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모던스케이프] 두 개의 공원, 독립공원과 탑골공원
  • 환경과조경 2022년 3월

대한제국기를 거치며 탑골공원과 독립공원, 두 개의 공원이 계획되었다. 자주적 시도였지만 미완에 그쳤고 공원을 매개로 근대화를 실천하려 했다는 점이 닮았다. 그런데 접근 방식이나 구현하고자 하는 내용은 사뭇 달라서 이 두 공원을 비교하듯 들여다보면 흥미로운 차이를 알 수 있다.

 

탑골공원보다 앞서 조성된 독립공원은 서재필, 윤치호 등 급진개화파 계열의 독립협회 회원들이 계획한 것으로, 1896년 7월에 발족하여 1898년 12월에 해산한 독립협회만큼이나 짧고 강렬하게 등장했던 공원이다. 공원은 돈의문 밖 무악재 너머 영은문(迎恩門)과 모화관(慕華館) 자리에 독립문, 독립관과 함께 계획되었는데, 그 위치가 의미심장하다. 영은문과 모화관은 조선이 중국 사신에 예를 갖추기 위해 만든 숙박 시설과 기념물로 건국 초기에 일찌감치 건설된 사대의 상징이었기 때문이다. 수백 년간 유지된 시설을 하루아침에 폐기 또는 용도 변경하겠다고 선포했으니 독립협회는 그들의 급진적(진보적) 성향만큼이나 강렬한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1896년 7월 2일자 「독립신문」 영문판에 실린 사설은 독립공원의 풍경과 쓰임을 다음과 같이 상상하고 있다. “…천변(무악천)에는 버드나무가 줄지어 서 있고 그 바로 아래에 멋진 길이 있어 마차와 자전거가 다닐 수 있다고 생각해보자. 실개천 옆 땅은 뒤편 언덕과 부드럽게 이어지고 여기저기에 심겨있는 관목과 낙엽수, 구불구불 나 있는 산책길과 도로는 우리에게 흡사 공원과 같은 장소를 제공해 줄 것이다. …… 이곳에는 반드시 한국군의 군악대를 위한 연주대(band-stand)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곳은 여가의 한 형태로 외국인이 선택한 몇 안 되는 목록에 추가될 수도 있겠다. 한국인에게는 정말 훌륭한 교화의 장이 될 것이다. 순수하게 미적인(aesthetic) 목적으로 마련한 땅을 보는 것, 아름답게 만들어지는 것, 그리고 그 아름다움을 즐기는 것은 그들에게 새로운 느낌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밋밋한 공리주의의 삶에 참으로 오아시스와 같은 장소가 될 것이다.”

 

modern 01.jpg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독립문과 모화관 원경. 1979년 성산로가 건설되면서 독립문은 영은문 주초와 함께 본래의 위치에서 북서쪽으로 70m 정도 이전했다. 1992년 서대문형무소 자리에 서대문독립공원 이 조성될 때 공원의 영역에 포함됐다. 모화관을 개수하여 독립협회의 사무소 및 집회장으로 사용했 던 독립관은 지금은 멸실되었고, 서대문독립공원에 있는 독립관은 1997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16.5× 12cm의 유리 건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modern 02.jpg
경성 독립관은 이후 송병준이 이끌었던 일진회가 소유하게 된다. 독립관 옆의 팔각 건물은 일진회의 강 연장인 국민연설대가 있던 곳이다. 『한국풍속풍경사진첩』, 경성일한서방, 1910 (제공: 서울역사아카이 브)

 

 

참고문헌

하시모토 세리, 『한국 근대공원의 형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이나미, “개화파의 공공성의 논의: 공치(共治)와 공심(公心)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3(1), 2013, pp.151~181.

우연주·배정한, “개항기 한국인의 공원관 형성”, 『한국조경학회지』 39(6), 2011, pp.76~85.

이동수, “「독립신문」과 공론장”, 『정신문화연구』 29(1), 2006, pp.3~28.

「독립신문」 영문판


 

환경과조경 407(2022년 3월호수록본 일부

 

 

박희성은 대구가톨릭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한중 문인정원과 자연미의 관계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에서 건축과 도시, 역사 연구자들과 학제간 연구를 수행하면서 근현대 조경으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했다. 대표 저서로 『원림, 경계없는 자연』이 있으며, 최근에는 도시 공원과 근대 정원 아카이빙, 세계유산 제도와 운영에 관한 일들을 하고 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