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편집자들] 어디든 찾아갑니다, 조경계 동서남북
  • 환경과조경 2021년 5월

lak397_feature-0-전체-26.jpg

 

원고를 청탁받고 조금 망설이기도 했지만 설레는 마음으로 메일을 읽었다. 청탁문 중간의 당신에게 환경과조경은 어떤 잡지였으며, 조경이란 무슨 의미였나요?”라는 질문을 본 순간, 잡지사를 다니던 내 모습이 떠올랐다. 머릿속 타임머신을 타고 돌아가서 당시를 생각하니 얼굴이 달아오른다. 아무것도 모른다는 말이 딱 맞는, 철없는 시절의 풋내기 기자. 미숙했던 나를 되돌아보는 일이 이렇게 겸연쩍은 일일 줄이야. 그렇다. 20년 전쯤의 나는 환경과조경의 편집자로서 잡지를 기획하고, 전문가에게 원고를 청탁해 어떻게든 받아내고, 취재를 해 끙끙대며 글을 쓰고 또 교정을 보면서 매달 반복되는 일상을 살았다. 결국 이 글은 환경과조경에 근무했던 시절에 대한 짧은 회고록이 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지금 손에 들린 2021년의 환경과조경을 보면, 내가 만들었던 그 잡지가 맞는지 격세지감을 느끼게 된다. 영문 제호, 판형, 두께, 서체, 사진 크기, 해외 작품의 수, 집중하는 분야 등 많은 것이 달라져 있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사진이다.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지금처럼 드론이나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멋진 사진을 잡지 양면에 가득 차게 넣는 과감한 디자인을 보기 쉽지 않았다. 작품 취재라도 나가려면 사진 기자와 함께 슬라이드용 필름을 몇 통씩 챙겨서, 노출을 확인하고 필름은 얼마나 남았는지 중간중간 점검하며 사진을 찍어야 했다. 찍어온 사진은 현상을 해 두툼한 라이트 박스에 놓고 확대경으로 일일이 들여다본 다음, 그중에서 잘 나온 것을 골라 을지로에 있는 출력소로 보냈다. 그러면 출력소에서 사진을 스캔해 편집이 가능한 JPEG 파일로 전환해 주었다. 시간도 많이 들었고 사진의 질과 가능했던 편집 디자인의 범주가 지금과는 비교 불가다. 가끔은 구도가 적당하고 원하는 만큼 선명한 사진이 없어 난감하기도 했고, 스캔을 받다가 필름이 손상되어 필름을 제공해준 필자에게 한소리 듣는 경우도 있었다. 어쩌면 실제보다 조금은 과장되거나 포장되어 있을지도 모를, 지금은 옛날이야기로만 느껴지는 기억들이 생생하다. (후략)

 

환경과조경 397(2021년 5월호수록본 일부

 

조수연은 조경을 전공하고 환경과조경에 입사해 『환경과조경』, 『조경시공』 등의 잡지를 만들었다. 특허 동향 조사, 기술 이전, 모듈 화분 제작, 정원 만들기 등 다양한 경험을 하고, 지금은 휴론네트워크에서 드론 사진과 라이다 3D 맵핑을 이용한 생활(사회)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 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