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인천까지 갈 일이냐고.” 주말 아침 1호선에 올라타며 혼자 투덜거렸다. 내가 사는 서울 북쪽 끄트머리 동네에서 인천까지는 지하철로 1시간 반. 드넓은 서해를 보러 가는 것도, 차이나타운에 놀러가는 것도 아니었다. 다만 쓰레기를 보기 위해서였다. 매달 나에게 할애되는 이 지면에 쓸 글감을 찾아 나서는 여정이기도 했지만(재주가 없다면 발품이라도 팔아야 한다), 이 기회에 직접 보고 싶은 마음이 더 컸다. 조금은 특별한 쓰레기들을 말이다.
전시장1에 오브제처럼 고이 놓여 있는 쓰레기에 대한 첫인상은 뭐랄까, 어울리는 수식어는 아니지만 ‘아름답다’였다. 냄새나고 지저분한 물체가 아니라 파도와 바닷바람에 깎여 오묘한 형태로 변해버렸기 때문이다. 작가 장한나는 이것들에게 ‘뉴락(new rock)’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이리 보고 저리 봐도 돌처럼 보이지만 돌이 아니다. 암석은 물리적 혹은 화학적 작용으로 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가지만 뉴락은 끊임없이 부유하는 존재다. 그곳이 깊은 바다 속이든, 고래 배 속이든, 인간의 몸 속 어딘가든. 아무리 잘게 쪼개져도 사라지지는 않는 플라스틱이기 때문이다.
인천, 양양, 강릉, 제주, 울진 등 국내 곳곳의 해변에서 채집된 각양각색의 쓰레기들의 옛 쓰임을 추측하는 일은 놀이 같기도 했다. ‘이건 페트병이고, 이건 스펀지, 이건 스티로폼이었네, 마른 해초인 줄 알았는데 자세히 보니 초록색 그물이고, 동그랗게 생긴 이건… 부표다!’ 한 때 바다 한가운데 떠 있던 부표에는 홍합과 굴, 따개비 껍질 따위가 붙어 있었다. 스크린을 통해 나오는 영상에서는 새우 같은 작은 해양 생물체가 하얀 플라스틱 조각에 자꾸만 몸을 갖다 대고 있었다. 집이라고 생각하는 걸까? 아니면 먹이?
난생 처음으로 그 누구도 아닌 ‘쓰레기의 생애’가 궁금해졌다. 그것들의 탄생, 도구로 사용되며 사람 손의 땀이 배어 있던 시절과 앞으로 쓰레기로서 보낼 시간, (있을지 모르겠다마는) 종래에 당도할 종착지까지. 이때만큼은 눈 앞의 쓰레기가 오래된 유물처럼 보였다. 어쩌면 폐허가 된 고대 로마의 유적지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해줄 수 있을지 모른다고 생각했다.
플라스티글로머리트(plastiglomerate).2 결국 최후의 증인은 이런 쓰레기들이 되지 않을까? 화석을 통해 인간이 백악기 시대를 알아낸 것처럼 말이다. 지금으로부터 몇천 혹은 몇만 년 후에, 그러니까 문서나 영상 등 인류를 말하는 모든 것이 사라진 후에도 플라스틱은 지구의 새로운 지층으로 남아 이곳에 인류가 살았음을 말해줄 것이다.
알다가도 모르겠는 게 예술이지만 가끔은 정말 흥미롭다. 잔뜩 일그러지고 변색된 스펀지 하나가 매주 아파트 단지에 산더미처럼 쌓이는 재활용쓰레기들보다 더 크게 다가올 줄이야. 작가가 바란 건 쓰레기 문제에 대한 반성보다 “신기하고 아름다운데 좀 이상하다는 느낌”3이었다. 작가가 내게 남긴 여운에서 이상함을 넘어서는 섬뜩함이 느껴진다. 이제 내게 쓰레기는 두려운 존재다.
1년에 20만 톤.4 그중 딱 손바닥 한 줌만큼의 쓰레기를 따라가 보기로 한다. 파도에 마모되어 독특한 형태를 갖춘 녀석은 운 좋게 전시장에 놓일 수 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떨어져나간 파편들은? 언젠가 한 인터넷 뉴스에서 봤던 한 사진이 불현 듯 떠올랐다. 내장이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로 가득 차 있는 앨버트로스의 사체가. 어느 맑은 날 미드웨이섬 위를 날다 돌연 바닥에 툭 떨어졌을 그 새가. 당황스러웠을 것이다. 천적의 습격을 받은 것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저 평소와 다른 날이 있었을 것이다. 배불리 뭔가를 먹었는데 도무지 기운은 나지 않고, 숨은 조금씩 가빠지는 날들이.
한 가지 바람을 안고 전시장을 나섰다. 이런 죽음도 있고 저런 죽음도 있겠지만 적어도 마지막 순간에 내가 왜 죽는지 알면서 죽고 싶다는 바람이었다. 물론 아무도 장담할 순 없겠지만 말이다.
**각주 정리
1. ‘간척지, 뉴락, 들개와 새, 정원의 소리로부터’는 인천아트플랫폼에서 7월 25일까지 열리는 전시다. ‘뉴락’을 비롯해 비인간 존재와의 공생을 말하는 다양한 예술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2. 녹은 플라스틱과 암석, 모래 등이 섞여 만들어진 새로운 유형의 지질학적 물질. 과학자들은 이 플라스틱 돌덩이가 인류세를 식별하는 지표석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3. 유지연, “돌인데 돌이 아닌…해변에 나타난 ‘뉴락’의 정체”, 「중앙일보」 2020년 12월 20일.
4. 2020년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발간한 ‘해양 유입 하천 쓰레기 관리체계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연간 약 99만 톤의 하천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고 있다. 그중 70%는 나무와 풀이고 플라스틱은 20% 안팎으로 추정한다. 매년 약 20만톤 정도의 플라스틱이 바다로 유입되는 셈이다.