 발붙이고 있는 삶의 터가 아름답다는 걸 깨닫는 일은 꽤 즐거웠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표현은 너무 진부해서, 좋아하는 편지글의 일부를 빌려 왔다. “나는 정신을 2004년에 처음 만났다. 민선 언니 소개로 나간 자리였다. 난생 처음보는 한 작은 애가 시작부터 영롱한 무엇이었다. 완전히 달랐다. …… 어떤 해는 정신을 한 번도 못 보고 지나가도 정신을 모르던 시답잖은 날들에 비하면 아름답다.”2 [email protected]

 

각주 1. “세계적 건축가 KT 새 사옥, 12m ‘공중부양’”, 「중앙일보」 2021년 6월 16일.

각주 2. 홍진경, ‘정신 생일을 축하해’, 2019년 9월 14일.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